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통일 이후 평양 도시공간 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rban Space Management Policy in Pyongyang after Unification

초록 (요약문)

This study began with two questions: “How much do you know about the urban space of Pyongyang, the capital of North Korea?” and “How should Pyongyang be managed after the future unification process and unification?” Prior to division, Pyongyang was a developed city sharing a long histor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nder one nation and one state system. It has developed as a revolutionary spac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al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w the current Pyongyang urban space has changed over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sociology, and to propose future integration and post-unification Pyongyang urban space management policies.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8th century caused rapid urbanization and problems, which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planning and urban management theories. Marx and Engels criticized the problems of capitalist cities and established the theory of socialist urban planning.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Lenin built cities that reflected the socialist urban planning concept of Marx and Engels. Urban management policies are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the process of repeated growth and decline of cities. In particular, the more important urban space is, the more political factors influence it. North Korea changed the Western socialist system to a North Korean-style socialist system based on the monolithic ruling ideology and Juche ideology. Therefore, it is very meaningful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Pyongyang urban space because the political situation of each period and the guiding ideology of each ruler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rban space. After liberation, North Korea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fully realize and build socialism. After the Korean War, post-war restoration and the purging of the ‘August Sect Incident’ and the ‘Kapsan Faction’, the Kim Il-sung dictatorship was completed by setting monolithic ruling ideology and Juche ideology as the ruling ideology. After the death of Kim Il-sung, Kim Jong-il overcame the “time of hardship,” a long-term economic depression, with the “gun politics” as his ruling ideology. Kim Jong-un announced the ‘Kim Il-sung-Kim Jong-ilism’, established a hereditary succession system, and showed a political situation emphasizing ‘our state-first principle’ and ‘people-first principle’ as the governing discourse. Reflecting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rulers, they tried to make Pyongyang a world-class city with magnificent and beautiful scenery for the 'revolutionary urban space' as the 'Democratic Capital of Joseon',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First, the urban area of Pyongyang expanded from the central area to the surrounding areas. Second, the city center was created as a revolutionary space. Third, it was built in the form of a linear city, and the living quarters and shared facilities were arranged in a balanced manner for each micro district. Fourth, many public buildings and monumental sculptures were built on public agitation, the idolization of Kim Il-sung, and the legitimacy of the three-generation hereditary succession, such as the Great People's Study House and the Joseon Revolution Museum. Although the two Koreas differ in terms of expression and formality of unification, they have specified it in the Constitution as an essential task that must be achieved.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signed in 1991, in its preamble,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ides as “a special relationship tentatively formed in the process of pursuing unification, not a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Since the two Koreas are pursuing unification in comm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many conflicts will arise due to heterogeneity in the process of system integration and value integration leading to the era of unification. In order to minimiz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 advance to set alternatives by analyzing conflict factors before integration, which is very important. The implication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 process and the cases of urban space management in unified countries can be summarized in six points. First, the unified state rearranged the urban space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plan. Second, the remnants of imperialism in the urban space were strongly demanded to be demolished at the beginning of the end of the imperial era, but as time passed, the method of utilization