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거주유형과 유해성 지식수준에 따른 대학생들의 전자담배에 대한 태도 연구 : 건강신념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s E-cigarettes,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dence and the knowledge of harmfulness :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전자담배 이용과 평생 사용확률이 증가 중인 상황 속 생애의 건강행위 실천을 위한 생활 습관이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Rosenstock의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을 사용해 거주유형별 형태와 지식수준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 전자담배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필요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일정한 양식인 설문조사를 인터넷 조사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5.0과 AMOS 23.0을 사용해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전자담배에 대한 건강신념에 있어 자아효능감,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장애성, 지각된 심각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자담배에 대한 유해성 지식수준을 성분, 기기, 에어로졸, 이용자 측면으로 나눠 측정하였다. 응답자들의 지식수준은 8점 만점의 중간수준인 평균 4.07점으로 나타났으며, 니코틴과 타르의 유해성에 대해서는 높은 정답률을 기록했지만, 전자담배에 함유된 발암물질과 니코틴 함유량에 대해서는 낮은 지식수준을 보였다. 셋째, 거주유형별 형태는 전자담배에 대한 건강신념변인(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 자아효능감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자담배 유해성 지식수준은 지각된 민감성, 심각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자담배에 대한 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해 실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모형1에서는 전자담배에 대한 태도에 지식수준과 전자담배 사용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모형2에서는 통제변수인 지식수준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외 변수들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외생변수 중 전자담배에 대한 태도에 지각된 장애성은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민감성과 자아효능감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궐련형 담배가 아닌 신종담배이자 무연담배인 전자담배와 관련해 높은 설명력을 가진 자아효능감과 전자담배 관련 유해성 지식을 추가해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전자담배에 대한 잘못된 믿음과 인식이 퍼져있는 상황 속 전자담배 사용 여부, 지식수준, 건강신념변인 파악과 전자담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해 WHO FCTC 12조 조항 이행과 재추진, 전자담배에 대한 국내 법·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llege students health beliefs and attitudes in relation to E-cigarettes. Because the prevalence and lifetime use of E-cigarette use is increasing among college students, which is an important time when lifestyle habits are determined to practice lifelong health behavior. So Rosenstock's Health Belief Model was using to examine the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a living arrangement and level of knowledge of e-cigarette harmfulness. In doing so,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mpact on attitudes toward e-cigarettes. e-cigarettes. Based on this, an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eoul.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and AMOS 23.0.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One-way ANOV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showed high self-efficacy,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arriers, and perceived severity in the order of health beliefs about E-cigarettes. Next, when measuring knowledge, respondents had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nicotine and tar, but a low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carcinogens and nicotine content in e-cigarettes. For Research Hypothesis 1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residence had no effect on the health belief variables(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for E-cigarettes. However, For Research Question 1 knowledge of E-cigarette harm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Fin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setting the attitude toward E-cigarettes as a dependent variable were as follow. Model 1 showed that knowledge of E-cigarette harms and E-cigarette use influenced attitudes toward e-cigarettes. Then, in Model 2, only the control variable, knowledge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The other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additional factors of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lf-efficacy had a negative effect, while perceived barriers had a positive effect.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Health Belief Model by adding self-efficacy and E-cigarette harmfulness knowledge, which have high explanatory power in relation to E-cigarettes, a new type of tobacco that is not a cigarette. In particular,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a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Article 12 of the WHO FCTC and the improvement of domestic laws e-cigarettes by identifying the level of knowledge on the harmful effects in the context of widespread misconceptions about E-cigarett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