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이미지가 자기관리 및 섭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A Effect of Body Image on the Self-Management and Eating Attitudes of Female Dance College Students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dy image on self-management and eating attitud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self-management and eating attitud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3 femal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and 3 non-response questionnaires. For data processing, SPSS 29.0 program was used.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calculation,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by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body image according to the grade, and a difference in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major. Second, body image affects self-management and eating attitude. Third, self-management affects eating attitude. Fourth, body image affects self-management and eating habits, and both the first and second stages were satisfied. However, level 3 self-management did not appear to affect eating habits, indicating no causal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negative body image formation develops into excessive weight concern and affects abnormal eating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dance major students so that they can form the right body image. rather than emphasizing the body, it is thought that guidance is needed to enhance artistic skills.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무용전공 여대생의 신체이미지가 자기관리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신체이미지와 자기관리, 섭식태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여자 대학생 및 대학원생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불성실한 응답과 무응답의 3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0명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신체이미지와 자기관리, 섭식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년에 따른 신체이미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자기관리와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에 따른 자기관리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신체이미지와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신체이미지와 자기관리,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신체이미지는 자기관리와 섭식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는 섭식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이미지는 자기관리와 섭식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1단계와 2단계가 모두 충족되었지만, 3단계에서 자기관리가 섭식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정적인 신체이미지의 형성은 지나친 체중관심으로 발전하여 이상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무용전공 학생들에게 올바른 신체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신체의 강조보다 예술적 역량이 증진될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