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조직 내 협업 툴 이용이 조직원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 동일시, 조직지원, 직무만족도, 업무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the use of collaboration tool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ompany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support, job satisfaction, self efficacy toward work

초록 (요약문)

최근 조직 내 퇴사율이 증가하고 있다. 조직은 조직원의 이탈을 예측하고,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원을 투입하는데, 조직 내 효과적이지 못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은 구성원이 조직을 떠나는 결정을 내리도록 이끈다. 조직의 생활방식에 적응하는 개인의 사회화 과정의 맥락에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통해 조직원의 이탈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조직원의 이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회가 되었음에도, 이직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대면 근무 방식이 확산되면서 현대 조직 사회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새롭게 도입된 협업 툴(team collaboration tools)의 조직변인 및 이직 의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네 가지 협업 툴 이용 변인(협업 툴 이용 의사소통 유용성, 협업 툴 이용 의사소통 의존도, 협업 툴 이용 공동작업 수준, 협업 툴 이용 피로도)이 조직변인(조직 동일시, 조직지원, 직무만족도, 업무 효능감),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 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협업 툴 이용을 통한 의사소통 의존도와 협업 툴 이용을 통한 피로도는 이직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협업 툴 이용 피로도의 경우 직무만족도를 매개해 이직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협업 툴 이용 시 경험하게 되는 공동작업의 수준은 이직 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조직 동일시와 직무 만족도를 통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협업 툴 이용을 통한 과도한 업무 수행 시 조직원이 이직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협업 툴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협력이 조직 동일시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때 이직 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more

초록 (요약문)

Recently, the rate of resign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has been increasing. The organization actively invests resources to predict and prevent the departure of members, and the ineffective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in the organization leads members to make decisions to leave the organ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s socialization process that adapts to the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process of leaving members through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in the organization. However, even though it has become a society where members frequently leave, research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at affects the turnover proces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eam collaboration tool as newly introduce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hannel in modern organizational society on organizational variables and turnover intention.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ed a research model showing the effect of four collaborative tool use variables (usefulness of communication using collaborative tools, dependence on communication using collaborative tools, level of collaborative work using collaborative tools, and fatigue using collaborative tools) on organizational variable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toward work).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ommunication dependence through the use of collaboration tools and fatigue through the use of collaboration too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in the case of fatigue using collaboration tools, job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collaboration experienced when using collaboration too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negative effect throug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ied when excessive work is performed through collaboration tools, members can consider turnover, and when cooperation experienced through collaboration tool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it can reduce turnover inten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