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우울의 관계 : 지연행동의 매개 효과와 심리적 수용, 자기자비의 조절 역할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Depression: A Mediating Effect of Procrastination and A Role of Psychological Acceptance, Self-Compassion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초기 성인(2, 30대)을 대상으로 정서조절을 위해 사용하는 회피분산적 조절양식이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에 있어서 지연행동과 심리적 수용, 자기자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만 19세~39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01명의 응답자료를 SPSS 29.0 및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우울의 관계에서 지연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지연행동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각 변인의 하위변인들 사이의 조절효과 검증에서 3개의 모형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procrastination, psycologic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in the path of predicting depression avoi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in early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experiencing depression.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nd finally 401 respons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rocrastina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depres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ological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procrastinationr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rastination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hree models was confirmed in the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sub-variables of each variabl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