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페미니스트 주체의 자기 구성과 경계 횡단하기
The construction of a male feminist and the transgression of boundaries
- 주제어 (키워드) 남성 페미니스트 , 페미니즘 , 페미니즘 주체 , 예속화 , 수행성 , 역담론 , 횡단성 , male feminist , feminism , subject of feminism , subordinate , performativity , counter-discourse , transversal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원용진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181
- UCI I804:11029-00000007018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이 글은 비/생물학적으로 여성의 범주에 속하지 않은 이들이 어떻게 페미니즘 정체성이나 정치성을 획득하는지 살핀다. 페미니스트가 곧 여성이라는 관습화된 재현 속에서 기존의 담론 질서는 남성 페미니스트의 존재를 페미니즘 경계 밖으로 분리하거나, 남성성 목록에 추가‧제외시키는 속성으로만 파악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남성 페미니스트들이 스스로 생산한 담론 역시 반성과 개심의 장르적 특성을 띠거나 ‘안전한 페미니즘’ 안에서 논의를 반복하는 균질화된 경향을 보였다. 연구자는 균질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남성 페미니스트 서사에 의문을 품었으며, 남성 페미니스트들의 주체화 과정을 들여다봄으로써 그것을 가능하게 했던 조건들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남성 페미니스트들의 예속과 반복적 수행, 역담론의 개입 등 주체화의 복잡한 층위를 읽어내기 위해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주체론과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 수행성, 로지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의 횡단성 개념을 분석의 틀로 삼았다. 그리고 이를 경유하여 남성 페미니스트 주체가 어떻게 가부장제 권력-페미니즘 역담론과 상호적으로 관계 맺는지, 표면적 발화와 수행에 내재한 규범은 무엇인지, 또 어떠한 횡단적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했다. 연구는 트랜스 남성(FTM)을 포함한 15명의 남성 페미니스트들을 직접 대면하여 인터뷰함과 동시에 자서전 형식의 글들과 저전적 연구 8권을 메타적(meta-analysis)으로 검토하는 작업을 병행했다. 남성 페미니스트들은 대부분 ‘정상적’ 젠더 궤도를 밟아가는 과정에서 규범적 남성성을 일정 부분 체화했으나, 동시에 호모소셜이 추구하는 남성성과 불화를 경험했다. 이들은 상대적 타자의 위치에 놓여짐으로써 절대적 타자로 조건 지어진 여성을 만났다. 불화하는 감각을 개인적 문제로 축소하지 않고 확장함으로써 타자화된 이들의 경험과 연결시킨 것이다. 이때 페미니즘은 자기 이해의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스스로를 돌볼 수 있게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젠더 무의식의 출몰을 강력하게 통제하는 역담론으로 기능하기도 했다. 역담론으로서의 페미니즘을 반복적으로 인용하는 과정에서는 남성성 규범을 따라야 한다는 담론적 요구가 비틀렸으나, 생물학적 남성을 지배적 남성성과 등치하는 급진주의적 관념이 재생산되거나 정치적 역량이 개인의 의지와 태도 변화로만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남성 페미니스트들의 표면적인 발화와 행동 속에는 수도권 중심 문화, 정치적 올바름, ‘조신한’ 태도가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었으며, 이로부터 특정한 규범이 작동하고 있음을 독해할 수 있었다. 먼저, 남성 페미니스트들은 수도권이라는 입지 조건, 대학이라는 학력 자본을 바탕으로 페미니스트로서 정체감을 독려하고 강화해나갔으나, 불평등한 지식 접근성에 대한 문제는 온전히 개인이 해결해야 할 몫으로 남겨져 있었다. 이때 남성 페미니스트들의 자기 구성에 역설적으로 남성이라는 젠더가 가장 강력한 규정력을 가지며, 젠더 차별을 인식하지 않은/못한 자들을 단일한 이미지로 규정하는 능력주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하기 시작했다. 둘째, 터프(TERF)를 비판하는 언술 속에는 정치적 올바름이 페미니스트라면 반드시 추구해야 할 가치로 표상되고 있었으나, 때때로 그것은 과도하게 적용되면서 살균된 깨끗함 너머에 있는 불평등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여기에는 터프가 구성한 판을 재편하려는 의도보다 터프 발화의 도덕적 옳고 그름을 판단함으로써 3세대 페미니스트 주체로서의 진보성과 도덕성을 승인받고자 하는 욕구가 일부 내재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성 페미니스트들의 ‘조신한’ 태도로부터 전복된 젠더 위계를 읽어낼 수 있었다. 남성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 판 일각에서 요구하는 ‘성찰적 자세’, ‘반성과 개심’, ‘발언권 제한’을 비교적 잘 준수하고 있었으나, 이 과정에서는 정당한 문제 제기조차 자제해야 하는 딜레마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여성의 발화를 규제하는 가부장제의 작동 방식에서 발화 제한이라는 결과적 형식만 발췌하여 적용한 듯한, 말하자면 가부장제가 여성에게 강조해온 순응적이고 순종적인 이미지가 기계적으로 뒤집힌 채 적용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남성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 담론장에서 생산된 자신들에 대한 경계와 비/생물학적 위치로 인한 한계를 의식하면서도, 3세대 페미니즘 인식론과 연결 짓거나 새로운 의제를 설정하고, 남성 페미니스트 공동체를 조직화하는 방식으로 정치적 공간을 확보해 나갔다. 일부 남성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이라는 자신의 위치성을 전유(appropriation)하거나 접합(articulation)하는 방식으로 페미니즘 실천을 수행하기도 했다. 체화된 남성성을 비판적으로 검열하고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호모소셜에 대응하기 위해 남성성을 페미니즘 전략으로 활용한 것이었다. 또 다른 일부는 여성을 교환물로 소비하는 문화를 거부하거나, 동성애적 욕망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호모소셜의 성립 요건인 여성혐오-호모포비아 작동에 일시적 균열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 같은 수행은 자신을 구획했던 젠더 경계를 횡단하며 그 안팎에 배열된 의미들을 뒤죽박죽 재배열한다는 점에서 정치적이다. 이 글은 이미 규정된 의미에 정박하기보다 전유적 해석을 통해 재의미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기존 담론 질서가 남성 페미니스트를 페미니즘 경계 안도 밖도 아닌 곳에 배치했다면, 본 연구는 젠더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드는 횡단적 수행을 읽어냄으로써 남성 페미니스트들을 페미니즘의 새로운 정치적 주체로 부각했다. 남성 페미니스트들이 고정된 남성성 이미지의 취약성을 폭로할 뿐 아니라 남성/페미니스트로 구획된 경계 역시 허물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그리고 남성 페미니스트들이 보여준 이 같은 자기 구성력과 경계 횡단하기는 트랜스, 남성이 페미니스트가 되는 것이 더이상 모순이 아님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article examines how those who do not possess a female biological sex can adopt a feminist identity. In the representation that customarily portrays feminists as women, the existing discourse often regards male feminists as outsiders of the boundaries of feminism, or as exceptions that either include or exclude them from the category of masculinity. Additionally, the discourse produced by male feminists themselves often exhibits a tendency towards homogenization, either tak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 reflective genre or repeating discussions within a narrowly defined, ‘safe’ version of feminism. The researcher questioned the narrative of male feminists appearing in a homogenized form and attempted to identify the conditions that make this possibl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among male feminists. The researcher used Michel Foucault's theory of subjectivity, Judith Butler's concept of performativity, and Rosi Braidotti's idea of transversality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o understand the complex