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북한 화폐도안의 변화와 정치적 의미

The Changes in North Korean Currency Design and Their Political Significance

초록 (요약문)

이 논문은 기존의 북한 화폐를 경제적 의미를 지닌 수단으로만 분석하지 않고, 화폐 도안의 변화를 통해 북한 통치이념 및 권력체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렇다면 총 다섯 차례에 걸친 북한의 화폐개혁 및 화폐교환 사업과 함께 변화한 북한의 화폐도안에는 어떠한 정치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을까? 본 연구는 화폐도안의 정치적 상징이라는 특성을 통해 화폐도안의 변화 속에 북한의 통치이념 및 권력의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주장한다. 요컨대 북한은 화폐도안을 통해 마르크스-레닌주의, 주체사상, 선군사상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이념의 반영과 변화, 지도자의 권력 장악·유지·확대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해방 이후부터 북한은 사회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국민적 정체성 형성과 조선로동당의 지배를 공고히 하고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상징하는 ‘노동자와 농민’을 화폐도안에 새겼다. 1956년 8월 종파사건과 함께 북한의 권력체계의 핵심이 된 김일성은 점차 ‘주체’를 정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적용시켰다. 권력독점을 위한 수단의 역할을 한 주체사상의 형성과정은 1959년의 화폐도안에도 잘 반영되었다. 갑산파 숙청사건 이후 완벽하게 북한 내부의 권력을 장악한 김일성은 화폐에 주체사상과 자신의 업적을 상징하는 도안을 새겨넣어 주체사상과 유일지배체제를 지속적으로 확립시키는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이후 1980년대 후반부터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 국가들의 붕괴는 북한 체제의 큰 위협으로 다가왔고, 북한 내부의 체제위기는 권력승계의 위기로 다가왔다. 따라서 북한은 체제 유지를 위해 통치이념인 주체사상과 수령 유일지배체제를 강화시켰으며, 1992년 발행된 화폐에 사상무장과 수령의 업적을 강조하는 도안을 통해 체제와 권력승계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김일성 사망, 고난의 행군 등 또 다른 위기에 직면한 북한은 체제위기 극복과 강성대국으로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새로운 통치이념인 선군사상을 내세웠으며 이는 화폐에도 ‘군인’을 형상화한 도안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유일지배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해 항일혁명전통, 백두혈통을 상징하는 도안을 등장시킴으로써 수령 유일지배체제를 지속적으로 공고히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요컨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북한 화폐도안에는 정치성이 담겨 있으며, 북한의 통치 이데올로기와 유일지배체제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좋은 연구자료이다. 또한 북한은 화폐도안에 통치 이데올로기를 새겨넣어 권력의 정당성과 정통성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1947년 화폐개혁 이전인 해방 이후부터 북한의 화폐도안이 마지막으로 변화한 2014년까지 기존에 국내에서 진행되었던 북한의 화폐 관련 연구들과 로동신문 등 북한에서 출판된 자료들을 참고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북한이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은 2014년 5000원권에서 김일성 초상화가 삭제된 이유를 추측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심층 인터뷰를 활용하여 화폐도안의 변화 이유를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총 다섯 차례에 걸친 북한의 화폐개혁, 화폐교환과 관련된 기존의 자료들을 통치이념, 권력체제의 변화과정에 따라 재분류하였고, 화폐도안의 변화 속에 통치이념과 권력체제의 변화 양상이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북한에서 추가적인 화폐교환 사업이 단행될 경우 나타날 화폐도안의 변화에 대하여 예측함과 동시에, 새로 변화할 화폐도안도 결국 북한의 통치 이데올로기와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을 주장한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North Korea's currency design as a means of investigating the evolution of North Korea's governance ideology and power regime, rather than solely examining the existing North Korean currency as an economic means. The intriguing point is whether it is possible to translate the five major changes in North Korean currency and related reforms into a sensible political cue. The study argues that the political symbolism of the currency design’s reflects the transformation of North Korea's governance ideology and the dynamics of power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symbols embedded in the currency design’s patterns. In short, North Korea utilizes currency designs as a means to reflect and transform political ideologies, such as Marxism-Leninism, Juche ideology, and military-first ideology, as well as to consolidate, maintain, and expand the dictator's power. Since liberation, North Korea has engraved the image of "workers and farmers" symbolizing Marxism-Leninism, on the currency design to establish a strong national identity aligned with socialism and solidify the dominanc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Starting with the factional incident in August 1956, Kim Il-sung, who became the core of North Korea's power structure, gradually extended the application of the Juche ideology beyond politic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Juche ideology as a means for monopolizing power was well reflected in the currency design of 1959. After completely seizing power within North Korea following the April 1967 Kapsanpa incident, Kim Il-sung utilized the currency design to perpetuate the Juche ideology and his own achievements as symbols, reinforcing the ideology and the uniqu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other Eastern Bloc countries from the late 1980s posed a significant threat to the North Korean regime. Moreover, internal crises within North Korea also threatened the succession of power. Consequently, North Korea reinforced the Juche ideology and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to maintain the regime. In 1992, the currency design emphasized the accomplishments of the ideology and the dictator through the inclusion of symbolic patterns. Faced with other crises such as Kim Il-sung's death and the Arduous March, North Korea introduced the military-first ideology as a new governance ideology to overcome the regime's crises and achieve the goal of becoming a powerful nation. This ideology was manifested in the currency design through the depiction of soldiers. Additionally, to solidify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from Kim Il-sung to Kim Jong-il and Kim Jong-un, symbols representing the revolutionary tradition and the Kim Dynasty were introduced in the currency design, highlighting the continuous existence of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In conclusion, this research reveals the political nature embedded in North Korean currency designs and serves as valuable research material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s governance ideology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The research is based on previous study on North Korea's currency conducted domestically from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1947 until the currency exchange and the last currency design change in 2014. It also draws on materials published in North Korea, such as the Rodong Sinmun. As North Korea has not officially announced the reasons for changes in currency designs, insights into the motivations behind these changes were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defectors from North Korea. Based on this process, the research categorizes the existing data related to North Korea's currency reform and exchange programs into the transformation of governance ideology and power structure, aiming to validate whether the transformation of currency designs reflects the changes in governance ideology and power regime. After all, the study argues that any future changes in currency designs in North Korea, as well as the currently predicted changes resulting from additional currency exchange programs, ultimately mainta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s governance ideolog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