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내셔널한 관점으로 본 K-Pop의 특성 연구 : 외국인 팬과 안티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Pop from a Transnational Perspective : A Focus on the International Fans and Anti-Fans of K-Pop
- 주제어 (키워드) 한류 , K-Pop , 팬 , 안티팬 , 한류 수용자 , 트랜스내셔널리즘 , 초국가주의 , Hallyu , The Korean Wave , K-Pop , fan , anti-fan , audiences of K-Pop , transnationalis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원용진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202
- UCI I804:11029-00000007020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지난 20년간 수행된 주류 한류 연구가 다소 한국 중심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대부분 양적 방법론과 2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며 주로 한류의 정치경제적 효과를 살펴본 것에 비해, 최근의 여러 한류 연구는 트랜스내셔널리즘과 혼종성 등 여러 다원적이고 개방적인 이론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열린’ 관점을 기반으로 주로 한류 콘텐츠 수용자의 다채로운 수행성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수행성에 집중하기 시작한 최근의 한류 연구는 지난 20년간 수행된 기존 한류 연구의 장을 보다 넓힐 수 있는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내고 있다. 이 연구 역시 앞으로의 한류 연구를 보다 확장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트랜스내셔널리즘 이론을 연구의 인식론적 틀로 삼았다. 하지만 최근의 여러 한류 연구와 같이 수용자가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수행성 그 자체에 대해 살펴보기보다는, 이러한 수행성을 가능하게 하는 수용자 외의 또 다른 축인 한류 콘텐츠에 집중했다. 이 연구는 한류 콘텐츠 자체에 초점을 두는 것을 통해 한류 연구자들이 한류라는 대중문화물 속에서 수용자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수행성을 포착하고 이를 통해 전 세계적 차원에서 보다 다채로운 의미와 맥락을 새롭게 읽어낼 수 있었던 전제조건에는 수용자뿐만 아니라 한류 콘텐츠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는 여러 한류 콘텐츠 중에서도 특히 K-Pop 콘텐츠가 가진 고유한 특성과 품질에 대해 읽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아이돌 그룹 BTS의 외국인 수용자들을 팬과 안티팬으로 구분한 뒤, 서면 인터뷰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에서는 K-Pop에서 어떤 차별성을 느끼고 있는지, K-Pop에 대해 어떤 이해와 해석을 하고 있는지, 어떤 개인적 및 집단적 차원의 수행성을 수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K-Pop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 물어보며 수용자의 입장에서 귀납적으로 K-Pop을 정의해보는 것을 시도했다. 다시 말해, 내셔널을 초월한 관점을 기반으로 수용자의 입장에서 K-Pop 콘텐츠를 이해해 보려는 과정을 통해 한류 현상의 의미를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인터뷰 분석 결과, 이 연구는 K-Pop을 다른 대중문화물과 비교했을 때 K-Pop 콘텐츠가 가진 고유한 특성과 품질을 총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K-Pop이 가진 네 가지 트랜스내셔널한 특성을 읽어낸 것을 통해 외국인 수용자들이 K-Pop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이유는 K-Pop과 관련된 한국성 혹은 한국적인 요소와 관련이 있다기보다는, K-Pop이라는 콘텐츠와 품질과 관련된 각 수용자의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경험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수용자들은 K-Pop과 관련된 내셔널적 요소를 이해하고 인지하고 있으며, K-Pop 콘텐츠를 각자 향유하는 개인적인 과정 속에서 내셔널적 요소를 포용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초월하는 새로운 의미와 맥락을 개별적으로 고유하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K-Pop을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한류와 같은 전 세계적 차원의 인기 대중문화물을 살펴볼 때 트랜스내셔널 관점이 가진 유용성도 파악할 수 있었으며 K-Pop은 다양한 수용자들에게 문화적 확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한류 연구는 여러 세계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다양한 경계가 흐려지고 있는데다가,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초국적 미디어 환경을 이해하기에 적합한 보다 다원적이고 개방적인 관점을 사용할 것을 제의한다. 즉, 그동안의 한류 연구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된 민족주의적 관점 혹은 한국 중심적인 관점과는 다른 새로운 시각들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미래 한류 연구의 주제 또한 기존 한류 연구의 장에서 다소 새로운 논의인 트랜스내셔널한 수행성이라는 주제를 계속해서 이어나가되 수용자뿐만 아니라 한류 콘텐츠 그 자체에도 관심을 둘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이렇듯 연구 시각, 연구 방법, 연구 주제의 확장과 발전을 통해 앞으로의 한류 연구가 한류라는 대중문화물에서 보다 다채로운 의미와 맥락을 읽어내길 바라는 의도를 가지고 수행되었다.
more초록 (요약문)
Most of the research conducted during the past 20 years on Hallyu (the Korean Wave) mainly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secondary data. The number of topics that these studies focused on was also limited, which were usually the political and economic effects of Hallyu. However, recent studies in Hallyu started using theories with pluralistic, deconstructive, and open perspectives such as transnationalism and hybridity. These relatively new theories or perspectives were proven effective in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audiences of Hallyu. By focusing on active and independent subjects such as fandoms and looking into the multifaceted performances of these audiences, these recent studies were able to expand the scope of Hallyu Studies. This study also aims to further expand and develop future Hallyu Studies and used the transnationalism theory as the main epistemological framework. Although this study takes a transna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did not focus on audience performances. Rather,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nt or texts of Hallyu, which is another axis that creates audience performances other than the audiences themselves. In other words, this study tried to emphasize that there are two prerequisites that research on Hallyu should focus on in order to properly capture and analyze the diverse meanings behind the unique performanc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groups of audiences: the audiences themselves and the media content or text itself. Ultimately,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unique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K-Pop media texts compared to other popular culture texts. In order to do so, written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international (non-Korean/foreign) audiences of K-Pop. These audienc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fans and anti-fans. In the interview, both fans and anti-fans were asked what kind of unique differences does K-Pop have, how they understand or interpret K-Pop, what kind of individual or collective performances they perform regarding K-Pop, and how they evaluate K-Pop. With these interview questions, this study used inductive reasoning and tried to induce the context, meanings, characteristics, and unique qualities of K-Pop from the audience’s point of view. In other words, by trying to understand K-Pop texts and contents from a transna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Hallyu in a new and different way from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summarize the four unique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that K-Pop has compared to other popular cultures. By analyzing the four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that K-Pop has, this study was able to find the reasons why foreign audiences like or dislike K-Pop. This was not because audiences focused on the Korean-ness or Korean elements that K-Pop had. Audiences liked or disliked K-Pop because they understood and recognized the ‘national’ elements related to K-Pop, and transcended them to form unique and personal reasons that were individually meaningful to them. Furthermore, this study was able to emphasize the usefulness of the transnational perspective when conducting research on popular culture texts such as the Korean Wave at a global level. In addition, 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K-Pop texts and contents were acting as a mode of cultural expansion for various audiences, which means that K-Pop allows audiences to expand the spectrum of what they identify as themselves while interacting with pop culture in a transnational media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on Hallyu should use more pluralistic and open perspectives such as transnationalism, which a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rapidly changing transnational media environment. In other words, future studies should aim to differ from nationalistic or Korean-centered perspectives which were repeatedly used in previous stud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keep adding to the new discussion regarding audience performances in the field of Hallyu Studies, but focus on the text itself as well as the audiences, which are the two elements that create audience performances and make this audience performativity have a wide and diverse spectru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