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와 배움 : 들뢰즈의 프루스트론과 스피노자론을 중심으로
Sign and Apprentissage: focusing on Deleuze’s Theory of Proust and Spinoza
- 주제어 (키워드) 들뢰즈 , 프루스트 , 스피노자 , 기호 , 배움 , 경험론 , 표현 , 반데카르트주의 , Deleuze , Proust , Spinoza , Sign , Apprenticeship , learning , Empiricism , Expression , anti-Cartesianis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서동욱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철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6297
- UCI I804:11029-00000007629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들뢰즈의 프루스트론과 스피노자론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유 모델인 기호 해독으로서의 배움론을 다룬다. 들뢰즈는 흄과 칸트에 대한 그의 연구를 통해 정립한 경험주의적인 발생의 관점을 바탕으로 전통 철학을 정향하던 사유의 모델에 맞서 ‘기호 해독’이라는 새로운 사유 모델을 구축해낸다. 들뢰즈의 경험주의적 면모는 칸트의 초월적 기획을 경험론과 중첩시킨 그의 초월적 경험론으로 이어진다. 기존의 경험론과 달리 들뢰즈의 초월적 경험론은 의식적 경험을 가능케 하는 조건을 탐구한다. 들뢰즈에 따르면 경험의 조건으로서 우리가 경험상 마주하는 실재가 바로 기호이다. 그리고 이 기호와 마주하여 우리의 사유는 비로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들뢰즈의 프루스트론과 스피노자 연구의 기호론은 모두 기호로부터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전개하는 기호 해독을 통해 인식을 획득하는 ‘배움’이라는 들뢰즈의 새로운 인식론으로 수렴한다. 본 연구는 각각 프루스트론과 스피노자 연구에서 기호와의 마주침으로부터 지성적인 질서로 이행해나가는 배움의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프루스트의 소설에서 이는 마들렌 체험의 공명과 사랑의 계열적 반복에 대한 이해로 예화되며, 스피노자의 체계 내에선 상상된 것으로부터 공통 개념을 형성하여 이성을 구성해나가는 연속적인 과정으로 그려진다. 끝으로, 두 연구의 심층에 숨겨져 있는 들뢰즈 철학의 긍정성과 존재론을 사유하고자 하는 반데카르트주의적 정신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이자 핵심 논지는 다음과 같이 세 흐름으로 정리될 수 있겠다. 첫 번째로, 들뢰즈의 경험주의적 구도 내에서 기호 개념의 위상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들뢰즈의 프루스트론과 스피노자 연구에서 표현 개념을 통해 배움의 구도 내에서 기호 개념이 일관성 있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들뢰즈의 배움이란 모두 지성의 능동적인 질서로 이행하는 것임을 밝힐 것이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deals with Deleuze's theory of learning or apprenticeship as a sign decoding, a new model of thought, focusing on Deleuze's Proustron and Spinoza Theory. Deleuze builds a new model of thought called "decoding signs" against the model of recognition that oriented traditional philosophy based on the empiricist perspective of genesis established through his research on Hume and Kant. Deleuze's empiricism leads to his transcendental empiricism that overlaps Kant's transcendental planning with empiricism. Unlike other empiricism,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explores a condition of real experience. According to Deleuze, the reality we experience as a condition of experience is the sign. And we can only think by facing this sign. On the other hand, Deleuze's theory of Proust and Spinoza converge on Deleuze's new epistemology of "learning," which acquires truth through decoding signs that develop the sense implies in sig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learning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encountering sign to intelligent order in Deleuze’s theory of Proust and Spinoza, respectively. In Proust's book, this is exemplified by an understanding of the resonance of the Madeleine experience and the serial repetition of love, and within Spinoza's epistemological system, it is depicted as a continuous process of forming a common notion from what is imagined. Finally, I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anti-anti-Cartesianism of thinking about the positivity and ontology of Deleuze philosophy hidden in the depths of the two theories. Therefore, the purpose and core thesi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lows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the status of the concept of signs within Deleuze's empirical composition. Next, in Deleuze's theory of Proust and Spinoza, the concept of signs can be consistently understood within the composition of learning through the concept of expression. Finally, it will be revealed that Deleuze's learning is all about transitioning to an active order of intellige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