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근로빈곤 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중장년 1인 가구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Social Exclusion Experience of Working Poor Women: Focused on Middle-aged Single households

초록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 1인 가구 근로빈곤 여성의 삶의 과정에서 경험한 사회적 배제가 무엇인지 밝히고 실체이론을 구축하여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중장년 1인 가구 근로빈곤 여성이 경험한 사회적 배제는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40~50대 1인 가구 근로 여성 중 법정 차상위계층(중위소득 50%) 또는 그에 준하는 소득·재산 수준으로 생활하는 저소득 중장년 여성 20명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지역 내 사회복지관, 지역자활센터, 여성시설, 동주민센터 실무자에게 조건을 충족하는 대상자를 추천받아 의도적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연령대는 40대가 4명, 50대가 16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3.7세였다. 1인 가구 생활 기간은 평균 9.6년이었으며, 결혼상태는 이혼 14명, 사별 2명, 비혼 4명이었다. 근로 상태는 일반 노동시장 참여자가 9명, 공공일자리 및 자활사업 참여자가 6명, 구직자가 5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심층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유형분석,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는 266개 개념, 81개 하위범주, 2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를 분석한 결과, 중심현상은「불리한 환경에서 홀로 분투하는 삶」,「근로빈곤의 불안정한 삶」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을 일어나게 하거나 발전하게 하는 인과적 조건은「부모의 가난과 차별로 인한 낮은 학력」,「결혼으로 인한 경력 부족」,「나이와 건강의 한계」,「가족 내 무급노동으로 인한 자산의 부재」,「가족에게 물려받은 빈곤」,「가족으로부터 분리」였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과거의 인간관계 단절」,「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위축」이었으며, 중재적 조건은 「차별적인 지원제도」,「불충분한 주거지원 환경」,「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었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신분 숨기기」「주어진 조건에 나를 맞추기」,「마음 다스리기」,「생활환경 향상하기」,「자원 활용하기」,「새로운 관계 형성하기」,「수급제도 이용하기」였고, 결과는「달라지지 않는 현실조건」,「삶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제도이용에 따른 안정과 기대」로 나타났다. 과정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계별로 분석하였고「숨김단계」,「적응단계」,「조절단계」,「시도단계」의 네 단계로 행동 변화를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단계인「숨김단계」는 수치심과 자존심 때문에 가난을 숨기고, 무시와 성희롱 때문에 1인 가구임을 숨기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인 「적응단계」는 주어진 현실 상황에 적응하는 단계이다. 절약하는 생활을 몸에 익히고, 경제적 부담 때문에 인간관계를 포기하며 현실에 적응했다. 세 번째 단계인 「조절단계」는 마음과 정신을 조절하고 다스리는 단계이다. 욕심을 내려놓고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며 포기하지 않고 감사할 수 있도록 마음을 다스렸다. 네 번째 단계인 「시도단계」는 지금보다 나은 삶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는 단계이다. 이들은 직업교육, 자격증 취득, 노후자금 준비, 건강관리, 창업 모색, 공공일자리 도전, 자원과 제도 활용, 새로운 관계 형성을 시도했다. 선택코딩에서 확인된 본 연구의 핵심범주는「불리한 환경과 근로 빈곤의 불안정 속에서 물질적·정신적 대응으로 홀로 분투하며 제도를 통한 안정된 삶을 기대함」으로 나타났다. 유형 분석에서는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 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를「고군분투형」,「현실안주형」,「소확행형」,「이상추구형」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먼저,「고군분투형」의 연구참여자들은 건강이 양호했으며 직업적 경험이 비교적 풍부했기 때문에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다방면으로 적극적인 시도를 했다.「현실안주형」의 연구참여자들은 보다 나은 생활환경을 위한 준비보다 자신에게 주어진 현실에 안주하는 유형이다.「소확행형」은 미래의 불확실한 행복보다 현재의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는 유형이다.「이상추구형」은 근로빈곤의 불안정한 삶을‘꿈과 이상(ideal) 추구’로 견디며 살아가는 유형이다. 상황 모형에서는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개인 차원에서 작용한 조건은 「부모의 가난과 차별로 인한 낮은 학력」,「결혼으로 인한 경력 부족」,「나이와 건강의 한계」,「가족 내 무급노동으로 인한 자산의 부재」,「가족에게 물려받은 빈곤」,「가족으로부터 분리」,「사회적 고립과 심리적 위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들은 대부분 가족과 사회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가족과 사회가 중장년 1인 가구 여성의 근로 빈곤한 삶의 원인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인 차원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은「주어진 조건에 나를 맞추기」,「마음 다스리기」였다. 둘째, 사회 차원에서 작용한 조건은 「과거의 인간관계 단절」,「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이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신분 숨기기」,「생활환경 향상하기」,「자원 활용하기」,「새로운 관계 형성하기」로 나타났다. 이들은 과거의 인간관계를 단절했지만, 인적자원 활용이나 새로운 관계 형성을 했고, 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별에 「신분 숨기기」로 대응하였다. 셋째, 제도 차원에서 작용한 조건은「차별적인 지원제도」,「불충분한 주거지원 환경」이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은「수급제도 이용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장년 1인 가구 근로빈곤 여성의 삶에서 경험한 사회적 배제에 대해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고 이론화에 기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배제에 대한 해석적 논의와 젠더 관점의 해석적 논의를 하였고, 중장년 1인 가구 근로빈곤 여성들을 위해 여섯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1인 가구에게 불리한 제도의 개선과 1인 가구 할당비율제 도입, 둘째, 중장년 여성을 위한 제도 보완과 정책전달체계 마련, 셋째, 중장년 1인 가구 여성의 건강상태를 고려한 안정적인 일자리 개발, 넷째, 중장년 1인 가구 여성들의 직업교육과 자격증 취득 지원제도 보완, 다섯째, 중장년 1인 가구 여성을 위한 주거지원제도의 현실화, 여섯째, 중장년 1인 가구 근로 빈곤 여성의 건강관리와 의료지원제도 마련을 제언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what kinds of social exclusions were experienced by the working poor women in middle-aged single households and draw a poli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by structuring substance theory. The theme that will be discussed within the study is ‘What are the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the middle-aged single households working poor women’. The designated subjects of the study are 20 low-income middle-aged women who belong to the near-poor (the median income of 50) or have the equivalent income and property level in their 40s and 50s. The participants who met the requirements of the study were chosen under the recommendation of working-level officials at social welfare centers,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s, women’s facilities, and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Seoul by purposeful sampling. The age group of the participants was 4 in their 40s and 16 in their 50s, and their average age was 53.7. The single households living period was 9.6 years on average, and their marital status was 14 divorced, 2 bereavement, and 4 non-marriage. Regarding their working status, there were 9 in the general labor market, 6 in the public sector and self-support program, and 5 in searching for jobs. For the data analysis, the contents of in-depth interviews of participants were analyzed based on Strauss & Corbin’s grounded theory, and open coding,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type analysis, conditional matrix, and situation model were utilized and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66 concepts, 81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found in open coding. Regarding the results of categories by the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was identified as 「struggling life alone in an unfavorable environment」 and 「unstable