layers of subjectivity among male feminists, including their experiences of subordination, repetitive performance, and intervention of counter-discourse. Using these frameworks, I analyzed how male feminists engage with patriarchal power and feminism counter-discourse, the norms that are evident in their superficial utterances and practices, and the transversality characteristics that they display. The study conducted face-to-face interviews with 15 male feminists, including trans men (FTM), and also conducted a meta-analysis of 8 volumes of autobiographical writings. Most male feminists embody a certain level of normative masculinity in the process of conforming to traditional gender roles, but at the same time experience conflict with the masculinity promoted by homosocial bonds. They encountered women who were conditioned to be perceived as absolute ‘others’ by being positioned as relative others. Rather than reducing this sense of conflict to a personal problem, they connected it to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have been constructed as ‘others’ by expanding his understanding of this discord. At this time, feminism provided a language of self-understanding that made it possible for individuals to care for themselves, but it also functioned as a counter-discourse that strongly regulated and controlled the appearance of gender un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repeatedly citing feminism as a counter-discourse, the discursive demand to conform to the norms of masculinity was disrupted, but the radical idea of equating biological men with dominant masculinity was reproduced, or the political capacity to bring about change was reduced to mere changes in individual will and attitude. In the superficial speeches and actions of male feminists, cultural elements centered on the metropolitan area, political correctness, and the ‘modest’ attitude frequently appear, and it is possible to see that certain norms are at work. First, male feminists fostered and strengthened their identity as feminists based on the location condition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academic capital of universities, but the issue of unequal access to knowledge was left to be resolved by the individual. At this time, male gender paradoxically becomes the most powerful determinant in the self-construction of male feminists, and a meritocracy ideology that defines a singular image of those who do not recognize gender discrimination begins to operate. Secondly, in statements criticizing TERFs(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ts), political correctness is presented as a value that feminists must strive for, but it is sometimes applied excessively, making it difficult to address inequality beyond a sterilized and sanitized surface. Furthermore, rather than an intention to reorganize state formed by TERFs, there seems to be an inherent desire to be recognized as a progressive and moral third-wave feminist subject by judging the moral rightness and wrongness of TERFs utterances. Finally, I was able to observe the reversal of gender hierarchy in the ‘modest’ attitude. Male feminists relatively well comply with the ‘reflection’ and the ‘restriction of the right to speak’ required by some parts of feminism. However, in this process, male feminists faced a dilemma in which they had to refrain from even raising legitimate issues. This demonstrates that the conformist and submissive image that patriarchy has emphasized for women is mechanically inverted, as if only the resulting form of speech restriction were applied from the way patriarchy regulates women's speech. Male feminists have secured political space by connecting to third-wave feminism's epistemology, setting new agendas, and organizing male feminist communities, while also being aware of the boundaries and biological position constructed for them in feminist discourse. Some male feminists practiced feminism by appropriating or articulating their position as ‘masculinities.’ This was done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 embodied masculinity and use masculinity as a feminist strategy to respond to homosocial bonds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distance. Others rejected the culture of consuming women as exchanges and, by revealing homosexual desire, temporarily disrupted the operation of misogyny-homophobia, which is a prerequisite for homosocial establishment. This kind of performance is political in that it crosses the gender boundary that divides and rearranges the meanings arranged within and outside it. This article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reinterpret and redefine meaning rather than anchoring itself in pre-defined meanings. If the existing order of discourse placed male feminists neither inside nor outside the boundary of feminism, this study emphasizes male feminists as a new political subject of feminism by reading a transversal performativity that flexibly crosses gender boundaries. This study confirmed that male feminists not only expose the vulnerability of a fixed masculinity image, but also break down the boundaries dividing men and feminists. Furthermore, this construction and border crossing by male feminists clearly showed that it is no longer contradictory for trans or male individuals to become feminis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