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현대 여성 소설의 환상성 연구

A Study on the Fantastic of Modern Korean Women's Novels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amines the fantastic aspect found in Korean modern women writers' novels under the relevance of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This is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fantastic of women writers' novels can help a diachronic understanding of Korean women's novels. The fantastic dealt with in this study is not a fantasy concept in the genre or psychoanalysis, but a rhetorical aspect different from realism. Kathryn Hume explains that the fantastic is a component of literature with mimesis. If mimesis is a reflection of the desire to imitate reality, the fantastic is a reflection of the desire to make changes in reality. The fact that mimesis and the fantastic are two elements that constitute literature means that literature cannot exist without one of them. Thus, the fantastic arises not with or without, but with a difference in degree. This study defines the fantastic as the undecidability of characters/events/settings that causes the reader. The fantastic is revealed by the difference of degree or induction method for each text. Many theorists commonly define the fantastic as a reader's feeling or reaction. In particular, Tzvetan Todorov explains that the fantastic is induced when the reader is unable to answer two questions faced in a particular situation in the text: ① Is this situation a character's confusion, or did it actually happen? ② Is my understanding of what is described in the current text correct? These questions relate to whether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text is sufficient to judge or whether the reader can trust the information. This is why the analysis of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must be conducted in the study of the fantastic. In the texts of women writers,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tends t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by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make changes in the object or aspect of the fantastic in each period. Rosemary Jackson says that the fantastic is a rhetorical way to create cracks in the existing order. Considering this, these differences by period will reflect the problematic points of the period that women writers' texts pay attention to. Chapter 2 of this study analyzes the short stories of Kang Shin-jae, Son So-hee, Jeong Yeon-hee, and Han Moo-suk in the 1950s and 1960s.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of this period does not deviate from patriarchal social norms.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rarely narrates his or her story. Instead, he/she observes non-normative characters with voices and gazes that follow the patriarchy. These non-normative characters are the objects that induce the fantastic. Non-normative characters are mostly women. They are divided into a passive characters who are confused by the absence of a head of household and an active characters who act to fulfill their desires. Each of these two types of female characters is isolated in a closed space. The fantastic is induced only temporarily until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defines the object as non-normative. However, the texts of this period raise questions about the reality of women confined in the inner space in several ways: The fantastic is prominent in closed spaces where non-normative characters are confined. The femal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is temporarily attracted to non-normative characters. The mal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makes an unbelievable narrative. Chapter 3 deals with the short stories of Kim Chae-won, Seo Young-eun, and Oh Jeong-hee in the 1970s and 1980s. In this period, the person experiencing the unusual event, not the observer, directly narrates her story. This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is not quick to determine what the unusual event is: is this something that happens in real life, is it my delusion or dream, or is it just a sensory aberration? In this process,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recalls his psychological state or past experiences. This has roughly two effects. First of all, the description of a recollection or dream intervenes in the narrative process of the current event. This distorts the linear flow of time. Also, it is revealed that the character's anxiety is the cause of the unusual event. Male violence and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public society are the causes of anxiety. This is the point that the fantastic of women writers of this period pays attention to. On the other hand, anxiety due to inability to communicate is also the cause of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s attitude to explain unusual events. This is the reason that the fantastic of this period is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in the texts of Bae Soo-ah, Jeon Gyeong-rin, Choi Yoon, and Han Kang in Chapter 4 of this study does not try to interpret or explain unusual events or non-normative characters. He/She accepts it as it is. Also, he/she is no longer confined, but grouped with non-normative characters outer space. This is an element that causes the unreality of the setting. The concept of inner/outer space and the linear flow of time are all distorted. The impossibility of defining the existence or identity of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also forms the unreality of the setting. The fantastic evoked by this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fiction and reality, and between truth and falsehood. The text of women writers in the 1990s captures the problem of dichotomous order itself and presents it as the fantastic. On the other hand,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distances himself from the violent older generation who oppose the non-normative group to which he/she belongs. This may seem to reinforce the dichotomous order. However,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shows various attitude changes to his/her group members. This also creates a crack in the dichotomous order. In chapter 5, I identify the change patterns and meanings of the fantastic after confirming wh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between the fantastic in the texts of women writers identified in chapters 2 to 4. The first common point is that the emotional and ethical aspects are more important than objective information aspects in form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and the reader. This creates a crack in the existing order in terms of emphasizing emotional and subjective values rather than objectivity. The second is that the points at which the fantastic creates cracks are all related to women's oppression.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periods of the fantastic is considered to be the key point of women's oppression in the reality of that period. The changing aspect of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is related to the subalternity of women at that time. The recognition at that period The perception of the period as to whether or not a female character can speak in a public society, and if so, how it can be said,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or/fixed internal focalizer. The changing aspect of the object that causes the fantastic i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fixed gender role at that time. Female characters that cause the fantastic have different possibility of moving to outer space by period. This reflects the change of gender roles required of women and at the same time expresses a critical mind related to it. In each period, the fantastic was expressed as a distortion of space/time/reality. This is the part that can confirm at what point the text forms a crack in the androcentric ideology. The fantastic of texts in the 1950s and 1960s raises questions about the patriarchal order that prevents advancement into public society. The fantastic of the texts in the 1970s and 1980s focuses on the violence of androcentric order and the impossibility of women's communication in public society. In the case of the 1990s, problems are captured in all dichotomous orders, including androcentric ones.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changing aspect of the fantastic is not a process of development, but a process of selection to appropriately reflect the reality of each period. The fantastic is one of several rhetorical methods. Therefore, the difference in degree or intensity of the fantastic does not lead to right/wrong or good/bad. The difference is only related to the message that the text wants to convey. It is the fantastic to make a crack in a solid ideology that makes it difficult to find alternatives in reality. In the texts of women writers, the fantastic is induc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period. This means that the most problematic point in the texts of women writers by period is reflected in the fantastic. The fantastic caused in various ways in the texts of women writers after the 2000s can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fantastic in the texts of women writers in the previous period. And the work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basic work for this purpose.

