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제의(祭儀)에서 공간적 거룩함의 ‘비균질성’과 ‘가변성’에 대한 연구 : 엘리아데(M. Eliade)의 『성과 속』의 변증법적 관점에서
A Study of the 'Inhomogeneity' and 'Variability' of Spatial Sacred in the Rituals of the Old Testa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ialectic of Mircea Eliade's Sacred and Profane
- 주제어 (키워드) 가변성 , 공간. 거룩함 , 변증법 , 비균질성 , 성(聖) , 속(俗) , 제의 , 오염 , 정화. 성화 , 히에로파니 , dialectic , ritual , deity , hierophany , holiness , inhomogeneity , pollution , purification , sacred , sanctification , secularity , space , variabil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이규성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신학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086
- UCI I804:11029-00000007008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21세기 전반의 인류는 팬데믹(Covid-19)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는 단지 사회 구조의 작동 원리를 변화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제의(祭儀)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다-그리스도교의 ‘신성’(deity)은 무소부재(無所不在)하다. 이런 이유로 그리스도인들은 전통적 제의 공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종교를 소유한 인간은 제의 공간을 함부로 선택하지 않는다. 본 논문의 최종 목적은 종교적 인간에게 속(俗)으로부터 구분된 특정한 제의 공간이 필요한 이유를 종교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로부터 그리스도교 ‘전례’ 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신학적 근거를 찾으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이 다루려는 첫 번째 분석 주제가 공간적 거룩함의 ‘비균질성’이다. 본 논문의 두 번째 분석 주제는 공간적 거룩함의 ‘가변성’이다. 이 분석으로부터 얻은 결과를 ‘교회론적’ 차원에서 ‘성화(聖化)’의 필요성과 연결하려는 것이다. 거룩함의 비균질성과 가변성은 공간만이 아니라 시간, 사물, 인물 영역서도 발생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제의의 효력과 성화의 가능성, 십자가 사건마저도 거룩함의 가변성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분석 작업을 위해 본 논문은 후설(Husserl, E.)과 몇몇 철학자들의 현상학 공간 이론과 엘리아데(Eliade, M.)의 종교학적 공간 인식을 먼저 살피고자 한다. 이를 본 논문의 이론적 출발점으로 삼아 구약 문헌의 제의 공간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분석 결과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이로부터 본 논문이 의도하는 신학적 함의를 도출하려는 것이다. 거룩함을 하느님만의 초월적 속성으로 해석하는가, 아니면 역사와의 관계성 속에서 인식하는가 따라 전례학과 교회론적 함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more초록 (요약문)
In the first half of the 21st century, humanity is facing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is certainly changing the operating mechanism of social structure and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religions. It also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ritual space. The deity of Judaism-Christianity is omnipresent. This leads Christians to move away from the traditional liturgical space.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spatial holiness is of 'inhomogeneity' and 'variability' of ritual space. The primary purpose is based on 'inhomogeneity to analyze ritual spaces and explain why specific space is needed for rituals. Man (Homo religious) does not choose space for ritual at random. The secondary purpose is to provide theological grounds for the necessity for repetitions of liturgies and for the sanctification of life. "The status of holiness is not permanent and ceases as a natural consequence of time." Due to 'variability' of holiness, ritual space is more apt to be polluted and/or purified. Profanity occurs in every realm, in time, things, in characters of man as well as in space. Lastly, critical evaluations of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is that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ological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Liturgy and Ecclesiology. It is based on phenomenological and religious aspects of space, analysis of ritual spaces in the Old Testa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