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The Impact of Video Game Franchises : The Sequel Effect on Video Game Sales

초록 (요약문)

The video game industry has experienced continuous growth over the past decade. As the industry continues to grow, understanding various facets of the industry also gains significance. This research further adapts the theoretical approach from the signaling theory and utilizes the core concept of quality cues (extrinsic and intrinsic). Various extrinsic and intrinsic quality cues that have been previously identified in studies are utilized alongside the concept of brand extensions via video game sequels. This study utilizes web scrapping to gather video game sales data and video gam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Additionally, this study utilizes a Bayesian approach with a Bayesian Hierarchical Model which provides interpretable results in probabilistic te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collection of video game sales data, show that there is a lasting impact of the parent game sales on future sequel sales. This study also finds that there is a clear trend of decreased sales from the parent game up until the second sequel; however, the second sequel of a video game franchise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continuation of the video game franchise.

more

초록 (요약문)

비디오 게임 산업은 지난 10년 동안 지속적인 성장을 경험했다. 비디오 게임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비디오 게임 산업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성을 얻는다. 이 연구는 Signaling 이론 프레임워크를 적용하며, Signaling 이론에서 핵심적인 quality cues 개념(extrinsic과 intrinsic)을 활용한다.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extrinsic과 intrinsic quality cues 변수들과 이 연구에서 새로 보는 브랜드 확장 개념을 함께 사용된다. 본 연구는 웹 스크래핑을 활용하여 다양한 소스로부터 비디오 게임 매출 데이터와 비디오 게임 특성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이 연구는 베이지안 계층적 모델과 함께 베이지안 접근법을 활용한다. 연구의 결과는 게임 매출이 향후 후속작 매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모 게임부터 2차 후속작까지 매출 감소 추세가 보이지만,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의 2차 후속작이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의 지속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