was decided through social consensus. Third, changes in the socialist system of Eastern European countries brought about great changes in urban space. Fourth, as the urban space with conflict elements was recycled as a symbolic space, it played a role in creating a positive effect in forming an integrated identity between subjects in conflict in the integration process. Fifth, the higher the antagonism between the integrators and the stronger the radical forces, the more the monumental urban space was first targeted for demolition or immediately demolished. Sixth,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ndiscriminate urban space expansion and demolition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economic logic. Seventh, urban spaces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were restored and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city growth.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era of unification was premised on discussions on unification taking place in a friendly relationship as cooperation systems were established in various fields through mutual negotiation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exchanges between the private sector proceeded, as in the case of German unification. As a conclusion, the policy for the management of Pyongyang's urban space after integration and unification is suggested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Pyongyang urban space and synthesizing the implic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integration cases. First, establish a long-term vision plan for Pyongyang'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nd social integration. Radical forces lead the integration process, and urban space can change dramatically according to the logic of economic urban development. Propose guidelines for long-term development and establish action plans for each sector to promote step by step. Second, the revolutionary urban space in Pyongyang is approached and managed in a rational way. Revolutionary urban spaces, such as the central Kim Il-sung Square, public buildings, and monumental sculptures, can be recognized as “inconvenient heritage” by hostile classes among Pyongyang residents and some South Koreans. However, rather than unconditional demolition, it is necessary to reanalyze the value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and manage it through social negotiations and agreements. If a long-term agreement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 as a conservation district first. Third, establish an urban management plan suitable for Pyongyang, a model socialist city. As an implementation plan of the Pyongyang Long-term Vision Plan, planning principles suitable for the urbanization process of system transition are established. It includes contents that can control land privatization predicted by Pyongyang urbanization after integration and reunification,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city, commercial space change in the center of the city, redevelopment of old houses and public buildings, and indiscriminat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Execution power can be enhanced only when the implementation plan includes a financing plan for required resources. Fourth, use Pyongyang as a space for reconciliation in the era of unification. In the era of integration and unification, it is important for the two Koreas to understand each other well. Urban space is a synthesis of physical elements and people and their activities, and can be a good material for understanding each other between the two Koreas. If tourism and exchange programs using urban space are operated, awareness of the uncomfortable heritage of Pyongyang, the capital of the revolution, can be minimized and can be of great help in forming a Korean community. Fifth, maintain and continuously develop the historical city of Pyongyang. North Korea emphasizes the revolutionary historicity to maintain the system, and there are parts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at are excluded or distorted. South and North Korea jointly research the history of Pyongyang to restore the lost history and urban spa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Sixth, North and South Korea jointly work to establish a system for urban space management in Pyongyang and foster experts. For Pyongyang's urban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ws and system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urban basic surveys and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For the immediate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ion period, it is necessary for the two Koreas to jointly establish an institutional framework and train experts in each field.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북한 수도인 평양 도시공간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가?”