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 해명자료의 메시지 전략과 언론인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ssage Strategy in Clarification Statement issued by Local Governments And Journalists' Perception
- 주제어 (키워드) 해명자료 , 메시지 전략 , 지방정부 , 메시지의 측면성 , 결론제시의 명료성 , 핵심주장의 배치 , 해명자료의 수위 , 근거자료의 제시 , Clarification Statement , Message Strategy , Local Governments , Journalists' Perception , Message Sidedness , Clarity of Conclusion , Organizing Key Argument , Level of Explan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수연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저널리즘·출판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258
- UCI I804:11029-00000007025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정부PR 과정에서 정부와 언론의 시각차로 인해 수시로 발생하는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기제로써 해명자료가 갖춰야 할 요건을 메시지 전략 측면에서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해명자료는 정부와 언론이 첨예하게 대립하여 법적 해결이 필요한 교착상태에 이르기 전에 양측의 갈등을 조정하고, 나아가 정책의 질 개선을 통해 사회 전체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실제로도 정부 부처와 지방정부마다 해명자료를 빈번히 사용하고 있으나, 기관마다 서로 다른 용례를 갖고 있어 해명자료가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시지 전략 관점에서 해명자료의 구조, 내용, 수위에 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양적‧질적 연구로 내용분석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시행하였다. 해명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에서는 충청권 지방정부가 민선 6‧7기 8년간 작성‧배포한 총 178건을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해명자료의 구조에서 메시지의 측면성은 142건(79.8%)이 일면적으로 구성되었고, 명료성 항목에서는 113건(63.5%)이 직접적이고 명료하게 주장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충청권 지방정부들이 단일 관점에서 언론보도 내용에 대해 경쟁적으로 해명하는 것이 언론보도에 대한 반박으로써 해명자료 본래의 목적에 더 부합한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핵심 주장의 배치에 대해서는 두괄식이 대부분이라는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병렬식이 88건(49.5%)으로 가장 많았고, 미괄식이 54건(30.3%), 두괄식이 20.2%(30건)로 확인됐다. 충청권 지방정부가 핵심 주장을 어디에 배치할지를 고민하기 보다는 충분한 해명을 통한 설득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충청권 지방정부를 출입하고 있는 언론인들 은 방송 매체와 지면‧인터넷 매체를 구분하여 전자는 일면적, 두괄식 구성을, 후자는 양면적, 병렬식 구성을 선호하였다. 둘째, 해명자료의 내용에 대해서는 짧게 끊어서 요점이나 단어를 나열하는 개조식이 151건(84.8%)으로 가장 많았고, 오보임을 확정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우회적인 방식으로 독자에게 스스로 판단하게 한 사례가 92건(51.7%)으로 많았다. 언론보도에 대한 반박이라는 취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언론인과의 감정적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다만, 이에 대해 언론인들은 객관적 오보에 대해서는 확정적인 표현을, 주관적 오보에 대해서는 우회적인 표현을 더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셋째, 해명자료의 수위에 대해서는 사실 부인 97건(54.5%), 책임 부인 40건(22.5%), 중요성 부인 17건(9.6%)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해명자료가 언론의 비판‧부정보도에 대한 정부 기관의 주장이라는 점에서 부인이나 반박이 우선 시 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언론인 역시 사실 부인 이외에 책임 부인, 또는 중요성 부인은 정부 기관으로서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라고 보았으며, 이러한 해명자료에 대해서는 주목할 만한 가치도 낮다고 평가하였다. 근거자료의 제시에서는 해명 수위가 강할수록 출처를 갖춘 근거자료가 제시된 경우가 많았고, 해명 수위가 낮아질수록 출처 없이 추정만 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다만, 언론인들은 어느 경우에서도 해명자료 내 주장에 대한 근거를 충실히 제공하여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배포된 해명자료를 대상으로 구조, 내용, 수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언론인의 수용도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해명자료의 메시지 전략 구성에 참고할 만한 단서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quirements for clarification statements in reaction to a false report in terms of message strategy as a mechanism to resolve conflicts over different viewpoin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in the process of government PR. Clarification statement is very useful as it coordinate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before reaching a deadlock which require legal settlement and in addition, positively contribute to society by improving the quality of policies. Although government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issue Clarification statements very frequently, each has different examples and usages, so it is time for an in-depth discussion to analyze requirements for Clarification statement. Therefore, this study set research questions about the structure, content, and level of rebuttal in Clarification stat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message strategy, and conducted content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subject of analysis was a total of 178 cases distributed by the 6th and 7th Chungcheong region local governments over the past 8 yea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tructure of Clarification statement was mostly one-sided in the aspect of the message sidedness, and most of the arguments were directly and clearly presented in terms of clarity. It is inferred that local governments think that competitive explanations from a one-sided view serve the original purpose of refuting false media reports. As a result of preliminary research, most of the core arguments were arranged in an introduction, but in this study, most were placed in parallel, then in the conclu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securing persuasiveness with sufficient explanation is given priority rather than considering the arrangement of key arguments. According to journalists, broadcasting media favored one-sided messages in the introduction, whereas newspaper and internet media preferred two-sided messages with a parallel structure. Second,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most of them were briefly listed around the main points or words and indirectly induced readers to judge for themselves as a false report. It is an effort to minimize emotional friction with the media without undermining the purpose of refuting media reports, however, journalists argued that it is more desirable to express firmly about objective errors and indirectly for subjective erro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explanation,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denial of fact, denial of responsibility, and denial of importance. As the Clarification statement is an argument against criticism and negative reports, denial or rebuttal takes precedence. Journalists rated it as undesirable to deny responsibility or importance as a government agency and that such clarification was of low value. Higher levels of explanation provided more evidence with sources, and lower levels of explanations often led to inferences without sources. In response, the journalists demanded that they faithfully provide the basis for their claims in any cas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ey clues to build an effective message strategy by analyzing the structure, content, and explanatory level of Clarification statement and examining the differences and changes in acceptance of journalist by catego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