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별 통·반장 조례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ongjang and Banjang Ordinances in Local districts in Seoul
- 주제어 (키워드) 통장 , 반장 , 통·반 설치 조례 , 서울시 자치구 , Tongjang , Banjang , Ordinances on the Tongjang and Banjang , Local districts in Seoul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최정민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179
- UCI I804:11029-00000007017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코로나19로 인해 백신접종, 재난지원금 신청 등 모든 주민에게 전달되어야 할 사업이 등장하면서, 지역에 밀착하여 행정과 주민을 연결하는 통장의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다. 또한 2022년에는 개정된 지방자치법 및 동법 시행령이 시행됨에 따라 ‘통’과 ‘통장’의 법적근거와 통장의 임명방식에 대한 규정이 마련됨에 따라, 각 자치구의 조례 및 규칙을 상위법에 맞게 개정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통·반장에 관한 조례 및 규칙을 횡적으로 비교하여 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통·반장 제도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관련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조례 및 규칙의 개정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예시 개정안은 자치구 담당자가 조례 개정 시 참고할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역주민을 위해 진정으로 봉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통장이 원활히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주민들이 더 가까운 곳에서 밀착 행정서비스를 누리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의 조례는 통장의 임면 과정에 따라 통장의 자격, 선임, 임기, 해촉으로 구분해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반장 제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선행연구 및 자치구 통장 담당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의견을 수합하여, 제도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례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도출한 문제점과 관련 조례 개선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각 지역별로 통장의 업무환경과 지원율이 달라 공석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는 통장의 자격범위를 확대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령의 상한선은 없애고 하한선은 낮춘다. 또한 거주자뿐만 아니라 지역의 사업장 운영자 등도 통장이 될 수 있는 길을 열어둔다. 둘째로, 장기재임으로 통장직의 독점 발생에 대해서는 위촉제한 사유를 규정하고, 임기를 제한하여 최장 재임기간이 지나면 한동안 통장이 될 수 없도록 규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통장 선임 과정의 자의성과 관련해서는 통장심사위원회가 동장의 자의적인 판단이 아니라 시스템적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정족수 규정을 과반수가 아니라 2/3 이상으로 강화하여 개선하고자 하였다. 또한 통장 선임의 경우엔 최고득점자 기준을 채택하였다. 넷째로, 해촉 사유 규정이 불충분하고, 해촉이 실질적으로 동장의 의지에 달려 있다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조례에 규정된 공통적인 해촉 사유를 강화하고, 동장이 아닌 위원회에서 해촉을 결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주민들의 해촉 요구가 있을 경우에도 통장심사위원회를 열도록 규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역할이 미미해진 반장에 대해서는 점진적으로 그 규모를 축소하여 장기적으로는 반장제도를 폐지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현재 반장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이 거의 없기에, 반장제 축소에 따른 불편은 적은 반면, 예산 및 행정력 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다섯 가지 개선책을 반영한 조례안을 제시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COVID-19 has introduced projects that must be delivered to all residents, such as vaccination and application for emergency relief funds, and the Tongjang’s role of connecting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gion is being reevaluated. In addition, as the amended Local Autonomy Law and its enforcement decree, which will come into force in 2022, provide the legal basis for “Tong” and “Tongjang” and stipulate the method of appointment of Tongjang, it is needed to amend ordinances and rules to match the higher law.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by horizontally comparing the ordinances and rules on the Tongjang and Banjang of local districts in Seoul. Through this, I intend to draw out problems that arise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ongjang and Banjang system and present amendments of ordinances and rules that can improve related problems. The example amendment presented in this study not only serves as a reference for autonomous district officials when amending the ordinance, but also contributes ultimately to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qualified Tongjang can work smoothly to truly serve local residents, and the residents can enjoy close administrative services in a closer place. First of all, the analysis of the current ordinance was divided into qualification, appointment, term of office, and dismissal of Tongjang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ppointment and dismissal of Tongjang, and Banjang system was additionally analyzed. Furthermore, through preliminary studies and interviews with officials in charge of Tongjang system in local districts, I collected field opinions and identified problems in the system operation and suggested way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rough the ordinance.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study analysis and related ordinance improvement plan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f vacancies caused by differences in work environments and application rates for Tongjang in each region would be resolved by expanding the qualification range for Tongjang. The upper limit of age is removed and the lower limit is lowered. And it opens the way for not only residents but also local business owners to become Tongjangs. Second, for the monopoly of Tongjang post due to long-term tenure, the grounds for limiting the appointment would be stipulated, and a plan was presented to limit the term of office so that he or she would not become Tongjang again for a certain period after the longest tenure. Third, with regard to the arbitrariness in the process of appointing Tongjang, Selection Committee for Tongjang was systematically consisted, not by Dongjang’s arbitrary judgment, and would improve the quorum rule by reinforcing it majority to 2/3 or more. And the highest scorer standard was adopted for the appointment of Tongjang. Fourth, with regard to the problems that regulations for dismissal reasons were insufficient and that the dismissal was actually dependent on Dongjang’s will, a plan was prepared to strengthen the common reasons for the dismissal and make the committee, not Dongjang, to decide on the dismissal. It was stipulated that Review Committee for Tongjang should be held when the residents demand his or her dismissal. Finally, as Banjang whose role has become smaller, it was proposed to gradually reduce the scale of Banjang system and abolish the system in the long run. Since there is almost no role currently performed by Banjang, reducing the Banjang system will help reduce its budget and administrative power, while causing little inconvenience. In conclusion, an ordinance that reflected these five improvements was presen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