와 “향후 남북한 통합과정과 통일 이후 평양은 어떻게 관리되어야 하는가?”라는 두 가지 질문에서 시작 하였다. 분단 이전 평양은 남한과 북한이 한 민족, 한 국가 체제 아래 오랜 역사를 공유하며 발전된 도시였지만, 한국전쟁으로 분단이 된 이후에는 북한이 평양을 민주 수도로 정하고 사회주의 체제 아래 김일성 이후 3대 세습 과정을 거치면서 혁명적 공간으로 북한만의 역사 속에서 발전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사회학 관점에서 현재 평양 도시공간이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도래할 통합과 통일 이후 평양 도시공간 관리정책을 제언하는 것이다. 18세기 산업혁명은 급속한 도시화와 문제를 발생시켰고 이는 도시계획과 도시관리 이론이 정립되는 배경이 되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자본주의 도시 문제에 비판을 제기하며 사회주의 도시계획 이론을 정립하였다. 레닌은 러시아 혁명 후 마르크스, 엥겔스의 사회주의 도시계획 개념이 반영된 도시들을 건설하였다. 도시관리 정책은 도시가 성장과 쇠퇴를 반복하는 과정 속에서 정치, 사회, 경제적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수립된다. 특히 중요한 도시공간 일수록 정치적 요인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 북한은 서구 사회주의 체제를 바탕으로 유일지배사상과 주체사상을 기초로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로 변화시켰다. 따라서 현재 평양 도시공간은 시기별 정치상황과 통치자별 지도이념이 도시공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그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북한은 광복 이후 사회주의 전면화 건설을 위해 상당히 노력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전후복구와 ‘8월 종파사건’과 ‘갑산파’ 숙청 후 유일지배사상과 주체사상을 통치이념으로 정하며 김일성 독재체제를 완성하였다. 김일성 사후 김정일은 ‘선군정치’를 통치이념으로 하여 장기적인 경제 불황인 ‘고난의 시기’를 극복하였다. 김정은은 ‘김일성-김정일주의화’를 발표하며 세습체제를 구축하고 ‘우리국가제일주의’와 ‘인민대중제일주의’를 통치담론으로 부각하는 정치상황을 보이고 있다. 평양은 통치자들의 정치 상황이 반영되어 ‘조선 민주수도’로 정하고 혁명적인 도시공간을 웅장하고 풍치가 수려한 세계적인 도시로 만들고자 노력하였고 공간적인 특성은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평양 시가지는 중심지역에서 주변지역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도시중심부는 혁명적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셋째, 선형도시(Linear City) 형태로 건설되었고 주변에는 소구역(Micro District)별로 살림집과 주민편의시설을 균형 있게 배치하였다. 넷째, 인민대학습당, 조선혁명박물관과 같이 대중 선동, 김일성 우상화와 3대 세습 정당성에 관한 공공건축물과 기념비적 조형물을 많이 건설하였다. 남북한은 통일에 대한 표현과 형식적인 면에서 차이는 있지만 상호 반드시 이루어내야 할 필수 과제로 각자 헌법에 명시하였다. 1991년 체결한 남북기본합의서에는 전문에 쌍방 사이의 관계를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 관계”라고 규정했다. 남북한이 공통으로 통일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통일시대로 가는 체제통합과 가치통합 과정에서 이질성으로 인한 많은 갈등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통합 이전 갈등요인을 분석하여 대안을 설정하는 사전준비가 필요하고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국내외 통합과정과 통일국가의 도시공간 관리 사례가 시사 하는 바는 여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통일 국가는 수도 공간을 종합적 계획에 따라 도시공간을 재배치하였다. 둘째, 도시공간 속 제국주의 잔재물은 제국시대 종료 초기에는 철거 요구가 강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적 합의를 통해 활용방안을 결정하였다. 셋째, 동유럽 국가의 사회주의 체제 변화는 도시공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넷째, 갈등요소를 갖는 도시공간이 상징적 공간으로 재활용되면서 통합 과정에서 갈등관계에 있던 주체 간의 통합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통합 주체 간에 적대성이 높고 급진주의 세력이 강할수록 기념비적 도시공간은 우선 철거 대상이 되거나 즉시 철거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여섯째, 도시화 과정에서는 경제적 논리에 따라 무분별한 도시공간 확장과 철거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일곱째, 역사적 의미가 있는 도시공간은 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복구와 정비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통합과정과 통일시대는 독일 통일 사례와 같이 오랜 기간 동안 상호 협상을 통해 여러 분야의 협력체계 구축과 민간의 교류가 진행되면서 우호적인 관계 속에서 통일 논의가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현재 평양 도시공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국내외 통합사례의 시사점을 종합한 통합과 통일 이후 평양 도시공간 관리에 관한 정책을 결론으로 제언한다. 첫째, 평양 미래 발전방향과 사회통합을 위한 장기 비전계획을 수립한다. 통합과정에는 급진적 세력이 주도하고 경제적 도시개발 논리에 따라 도시공간이 극단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장기 발전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와 분야별 실행계획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둘째, 평양 내 혁명적 도시공간은 합리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관리한다. 중심부 김일성광장 주변과 공공건축, 기념비적 조형물 등 혁명적 도시공간은 평양 주민 중 적대적 계층과 남한 주민 일부가 ‘불편유산’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철거보다는 객관적 시각에서 가치를 재분석하여 사회적 협상과 합의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기간 합의가 필요할 경우에는 우선 보전지구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주의 모범도시인 평양에 맞는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한다. 평양 장기 비전계획의 실행계획으로 체제 전환의 도시화 과정에 적합한 계획원칙을 수립한다. 통합과정과 통일 이후 평양 도시화로 예측된 토지사유화, 수도 인구 집중화, 도시중심부의 상업공간 변화, 노후 살림집과 공공건축물의 재개발, 시가지 외곽지역 무분별한 개발사업을 통제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실행계획에는 소요재원의 재원조달계획이 포함되어야 실행력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평양을 통일시대 화해공간으로 활용한다. 통합과 통일시대는 남북한이 서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공간은 물리적인 요소와 사람과 사람의 활동이 종합된 것으로 남북한이 서로를 이해하는데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도시공간을 활용한 관광과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혁명수도 평양에 대한 불편유산 인식이 최소화되고 한민족 공동체형성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역사도시 평양의 명맥을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발전시킨다. 북한은 체제 유지를 위한 혁명적 역사성을 강조하며 한민족 역사 일부가 배제되거나 왜곡된 부분이 있다. 남북한이 평양 역사를 공동으로 연구하여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사라진 역사와 도시 공간을 복원한다. 여섯째, 남북한이 공동으로 평양 도시공간관리를 위한 제도 수립과 전문가 양성을 위해 노력한다. 평양 도시관리를 위해서는 도시 기초조사 시행과 도시계획과 관리에 필요한 법률과 제도 수립이 필요하다. 통합시기 즉시 시행을 위해서는 남북한이 공동으로 제도정비 틀을 만들고 각 분야별 전문가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