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생이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매개로
The Influence of Perceived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Job Seekers’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 The Role of Internalized Shame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 주제어 (키워드) 취업준비생 , 부모 심리적 통제 , 내면화된 수치심 , 불확실성에 대한 인 내력 부족 , 정서 , 성격적 진로결정어려움 , job seeker , psychological control , intolerance of uncertainty , internalized shame ,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안명희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199
- UCI I804:11029-00000007019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이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 내면화된 수치심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4년제 대학교 재학 4학년 이상 혹은 졸업한 남, 녀 취업준비생(남: 212명, 여:214명)를 대상으로 한국판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그리고 진로결정의 어려움 관련 정서 및 성격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Mplus 7.0을 사용해 기술통계분석, t-검정,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부스트래핑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인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지각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그리고 진로결정어려움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독립표본 t-검정 실시 결과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 평균 값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각 성별에 따른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 평균값 차이를 살펴 본 대응표본 t-검정 실시 결과 아들 집단의 경우 평균 값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딸 집단의 경우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셋째,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불확실성 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매개로 진로결정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수준이었다. 구체적으로,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진로결정어려움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내면화된 수치심을 가중시키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을 저하하여 진로결정어려움을 심화했다. 한편 지각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불확실성을 순차적 저해하여 궁극적으로 진로결정어려움을 심화했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심리적 통제가 진로결정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그동안 주로 청소년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던 진로 관련 연구를 진로 결정에 대한 의사 결정이 당면과제인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진로 관련 선행연구는 진로결정의 어려움을 주로 인지적차원에서 합리적인 진로 결정을 하지 못하는 상태인 진로 미결정으로 개념화했고 진로결정의 어려움을 관련 정서, 성격적인 측면으로 접근한 경우는 없었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이를 부모심리적 통제가 진로결정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본 경우가 없었다. 따라서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는 상태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우유부단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정서, 성격적 요인을 고려해 상담 현장에서 진로결정 관련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업준비생에 대한 차별화된 상담 개입에 유용한 실증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장, 단점과 의의,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young men and women (212 male, 214 female) who were either college seniors or have graduated from 4-year college and are in active job search. Measures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cale, Internalized Shame Scal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and EPCD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and Mplus 7.0 The main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variables, perceived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all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the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paired t-test indicated that the difference of average value between the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mother and father is not significant in the male group, but the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mother compared to fathers is significantly higher for females. Third, the model’s goodness of fit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perceived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ing internalized shame, which led to increased intolerance of uncertainty, resulting in increas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Specifically,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directly and wit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e internalized shame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care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career decision making which have been mainly based 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The current study shed light on the difficulties with emotional and personality asp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eniors and graduates who are actively job searching. Most of previous studies on career decision making conceptualized difficulty with career decision in terms of cognitive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did not approach from the emotional aspect. Also there was no prior study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path of influence from the parental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ol to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provide useful empirical evidence for understanding those clients in counseling who are experiencing distress while in active job searc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s an important factor of emotional and chronical career dicision-making difficulties. The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have different impact in the pathway of influence from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to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e fact that females experience mor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to provide more specific intervention in counseling. Strength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