more

초록 (요약문)

본고는 한국 현대 여성 작가들의 소설에서 발견되는 환상성 양상을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와의 관련성 하에서 연구한다. 이는 여성 작가들의 소설 속 환상성이 한국 여성 소설에 관한 통시적 이해를 돕는 특정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판단을 기반으로 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환상성은 장르로서의 환상 문학이나 정신분석학에서의 환상 개념이 아니라 리얼리즘과는 다른 수사학적 양상이다. 흄Kathryn Hume은 환상성이 미메시스와 함께 문학을 구성하는 또 다른 요소라고 설명한다. 미메시스가 있는 그대로를 전달하려는 욕망의 반영이라면, 환상성은 익숙한 것에 변화를 만들고자 하는 욕망의 반영이다. 그런데 미메시스와 환상이 문학을 구성하는 두 요소라는 점은, 둘 중 하나가 완전히 없는 문학은 존재할 수 없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에 환상성은 정도의 문제가 된다. 본고는 환상성을 ‘텍스트 내 인물ㆍ사건ㆍ배경에 관한 결정 불가능성으로 독자에게 유발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이것이 텍스트마다 유무가 아니라 정도나 유발 방식의 차이를 보이며 발견되는 요소로 정의한다. 한편 환상성이 독자의 느낌이나 반응이라는 정의는 여러 환상성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지점이다. 특히 토도로프Tzvetan Todorov는 독자가 텍스트 내의 특정 상황에서 ① 이 상황이 등장인물의 착오인지, 실제 벌어진 일인가 혹은 ② 현재 텍스트에서 서술된 내용에 관한 자신의 이해가 정확한가라는 두 가지 질문에 관한 대답을 할 수 없을 때 환상성이 유발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는 텍스트 속 서술된 정보가 판단하기에 충분한지, 혹은 독자가 그 정보를 믿을 수 있는지에 관한 질문들이다. 환상성 연구에서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에 관한 분석이 이뤄져야 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여성 작가들의 텍스트에서는 시대마다 유사한 특징을 가진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가 자주 등장하는 경향이 발견된다. 그리고 이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의 특징이 각 시대별로 환상성을 유발하는 대상이나 환상성의 양상에 변화를 만든다. 환상성이 기존 질서에 균열을 만드는 수사학적 방식이라는 잭슨Rosemary Jackson의 논의를 고려하면, 이러한 시대별 차이는 여성 작가들의 텍스트가 주목하고 있는 당대의 문제 지점일 것이다. 본고의 2장에서는 1950~60년대 강신재, 손소희, 정연희, 한무숙 등의 단편 소설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이 시기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의 경우 가부장제적 사회 규범을 벗어나지 않는 이들이다. 관찰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최소화하여 서술하고 대신 남성화된 목소리ㆍ시선으로 비규범적 인물들을 관찰한다. 이 비규범적 인물들이 환상성을 유발하는 대상이다. 비규범적 인물은 대부분 여성으로, 가장의 부재로 혼란을 겪는 수동적 인물군과 욕망 성취를 위해 행동하는 능동적 인물군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 폐쇄적 공간에 갇혀 있다. 환상성은 관찰자가 대상을 비규범적이라고 규정하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유발된다. 그러나 비규범적 인물이 갇혀 있는 폐쇄적 공간에서 환상성이 두드러진다는 점, 여성 관찰자가 일시적이지만 비규범적 인물들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점, 남성 관찰자의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점 등은 여성이 집안에 갇혀 있는 현실을 향한 이 시기 여성 작가 텍스트의 문제 제기 방식이다. 3장에서 다루는 1970~80년대 김채원, 서영은, 오정희 등의 텍스트에서는 관찰자 대신에 비일상적 사건을 경험하는 당사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 서술하는 경향이 주를 이룬다. 본고에서 환상 경험자라 칭하는 이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는 비일상적 사건이 실제 현실에서 벌어지는 일인지, 자신의 망상이나 꿈인지, 아니면 단순한 감각적 착오인지를 빠르게 판단하지 못한다. 이 과정에서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는 자신의 심리 상태나 과거 경험 등을 떠올린다. 이는 크게 두 가지 효과를 낳는다. 우선 회상이나 꿈이 현재 사건의 서술 과정에 끼어들면서 직선적 시간 흐름이 정지되는 양상이 발견된다. 또한 인물의 불안이 비일상적 사건의 원인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불안의 근원에는 남성의 폭력성, 외부 사회와의 소통 불능 상태가 있다. 