검색 상세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자기노출유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상호작용성 매개효과와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작용을 중심으로

How self-exposure type affects Instagram users' subjective well-be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resence

초록 (요약문)

As the media landscape has changed, social media has become a major media channel. In particular, Instagram, a third-generation social media, has become more than just a social network, but a diverse means of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elf-exposure affects personal happ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Instagram users. The types of self-exposure of Instagram users were divided into archiving self-exposure and conspicuous self-exposure, and how each type affects the subjective well-being of Instagram users was investigated. The study also empiricall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interactivity on the effect of each type of self-disclosure on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the effect of perceived interactivity on subjective well-being. To test the hypothes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Instagram users aged 10 to 50 living in South Korea from April 18 to 25, 2023, and a total of 381 responses were collected an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stagram users' archiving self-exposu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stagram users’ perceived similarity, we conducted a regression according to the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and found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interactivity on the effects of archiving self-disclosure and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the study foun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interactivity on the effect of conspicuous self-exposure on subjective well-being. Sobel’s(1982) test was then conduct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interac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both types. In additio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perceived inter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s a result, the interaction term model for perceived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was significant, i.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at archiving self-disclosure on Insta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at perceived interactivity mediates both archiving and conspicuous self-exposure, a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teractivity and subjective well-being.

more

초록 (요약문)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SNS가 주요 미디어 채널이 되었다. 특히 3세대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은 단순히 소셜 네트워크를 넘어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매김하였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자기노출이 개인의 행복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의 자기노출유형을 기록적 자기노출과 과시적 자기노출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유형에 따라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각각의 자기노출유형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인지된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상호작용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조절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설 검증을 위해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0대에서 50대까지의 인스타그램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3년 04월 18일부터 25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81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의 기록적 자기노출은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시적 자기노출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인지된 상용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배런과 케니(Baron & Kenny, 1986)가 제안한 분석방법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록적 자기노출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partial mediation)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시적 자기노출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된 상호작용성은 완전매개효과(complete mediation)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해 소벨(Sobel, 1982) 검증을 실시하였고 두 유형 모두 인지된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상호작용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수를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총 3단계로 진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인지된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에 대한 상호작용항 투입 모델은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통한 기록적 자기노출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기록적 자기노출과 과시적 자기노출 모두 인지된 상호작용성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인지된 상호작용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