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택배기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피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Stress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Courier Drivers

초록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택배기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피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현재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택배기사의 과로사를 예방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를 조명하는 작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이론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택배기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고,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피로가 조절할 것임을 가정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현재 택배회사에서 택배기사로 근무하고 있는 전국 택배기사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26명이 참여하였다.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선정한 변수들에 관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수의 표준 편차와 평균 등을 확인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택배기사와 각 변수 간의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 분석을 이용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é를 이용하였다. 가설검증 과정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피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 단계에서 독립변수의 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택배기사의 주관적 급여 만족도, 주관적 경제 상태, 주관적 건강 상태는 본 연구에 사용된 3개 변수인 직무스트레스, 피로, 삶의 질에 모두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택배기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결과는 택배기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나타낸다. 셋째, 피로는 직무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택배기사가 직무스트레스를 높다고 느껴도 피로도 수준이 낮다면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그동안 양적으로 부족한 택배기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를 더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택배기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피로를 낮추기 위한 적극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했으며, 근무 환경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안한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courier driver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atig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It is most important to shed light on their job stress and fatigue in order to prevent overwork and death of courier drivers, which are currently occurring continuously,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a theoretical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was assumed that job stress of courier drivers would have a negative(-)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that fatigue would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a national courier driver who is currently working as a courier driver in a courier company, and a total of 32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fter confirm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variables to confirm the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of each variable.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used to find 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urier drivers and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cheffé was used for post hoc test. As a hypothesis verification proces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job stress on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tig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cademic factors were controlled.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courier drivers' subjective salary satisfaction,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significant average differences in all thre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job stress, fatigue, and quality of lif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job stress of courier driver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suggests that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in a way that reduces their job stress can be an effective method. In addi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delivery drivers, a solution to reduce job stress should be prepared. Third, it was verified that fatigue acts as a moderating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interaction with job stress. This indicates that the quality of life can be improved if the level of fatigue is low even if the courier driver feels high job 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further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fatigue on the quality of life of courier drivers, which have been insufficient in quant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n active management plan to reduce job stress and fatigue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ourier drivers,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