life of the working poor」. The causal conditions that occurs and develops those phenomenon were 「low level of education due to parents’ poverty and discrimination」, 「lack of careers due to marriage」, 「limits set by age and health」, 「absence of assets due to the unpaid labor within family」, 「inherited poverty from the family」, and 「separation from family」. In addi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have impacts on the central phenomenon were 「disconnection of human relationships in the past」, 「social isolation and psychological contraction」 and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discriminatory support system」, 「insufficient housing support environment」 and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 central phenomenon were 「hiding my own social class」, 「fitting oneself to the given situations」, 「mind control」,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utilizing resources」, 「forming a new relationship」 and 「utilizing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program (NBLS). The consequences were 「unchanging current situations」, 「giving new meanings to life」 and 「stability and expectations based by utilizing the system」. In the process analysis, the participant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analyzed by stages followed by the flow of the time.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changes in their action in 4 stages, 「hiding stage」, 「adjustment stage」, 「control stage」, and 「attempt stage」. In the first stage, 「hiding stage」, they tend to hide their poverty due to shame and pride and also hide that they belong to single households because of neglect and sexual harassment. In the second stage, 「adjustment stage」, they adjust to the given situation. They choose to adjust to their current situation, giving up having 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due to economic burdens and living a frugal lives. In the third stage, 「control stage」, they get to control their mind and spirits, putting down their greed and embracing their current situation positively with gratitude without giving up. In the fourth stage, 「attempt stage」, they make various attempts for a better life than now. In detail, they made various attempts in career education, obtaining certification, preparing for retirement funds, health care, seeking start-ups, challenging jobs in public sectors, utilizing resources and programs, and forming new relationships. The core category identified in the selective coding was found to be 「expecting a stable life through the policy, struggling alone with the material and spiritual measures in unfavorable environment and instability of working poverty」. In the type analysis, the relationship that shows up repeatedly between categories centered on the core category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truggling type」, 「complacent type」, 「small satisfaction type」, 「ideal pursuing type」. First, the participants belong to the 「struggling type」 are in good health and made various attempts aggressively since they were confident with comparatively abundant work experiences. Second, the participants belong to the 「complacent type」 want to settle with their current life rather than make efforts for a better life. Third, the participants belong to 「small satisfaction type」 pursue small and unfailing happiness of now rather than uncertain happiness in the future. Fourth, the participants belong to 「ideal pursuing type」 endure and live filled with the instability of working poor, pursuing dreams and ideals. In the conditional matrix, the conditions that influenc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consequences were divided into dimensions. First, the condition that worked to the personal dimension was 「low level of education due to parents’ poverty and discrimination」, 「lack of careers due to marriage」,「limits set by age and health」,「absence of assets due to the unpaid labor within family」,「inherited poverty from the family」 and 「separation from family」, 「social isolation and psychological contraction」. However, since those conditions are mostly derived from family and society, it was plain to see that family and society made causes of middle-aged single households working poor women.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that worked in the personal dimension were 「fitting oneself to the given situations」, 「mind control」. Second, The conditions that worked in the social dimension were 「disconnection of human relationship formed in the past」, 「social discrimination on women」, and the strategy of action/interaction in the same context were 「hiding own social class」,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utilizing resources」, and 「forming a new relationship」. As mentioned earlier, they are disconnected from the social relations in the past, however, they formed new relationships, utilized human resources and correspond to the social discrimination on women by 「hiding their social classes」. Third, the conditions worked in an institutional dimension were 「discriminatory support system」, 「insufficient housing support environment」, an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utilizing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the empirical references about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the middle-aged single households working poor women, and the study contributed to theorizing the statu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interpretive discussion on social exclusion and the interpretive discussion from the point of gender were implemented, and the following six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middle-aged single households working poor women.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policy unfavorable to the single households and introduce an allocation ratio for the single households. Second,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the system and introduce the policy delivery system for middle-aged women. Third, creating a stable job, fourth, supplementing the policy of career education and certificate acquisition for middle-aged single women households who are in poor health are needed. Fifth, the realization of a housing support system for middle-aged single women households should be achieved, Sixth, health care and medical support system for the women of middle-aged single households working poor wome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