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의 자극 수준과 힐링 내용이 시청 정서, 시청 만족도, 재시청 의도 및 구독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극추구성향을 중심으로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의 자극 수준과 힐링 내용 그리고 시청자의 자극추구성향에 따른 시청 정서, 시청 만족도, 재시청 의도 및 구독 의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전 조사에서는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8개의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게 하였고, 8개의 동영상 콘텐츠를 자극 수준과 힐링 내용에 따라 4그룹으로 나누었다. 본 조사에서는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20대와 30대 230명을 4그룹 무작위 선별로 나누어 시청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의 자극 수준과 힐링 내용 그리고 시청자의 자극 추구 성향이 시청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평온함 정서에서 다양하고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평온함은 동영상 콘텐츠 자극 수준이 낮은 경우, 힐링 내용이 높은 경우, 그리고 자극 수준이 낮고 힐링 내용이 높은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극 추구 성향이 높은 경우 평온함 시청 정서가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의 자극 수준과 힐링 내용 그리고 시청자의 자극 추구 성향이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동영상 콘텐츠의 자극이 낮은 경우, 힐링 내용이 높은 경우 그리고 자극 추구 성향이 높은 경우 각각 시청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시청 의도 및 구독 의도를 확인한 결과 동영상 콘텐츠의 자극이 낮은 경우, 자극 추구 성향이 높은 경우, 그리고 자극 수준이 낮고 힐링 내용이 높은 경우 재시청 의도 및 구독 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시청 정서가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극 수준과 힐링 내용에 따라 나누어진 그룹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모든 그룹이 공통적으로 평온함 정서가 시청 만족도에 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시청 정서와 재시청 의도 및 구독 의도 사이의 시청 만족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높은 자극-높은 힐링 동영상 콘텐츠 시청 그룹의 시청 만족도는 모든 정서와 재시청 의도 및 구독 의도에 양적(+)그리고 부적(-)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의 자극 수준과 힐링 내용 그리고 설문 참가자의 자극 추구 성향에 따른 시청 정서, 시청 만족도, 재시청 의도 및 구독 의도를 자극 수준과 힐링 내용을 다르게 분류한 시청 그룹으로 나누어 결과를 확인 하였으나,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시청 처치물의 객관성 확보와 설문 참가자 개인의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선호도, 타 동영상 콘텐츠 플랫폼 이용 영향력 등을 확인하지 못한 점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shows viewing emotion, viewing satisfaction, and re-viewing and subscrip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timulation and healing in YouTube video content and the viewer's sensation seeking. In the preliminary survey, 20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viewing experience of YouTube video content watched eight YouTube video content, and eight video content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imulation and healing. After that, 230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experience in watching YouTube video content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that was divided in preliminary surve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imulation level and healing of YouTube video content and the effect of viewer's sensation seeking on viewing emotions, calm viewing emotion shows meaningful results. Calmness is high with low stimulation level in video content or high level of healing in video content.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low level of stimulation and high level of healing makes participants feel calmness more. Furthermore, participants whose sensation seeking is high experience calmness more. Next, participants have high viewing satisfaction with low stimulation level or high healing level of YouTube video content. In addition, participants with a high stimulus-seeking propensity have higher viewing satisfaction when they watch video content. Finally, participants have more re-viewing and subscription intention with low stimulus of video content or with video content that has interaction between low level of stimulation and high level of healing. Also, the participants who possess higher sensation seeking have more re-viewing and subscription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emotion, viewing satisfaction, re-viewing and subscription intention for each of four groups which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imulation and healing level of YouTube video content. The effect of viewing emotion in YouTube video content on viewing satisfaction is different for each group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timulation and healing, and it is found that calm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for all groups in common. The mediated effect of viewing satisfaction between viewing emotion, re-viewing intention, and subscription intention is verified. As a results, the viewing satisfaction of participant group who watched high-stimulus and high-healing video content has a mediated effect on all emotion, re-viewing intention, and subscription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bserves the effects of the level of stimulation and healing in YouTube video content and the viewer's sensation seeking on viewing emotion, viewing satisfaction, re-viewing intention, and subscription intention by dividing the participant groups. However, the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inability to prove the objectivity of video content used in survey,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preference for video content, and the lack of usage information on other video platform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