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다문화시대 아시아계 결혼이주여성 관련 보도 특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의 기사를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n the Reporting Characteristics of Asian Marriage Migrant Women in the Multicultural Era: Focusing on articles from <Chosun Ilbo>, <Donga Ilbo>,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과 관련된 문제들은 ‘젠더 문제’라는 하나의 층위로 드러나지 않으며, 사회적 계층구조와의 관계 속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한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언론이 결혼이주여성을 어떻게 재현하는지,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계층계급에 따른 언론의 재현 양상을 어떻게 달리 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생산하는 주체 중 하나는 언론이라 할 수 있다. 언론은 결혼이주여성들을 신비화 혹은 문제화하는 방식으로 재현한다. 그 결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동정적’ 시선과 동시에, 그 동정의 이면에 있는 감정, 즉 ‘경계심’ 또한 만들어내며,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양극화된 시선을 구성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에 관한 대다수 언론보도 선행연구들은 ‘여성’에 포커스를 맞추어, 젠더 관점에서 해당 문제에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계층계급이라는 새로운 분석단위를 제시함으로써, 비판적 관점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련 기사의 전체적인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다음에, 아시아계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 계급적 또는 경제적 위치가 언론보도에 어떻게 다른 양상을 가져오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방법론으로 양적인 분석으로서의 내용분석 방법과 신문 보도의 상징체계 및 담론구조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동시에 수행했다. 연구대상은 데이터베이스 빅카인즈를 통해 6개 키워드(‘결혼이주여성’, ‘결혼 이주 여성’, ‘여성 이주민’, ‘이주여성’, ‘국제결혼’,‘다문화가정’)에 관한 보수신문 <조선일보> 29건(5.3%), <동아일보> 172건(31.4%), 진보신문 <경향신문> 199건(36.3%), <한겨레> 148건(27.0%)으로, 총 548건의 기사를 선정했다. 양적분석 수행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해 언론의 이념적 성향에 따른 보도 특성에 개괄적인 차이를 살펴보았다. 보수매체와 진보매체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상반된 보도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일보>의 경우 스트레이트 보도가 많았으며, 가정폭력과 같은 ‘사적인’ 문제를 주로 다룬다. 또한 취재원 활용에 있어서, 정부 측 취재원에 강하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갈등 원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이 갖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지목하였고, 중립적인 논조가 절반 이상으로 차지하고 있었다. 반면,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시민 활동가, 이주여성 지원단체, 이주여성 당사자 등 다양한 취재원을 활용함으로써 다문화정책을 비판하고 심층적 또는 구조적인 원인을 분석하는 등 결혼이주여성 이슈를 사회구조적 문제로 의제화한다. 이를 종합해볼 때, 신문사들 특히 보수매체들은 신문사의 이념적, 정파적 의례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보수언론들은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해 구체적인 관심을 갖고 접근하기 보다는 스스로의 이념성을 표현하는 수단 및 소재로서 이용하고 있음을 말한다. 기사에 대한 심층적인 질적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신국 지위에 따른 언론들이 차별적인 보도 행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보수매체는 아시아계, 그리고 개도국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한국에 통합시켜야 할 성적인 대상 즉 상품으로 간주하며, 그들에 대한 비극적이고 선정적인 기사를 양산하고 있다. 반면, 일본 혹은 러시아와 같은 한국과 유사한 국제적 지위 국가 출신의 여성들은 주체적 존재로 간주한다. 진보매체는 개별적 이주여성의 출신국에 따른 경제적 문제를 의제화하고, 그 취약성을 결혼중매업의 전략적인 창구로 이용하는 한국 국제결혼 중매사업 및 국가제도를 비판한다. 종합적으로 보수적 신문사들은 한국, 즉 한국 남성이 결혼이주여성의 생산성을 자신의 생산성 아래 종속시키려는 모습을 ‘정상’적으로 보이도록, 여론을 구성한다. 이때의 생산성이란, 젠더적 재생산성과 경제적 생산성을 모두 포괄하는 중층적 위계관계를 가리킨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edia reproduces migrant women by marriage, with a critical mind that problems related to marriage migrant women are not revealed as a single layer of 'gender issues', but occur in a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hierarc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representation of the media differs according to the clas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e of the subjects that produce various discussions about marriage migrant women is the media. The media reproduces marriage migrant women in a way that mystifies or makes a problem. As a result, at the same time as the 'sympathetic' gaze toward marriage migrant women, the emotion behind the sympathy, that is, 'vigilance' is also created, forming a polarized gaze toward marriage migrant women. Most of the precedent studies on media reports on marriage migrant women tend to focus on 'women' and approach the issue from a gender perspective. In contrast, this study seeks to expand the critical perspective by presenting a new unit of analysis called class. To this end,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e overall tendency of related articles, and then examines how Asian marriage migrant women's country of origin, class, or economic position bring different aspects to media reports. As a methodology, a content analysis method as a quantitative analysis an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ymbolic system and discourse structure of newspaper report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bout 6 keywords(‘marriage immigrant woman’, ‘marriage immigrant woman’, ‘female immigrant woman’, ‘immigrant woman’, ‘international marriage’,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the database Big Kinds. Conservative newspaper <Chosun Ilbo> 29 articles (5.3%), <Donga Ilbo> 172 articles (31.4%), progressive newspaper <Kyunghyang Shinmun> 199 articles (36.3%), <Hankyoreh> 148 articles (27.0%), a total of 548 articles selected articles. Through the analysis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general difference in report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deological propensity of the press was examin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servative media and the progressive media show conflicting reporting trends on marriage migrant women. In the case of <Chosun Ilbo>, there were many straight reports, and it mainly deals with 'private' issues such as domestic viol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rong reliance on government sources in the use of news sources. <Chosun Ilbo> and <Dong-a Ilbo> pointed out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immigrant women as the cause of the conflict, and neutral tone occupied more than half of them. On the other hand, <Kyunghyang Shinmun> and <Hankyoreh> used various sources such as civic activists, migrant women support groups, and migrant women to criticize multicultural policies and analyze in-depth or structural causes to address marriage migrant women's issues as social structural ones. agenda with Taken together, it can be confirmed that newspaper companies, especially conservative media, are not outside the range of ideological and partisan rituals of newspaper companies. In other words, conservative media use them as a means and material to express their ideology rather than approaching them with specific interest in marriage migrant women. Through an in-dept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media showed discriminatory report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country of origin of marriage migrant women. Conservative media considers Asian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developing countries as sexual objects that should be integrated into Korea, and produces tragic and sensational articles about them. On the other hand, women from countries with international status similar to Korea, such as Japan or Russia, are regarded as subjective beings. Progressive media raises the agenda of economic problems according to the country of origin of individual immigrant women and criticizes the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age business and national system in Korea, which use the vulnerability as a strategic window for matchmaking. Overall, conservative newspapers organize public opinion to make South Korea, that is, Korean men's attempt to subordinate the productiv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to their own, to look 'normal'. Productivity at this time refers to a multi-layered hierarchical relationship that encompasses both gendered reproduction and economic productiv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