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정책의 사회적 비용과 기능에 대한 실증 연구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Cost and Role of Fiscal Policies
- 주제어 (키워드) 현금성 복지 , 공적 연금 , 도덕적 해이 , 구축 효과 , 소비평탄화 , Cash Grant , Public Pension , Moral Hazard , Crowd-out effect , Consumption Smoothi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홍균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177
- UCI I804:11029-00000007017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pers on fiscal policy’s social cost and role.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raising the basic pension amount 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and examined whether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in the housing benefits crowded out private transfers, confirming the moral hazard and crowd-out effect that can be caused by welfare expenditure. And then,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public pension provides a consumption smoothing role using the quasi-experimental situation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reform. Ⅰ.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the basic pension amount 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In the case of 2018 and 2009, when the pension amount was increased by about KRW 40,000 ~ 50,000,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the basic pension amount 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change in the 2014 pension amount, which increased more than KRW 100,000, significantly reduced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older people by about 13.21%p. In particular, the effect was distinct at age 65~70. The basic pension is necessary to resolve the blind spot of national pension and stabilize the life of older people. But cash grant that reduces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pension recipients may entail a cost greater than the policy’s benefits. So this analys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ppropriate pension amount. Ⅱ. Does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crowd out private transfers? If public transfers such as housing benefits lead to a decrease in private transfers, the redistribution effect of public transfers is weakened. Therefore, the redistribution effec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public finance, and many researchers analyzed the redistribution effe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in housing benefits implemented in October 2018 on the private transfers of households newly receiving housing benefits was estimated using the differences-in-differences (DID) method to analyze the crowd-out eff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would crowd out about 80.8% of private transfers.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private transfer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housing benefits was eased with the repeal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On the other h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expenditures, suggesting that the redistribution effect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was weakened due to the crowd-out effect. However, there are positive aspects that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will resolve the welfare blind spot. In addition, the relief of the burden of support obligations can also be seen as a positive effect of the abolition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Ⅲ. A Study on the consumption smoothing of Public Pension - Focusing on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Reform in 2015 This chapter analyzed the effect of public pension on private savings using the quasi-experimental environment such as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reform in 2015.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 (DID), the "pay more and receive less" method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reform increased the savings rate calculated by subtracting consumption from income used in previous studies to about 10.7 ~ 14.1%p, resulting in similar results to previous studies. However, when savings were limited to the amount of long-term private pension payments for retirement prepar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refor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rivate saving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long-term private savings in the age-specific analysis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 Difference (DDD) method. It means that the public pension in Korea provides consumption smoothing, which is its original role.
more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재정정책의 사회적 비용과 기능에 대한 세 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기초연금 기준연금액 인상이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기초생활보장 제도의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가 사적이전 소득을 구축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현금성 복지 지출이 유발할 수 있는 도덕적 해이 문제, 구축효과 문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공무원연금 개혁이라는 준실험적 상황을 이용하여 공적연금이 소비평탄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Ⅰ. 기초연금 인상이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 기초연금 기준연금액은 과거 세 차례 크게 인상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세 경우 모두를 대상으로 해당 정책변화가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준연금액이 약 4 ~ 5만원 인상된 2008년과 2018년의 기준연금액 변화는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약 10만원 이상 인상된 2014년 기준연금액 변화는 만 65 ~ 70세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가능성을 약 13.21%p 감소시켰다.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이 높은 상황에서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저소득 노인 가구의 생활 안정을 위해 기초연금 제도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과거에 비해 개선된 고령층의 건강 상태 및 근로 능력 등을 감안한다면 만 65 ~ 70세의 노동시장 참여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현금성 복지지출은 검토와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Ⅱ.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사적이전 소득 구축 여부 분석 기초생활보장 제도와 같은 공적이전 소득이 사적이전 소득의 감소를 유발한다면 공적이전 소득 정책의 재분배 효과는 약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0월에 시행된 주거급여의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이후 주거급여를 새롭게 수급하게 된 가구의 사적이전 소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공공부조 제도에서의 구축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는 사적이전 소득을 약 80.8%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가 소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의 재분배 효과가 사적이전 소득 구축으로 인해 약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로 복지 사각지대가 해소되었고, 사적이전 소득을 제공하고 있던 부양의무자 가구의 부양 부담이 크게 완화된 점은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가구 분리나 타가구로의 자산 이전 등과 같은 도덕적 해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사적이전 소득이 크게 감소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구축효과를 고려한 정책의 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Ⅲ. 공적연금의 소비평탄화 기능에 대한 연구 : 공무원연금 개혁을 중심으로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이라는 준실험적 환경을 이용하여 공적연금이 민간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더 내고 덜 받는” 방식의 공무원연금 개혁은 소득에서 소비를 차감하여 산출한 저축률을 약 10.7 ~ 14.1%p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들에서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저축을 노후 대비를 위한 장기적 성격의 민간연금 납입액으로 한정하였을 때는 공무원연금 개혁이 민간저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중차분법을 이용한 연령별 분석에서도 모든 연령층에서 장기 저축에 유의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우리나라 공적연금이 본연의 역할인 소비평탄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