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트랜스퍼시픽 기억 공간과 일본군'위안부' : 초국적 기억과 일국적 기억의 갈등과 접합

Comfort Women in the Transpacific Memory Space: Travelling memory between Glendale and Seoul

초록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군‘위안부’의 상징물 ‘평화의 소녀상(이하 소녀상)’이 한국과 미국을 관통하는 트랜스퍼시픽(transpacific) 공간 속에서, 일본군‘위안부’ 기억이 어떻게 확산되고, 병치되며, 새로운 기억의 재현을 생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 는 데 있다. 일본군‘위안부’ 기억이 한일 민족주의의 틀과 전쟁 중 여성인권 보호 의 틀 중 어떠한 역학 관계에 놓여있는지 분석하고, 과연 이 기억을 글로벌 기억 (global memory)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아스트리드 얼(Astrid Erll)의 여행하는 기억(Travelling memory) 개념을 도입하여 일본군‘위안부’ 기억이 트랜스내셔널한 상호작용을 통해 글로벌 기억을 형성할 수 있는지 검토 한다. 그 사례로 본 논문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과 한국 서울을 여행하는 기억을 조망한다. 글렌데일은 해외 도시 중 최초로 소녀상을 세웠고, 공공장소에 소녀상을 건립했을 뿐 아니라, 소녀상으로 인해 발생한 역사전에서 승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미주한인 시민 단체는 이민자들의 공통된 집합 기억으로 일본군‘위안부’를 구심점으로, 불안한 환경 속 한인들의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에 미국에서 일본군‘위안부’ 기억은 이민자를 중심으로 확산되었고, 글렌데일에 소녀 상을 세우는 성과를 얻었다. 그러나 일본 극우 세력은 소녀상이 특정 민족의 표상이 라며 철거 소송을 제기하였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이 얽히며 미국 사 회에서 소녀상을 중심으로 역사전이 발생하였다. 이 논쟁으로 인해 미국 사회에서 소 녀상을 글로벌 여성 인권과 한일 민족주의라는 맥락 중 어디에 두고 해석할 것인지 긴장 관계가 형성되었다. 한편, 글렌데일 소녀상에서 영향을 받아 시작된 일본군‘위안부’에 미술전시 은 아르메니아계 미국인들과 미주 한인단체, 한국 시민단체의 연대 로 준비되었다. 매해 전시가 개최되면서 글렌데일에서 일본군‘위안부’ 기억이 어떤 서사로 수용되었는지 그 양상을 보여주었다. 예술적 재현을 통해 기억을 전파한 전시 는 여성 인권적 맥락과 민족적 맥락이 혼재된 상태로 기억을 반복 재현하고 있었고, 이 과정에서 맺어진 연대는 초국적 민족주의에 기반한 연대에 가까웠다. 여행하는 기억이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행진 2022> 전시로 재구성되었을 때, 관람객 앙케트를 통해 기억의 상호영향을 분석하였다. <행진 2022> 전시 서사는 여성 인권을 강조한 동시에 한국 피해자들을 중심으로 재현물을 배치하여 민족의 고통을 보 여주었다. 이에 대해 첫째로 전시가 여성 인권 인식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둘째 글로벌 기억을 형성하는 데 효과가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전시는 여성 인권 인식 개선에 효과가 있었으나, 하나의 매체로 재현된 역사를 본 관람객은 각자의 방 식으로 기억을 전유하면서 다양한 역사적 해석을 낳았다. 이로 인해 일본군‘위안부’ 기억은 글로벌 여성 인권과 한일 민족주의 틀에서 진동하는 상태로 유지되었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paper examines how the Statue of Peace, a symbol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proliferates and juxtaposes memories of Comfort Women and produces new representations of memory in the transpacific space between Korea and the US. It investigates the memory of Comfort Women within the dynamics of Korean and Japanese nationalism and the protection of women’s rights during the war while also examining critically whether this memory could be interpreted as global memory. Astrid Erll’s concept of “travelling memory” is us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memory of Comfort Women becoming a global memory through a transnational interaction. The research is focused on the travelling memory between the City of Glendale, CA, United States, and Seoul, South Korea. There are three reasons why Glendale merits attention. It is the first foreign city to have the Statue of Peace installed; the Statue was installed in a public space; and the city has prevailed over the historical war surrounding the statue. Korean-American civic organizations had been making continuous efforts to gain socio-political leverage through the collective memory of Korean immigrants based on a common interest in the issue of Comfort Women. The expansion of the memory of Comfort Women led by Korean immigrants resulted in the installment of the Statue of Peace in Glendale. However, the Japanese right wing accused the Statue of representing a specific nation and filed a suit against the City of Glendale to have the Statue removed. In this process, multiple parties of varying interests came into conflict, giving rise to a historical war in the US centering on the Statue. This controversy revealed a significant amount of tension around the understanding of the Statue in the US, namely, whether it should be based in the context of global women’s rights or Korean and Japanese nationalism. Do the Right Thing, an art exhibition on Comfort Women influenced by the Glendale Statue, was started in solidarity among Armenian-Americans, Korean civic groups, and Korean-American communities. Over the years, as the exhibition continued to be held annually, certain perceived narratives of the memory of Comfort Women in Glendale have come to the surface. The exhibition, which spreads memory through artistic representation, has repeatedly reproduced memory in a blended context of both women’s human rights and nationalism, and the solidarity derived from it has been one resembling transnational nationalism. A follow-up exhibition titled Women’s March 2022 was held in Korea, where a visitor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the answer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utual influence of memory. While focusing on women’s human rights, the narrative of Women’s March 2022 also emphasized national suffering by displaying art objects depicting Korean victims. The visitor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 demonstrate whether the exhibition was helpful in raising awareness of women's rights and whether it was effective in building global memory. In conclusion, the exhibition had the effect of enhancing awareness of women's rights, but the viewers of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displayed in the exhibition had their own ways of appropriating memory and came out with various interpretations. Thus, the memory of Comfort Women remained in an oscillating state within the framework of global women’s rights and Korean and Japanese nationalis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