이것이 당대 여성 작가의 환상성이 주목하는 문제 지점일 것이다. 한편 소통 불능에 대한 불안은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가 비일상적 사건을 설명하려는 태도의 원인이기도 하다. 이 시기 환상성이 제한적 성격을 띠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반면 4장의 1990년대 배수아, 전경린, 최윤, 한강 등의 텍스트 속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는 비일상적 사건이나 비규범적 인물 등에 관해 해석하고 설명하려 하지 않는다. 이들은 더 이상 갇혀 있지 않고, 집 밖에서 비규범적 인물들과 집단을 이룬다. 이는 배경 자체의 비현실성을 유발하는 요소이다. 내부/외부 공간이라는 개념이나 직선적 시간관이 모두 뒤틀리는 것은 물론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의 실존 여부나 정체 규정의 불가능성 역시 배경의 비현실성을 형성하는 요소들이다. 이러한 배경의 비현실성으로 인해 유발되는 환상성은 허구와 현실 사이의 경계, 진실과 거짓 사이의 경계를 흐린다. 이분법적 질서 자체의 문제를 포착하면서 이를 환상성으로 제시하는 것이 1990년대 여성 작가들의 텍스트인 것이다. 환상 수용자인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가 자신이 속한 비규범적 집단과 대립하는 기성세대에 거리를 두는 것은 이분법적 질서를 강화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환상 수용자는 자신의 집단 구성원에게도 다양한 태도 변화를 보이는데, 이 역시 이분법적 가치관에 균열을 만든다. 5장에서는 2~4장에서 확인한 여성 작가의 텍스트 속 환상성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한 후 그 변화의 양상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여성 소설 속 환상성의 공통점은 우선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와 독자 사이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 객관적 정보 측면보다는 정서적ㆍ윤리적 측면이 더욱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는 객관성이라는 가치보다는 정서적ㆍ주관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측면에서 기존 질서에 균열을 만든다. 또한 환상성이 균열을 만드는 지점은 모두 여성 억압과 관련된다. 그러므로 환상성의 시대별 차이는 당대 현실에서 여성 억압의 핵심적 지점이라 여겨지는 대목이다.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의 변화 양상은 각각 당대 여성의 서발터니티와 관련된다. 여성 인물이 공적 사회에서 말할 수 있는가 없는가, 있다면 어떤 식으로 말할 수 있는가에 관한 당대의 인식이 서술자ㆍ고정된 내적 초점자의 특성과 관련된다. 환상성 유발 대상의 변화 양상은 고정된 성 역할에 관한 당대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 환상성 유발 대상으로서의 여성 인물은 외부공간으로의 이동 가능성에 있어서 시대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여성에게 요구되는 성 역할의 변화를 반영하면서 동시에 이에 관한 문제의식을 표현한다. 마지막으로 공간, 시간, 현실 개념의 왜곡이라는 각 시대별 환상성의 양상은 남성중심적 이데올로기의 어떤 지점에 텍스트가 균열을 형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1950~60년대 텍스트의 환상성이 공적 사회로의 진출을 막는 가부장제 질서에 문제를 제기한다면, 1970~80년대 텍스트의 환상성은 남성중심적 질서의 폭력성과 공적 사회에서의 여성의 소통 불가능성에 집중한다. 1990년대의 경우에는 남성중심적 질서를 포함하는 모든 이분법적 질서 자체에서 문제를 포착한다. 중요한 것은 여성 작가의 텍스트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러한 환상성의 변화 양상이 발전적 과정을 거친 것이라기보다는 당대 현실을 적절히 반영하기 위한 선택의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환상성은 텍스트가 활용하는 여러 수사학적 방식 중 하나이기 때문에, 환상성의 정도나 강도의 차이는 텍스트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 의식과 관련된 것일 뿐이다. 현실에서는 대안을 발견하기 힘들게 만드는 견고한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만들기 위한 것이 환상성이고, 여성 작가들의 텍스트에서 시대별로 다른 방식으로 환상성이 유발된다는 점은 여성 작가들의 텍스트가 각자의 시대별로 가장 문제시하는 대목이 환상성으로 반영됨을 의미한다. 2000년대 이후 여성 작가의 텍스트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유발되는 환상성은 이러한 이전 시기 여성 작가들의 텍스트 속 환상성과의 연관성 하에서 해석될 수 있을 것인데, 본고의 작업은 이를 위한 기초적 작업으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