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 네트워크이론과 일본 제품 불매운동 전개 과정
International Relation Network Theory and Development Process of Japanese Product Boycott
- 주제어 (키워드) 국제관계 , 국제관계 네트워크이론 , 불매운동 , 일본 , 사례연구 ,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national relations network theory , Boycott , Japan , Case stud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완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국제관계·통상외교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217
- UCI I804:11029-00000007021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논문은 한일 무역 분쟁의 한 사례로서 일본 기업 제품 불매운동에 대한 국제관계 네트워크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해방 이후 현재까지 한일관계의 경색을 초래하는 정치적 이슈가 불거질 때마다 발생하는 불매운동이 국내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전개되었는지 ‘국제관계 네트워크이론’을 근거로 거시환경과 국제관계의 구조적 관계성 파악을 통해 한국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한일 양국 간 유사한 갈등이 발생할 시 국제관계의 시각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 것이다. ‘불매운동’을 주제로 진행된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불매운동의 태도, 인식조사 등에 관한 결과를 통계적 분석 방법을 적용한 양적 연구를 근거로 관광학, 소비자학, 광고학이 주목하는 소비자 행위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한일관계의 반목(反目)의 계기로 작용한 불매운동의 배경, 동기 및 전개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지 및 학위논문, 각종 연구물과 학술 보고서, 각종 보도자료 및 사설 등의 언론 자료를 근거로 양국의 불매운동의 전개 과정을 분석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19년 7월 1일 이후부터 2022년 하반기까지 한정하였으며, 이는 일본 경제산업성이 한국 수출 시 건별로 개별허가를 규제하겠다고 공표한 시점을 기준으로 적용했다. 공간적 범위는 거시환경의 차원에서 국제 환경, 한일 양국 간 관계, 양국의 국내 환경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거시환경의 범주에서 국제관계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인 행위자, 상호작용, 관계구조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불매운동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결과물을 도출하였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밝히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analyzes a Japanese companies' product boycott by applying the international relations network theory as an example of a trade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In detail, this study is about How the boycott, which has occurred whenever political issues that have caused a strain in Korea-Japan relations from the liberation to the present, was formed and developed in Korea by ident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macro-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International Relations Network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finding strategic ways to effectively deal with similar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future. existing studie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boycott’ were mainly focused on consumer behaviors that tourism, consumer studies, and advertising studies pay attention to, based on quantitative studies that appli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on the results of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boycotts. However, These approaches have limitations in specifically analyzing the background, motive,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boycott that acted as an opportunity for enmity between Korea-Japan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results by analyzing the case stud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this e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boycott in both countries was analyzed based o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various research papers and academic reports and various press releases and editorials. The time range was limited from July 1, 2019 to the second half of 2022, which was applied, based on the time when Japanese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announced that it would regulate individual licenses for exports to Korea. As for the spatial scope,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domestic environment of the two countries were analyzed longitudinally in terms of the macro environment. Furthermore, in this macro-environmental category, this study has focus on cla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how the interaction of actors, interactions, and relational structure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network, led to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outcomes of the boycot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