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게이 성노동자와 ‘여성화된 성노동’ : 교란, 수치심, 혐오감

Gay Sex Worker and ‘feminized sex work’ : Disturbance, Shame, Disgust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이분법적 성매매 담론과 ‘남성은 성구매자’, ‘여성은 성판매자’라는 성노동 역할 이분법을 해체하고 ‘보이지 않고’, ‘보이지 않으려 하고’, ‘보려 하지 않는’ 게이 성노동에 대해 가시화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근에는 여성 성판매자들에 대한 주체적 관점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당사자들이 칼럼이나 책을 쓰기도 한다. 하지만 남성 성노동자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 단 한 개의 연구뿐이며 연대할 수 있는 기관 혹은 단체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남성 성노동의 실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초기에 남성 성노동자 내부의 다양성을 축소해 설명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 게이 호스트바 남성 접대부만을 연구참여자로 설정했다. 하지만 연구 과정 중의 2016년도 전후로 A마담과 ‘미투 운동’, 그리고 2021년 주류 호스트바 유튜버의 출현으로 남성 성노동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게이 호스트바 산업은 성매매와 거리를 두면서 사법 권력을 등에 업고 정상성에 편입해 양성화(legalization)했다. 게이 호스트바 산업은 ‘1종 유흥업소’라는 국가가 허가한 성노동을 필두로 길거리, 유튜브, 이반시티에서 광고한다. 하지만 같은 성산업인 마사지와 조건만남은 불법으로 여겨져 더 개인적이고 원자화된 방식으로 광고하게 된다. 따라서 젠더이분법과 이성애중심주의에 따른 사법 권력이 ‘더욱 성적인 것’을 정의 내리며, ‘과도하게’ 성적인 성노동은 불법화(illegalization)된다. 연구에 따르면 게이 성노동자는 성산업에 상관없이 불법적인 성매매를 하고 있었고 모호하고 경계에 있는 성매매도 했다. 게이 성산업은 성관계를 해체하고 섹슈얼리티를 재사유하는 장으로 여겨지는 공간이었다. 게이 성노동자는 성구매자와 제3자에 의해 착취당할 것이라는 부정적 인식과 달리 몸에 대해 재사유하고 섹슈얼리티를 연기(perform)했다. 기표로서의 성노동을 해체하고 법도 교란하면서 성노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하지만 성노동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회적 인식과 ‘성교 행위’, ‘유사 성교 행위’라는 이성애중심적이고 모호한 불법적 성매매 정의는 성노동자가 본인의 노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했다. 고객에게 술을 따르거나 이성애적 성관계의 모방에서 게이 성노동자는 부정적인 도덕 감정을 체화했고, 이는 성노동 자체가 아니라 ‘여성화된 성노동’에 대한 감정이었다. 연구자는 게이 호스트바 참여관찰과 게이 커뮤니티의 10명의 남성 접대부, 마사지사, 조건만남 노동자를 심층인터뷰했다. 본 연구는 ‘낙인’, ‘감정 이론’ 그리고 ‘퀴어 이론’을 분석 틀로 젠더이분법, 이성애중심주의, 성노동 역할 이분법이 게이 성산업과 성노동자의 노동환경과 노동경험에 영향을 미쳤고 나아가 섹슈얼리티와 감정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게이 성노동을 통해 성매매 그 자체가 아니라 ‘여성화된 성노동’에 대한 부정적 사회 인식과 사법 권력이 성매매를 악마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드러나지 않았던 게이 성노동을 토대로 추상적이고 당위적인 성매매 담론을 해체하고 이성애중심적으로 구성된 성매매 금지에 대해 재고할 관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deconstruct the dichotomous prostitution discourse and sex work role dichotomy of male-sex buyer and female-sex seller, and to visualize and analyze gay sex work that is 'not seen', 'does not want to be seen', and 'does not want to see'. Recently, a lot of research on female prostitutes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is being conducted, and the ‘First-People’ are writing columns or books. However, there is only one study on male sex workers in Korea, and there are no institution or organizations that can form solida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eality of male sex work.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it was started with a critical min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explain the diversity inside male sex workers by reducing it, and only gay host bar male hostesses that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researcher's 'body capital' were set as the subject of the study. However, during the course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rastic changes in the landscape of male sex work around 2016 due to the emergence of Madam(promoter) A, the ‘Me Too Movement’, and 2021 due to the mainstream host bar YouTubers. The gay host bar industry has been legalized by incorporating it into normality with the jurisdiction power at its back while bordering on prostitution. The gay host bar industry advertises on the street, YouTube, and Ivan City, starting with state-licensed sex work called “Type 1 entertainment establishment.” However, the same sex industry as massage and conditional sexual meeting is considered illegal and advertised in a more personal and atomized way. Thus, jurisdiction power based on gender binary and heterosexism defines 'more sexual', and 'excessive' sexual sex work is illegalized. Studies have shown that gay sex workers, regardless of sex industry, were engaging in illegal prostitution, as well as ambiguous and borderline prostitution. The gay sex industry was seen as a place to deconstruct sex and rethink sexuality. Contrary to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they would be exploited by sex buyers and third parties, gay sex workers rethought their bodies and performed their sexuality. While dismantling sex work as a signifier and disrupting the law, they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sex work. But the social perception of sex work negatively and the heterosexual and ambiguous definition of illegal prostitution, such as ‘act of sexual intercourse’ and ‘act of analogous sexual intercourse,’ made sex workers perceive their labor negatively. In pouring a drink to a customer or imitating heterosexual sex, gay sex workers embodied negative moral emotions, not about sex work itself, but about “feminized sex work.”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male hostess, masseur, and conditional sexual meeting workers in the gay community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gay host bars. This study, using 'stigma', 'emotion theory' and 'queer theory' as frameworks for analysis, gender dichotomy, heterosexualism, and sex work role dichotomy influenced the gay sex industry and the working environment and labor experience of sex workers, and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ity and emotions. Through gay sex work,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social perception of 'feminized sex work', not sex work itself, and the demonization of prostitution by the jurisdiction power. this study tried to deconstruct the abstract and imperative prostitution discourse based on gay sex work, which was not revealed not only in academia but also in society as a whole, and to provide a perspective to improve the prohibition of prostitution centered on heterosexual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