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지 매체로서의 인스타그램 : 네트워크 구조와 상상의 독자 중심으로
Instagram as a medium of social support: Focusing on network structure and imagined audience
- 주제어 (키워드) 사회적 지지 , 네트워크 구조 , 상상의 독자 , 상호작용 , 능동적 이용자 , social support , network structure , imagined audience , interaction , active us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수영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056
- UCI I804:11029-00000007005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인터넷과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개인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였고, 관계 형성 및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맺은 관계를 온라인으로 옮겨 올뿐만 아니라 온라인 맥락에서 개인 네트워크 및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관계를 이어 나간다. 선행연구는 이러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수 있다는 긍정적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페이스북과 같은 일부 브랜드에 치우쳐있어 다양한 매체를 적용할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SNS인 인스타그램에서도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는 SNS 이용자들이 어떻게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는지에 집중하였다면,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이 누구와 어떻게 사회적 지지를 경험하는가에 대한 확장된 시각으로 능동적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탐구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스타그램의 네트워크 특성상 팔로워와 팔로잉이라는 두 개의 관계가 형성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팔로워만을 네트워크로 간주한 점을 지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팔로워에게 생산자로서 게시물을 제공하고, 팔로잉에게 소비자로서 게시물을 소비하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스타그램에서 형성되는 관계를 미디어 다중성 이론을 기반으로 매체 이용 여부에 따라 연결의 강도를 구분하고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상의 독자 변인을 통해 그 대상을 더욱 깊이 있게 고찰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하여 상호작용적 기능 이용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인지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좋아요, 댓글, 공유, 아이디태그 기능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인스타그램 이용행태와 만족감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인스타그램 네트워크 구조를 오프라인 중심 네트워크, 인스타그램 중심 네트워크, 온·오프라인 혼재 네트워크로 구분하였다.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의 관계 맺기를 분석한 결과 각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차이는 존재하지만 모르는 타인을 팔로잉하는 관계 맺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이용행태를 분석한 결과 온·오프라인 혼재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능동적 이용행태를 발견하였다. 다른 두 네트워크 집단에 비해 온·오프라인 혼재 네트워크는 더 많은 팔로워를 보유하고, 더 많은 수와 더 다양한 사람들을 팔로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좋아요, 댓글, 공유, 아이디태그를 통해 팔로잉 멤버들에게 지지적 행동을 많이 하는 만큼 상호작용적 기능 수신을 통한 만족감을 더 크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의 독자를 통해 살펴본 결과, 게시물을 게시할 때 상상하는 대상이 있는 이용자가 상상하는 대상이 없는 이용자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상의 독자가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상호작용적 기능을 통한 지지적 행동을 더 많이 하고, 수신 만족감을 더 크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으며, 인스타그램 이용을 통해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를 경험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물질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이용에 관한 긍정적 효과를 제시함에 따라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수 있는 매체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였다. 단일 브랜드에 치우쳐있고, 부정적 결과가 주를 이루는 현시점에 관련 연구의 균형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re초록 (요약문)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digital media has enabled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through various media,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ships. Not only does it transfer offline relationships online, it also forms personal networks and communities in the online context and continues the relationship.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positive results showing that social suppor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se online networks. However, as these are focused mostly on limited media such as Facebook, there is the need to apply the research to various other media.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social support can be experienced on Instagram, the most popular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in Korea. In particular, while existing research focused on how SNS users experience social support, this study aims to explore active users' usage behavior with an expanded perspective on from whom and how Instagram users experience social support.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Instagram's network, two relationships are formed: followers and followings, but previous studies point out that only followers were considered network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usage behavior of Instagram users who provide posts to followers as producers and consume posts as consumers to follow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formed on Instagram was classified according to media use based on the media redundancy theory, and the network structure was analyzed. In addition, I tried to examine the object in more depth through imaginary reader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likes, comments, sharing, and ID tag functions were applied to find out whether social support was recognized through the use of interactive functions. Through this, I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n Instagram usage behavior,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various ways. First, the Instagram network structure is divided into 'offline-centered network', 'instagram-centered network', and 'online and offline mixed networ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gram users, it was found out that while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each network structure, they are nonetheless following other people they do not know. Interest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usage behavior through network structure, the study found the active usage behavior of users who constructed and used a mix of online and offline network. Compared to the other two network groups, mixed online and offline networks have been shown to have more followers, and to follow more number of and more diverse people.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they are more aware of satisfaction through receiving interactive functions as they acted supportively to the following members through likes, comments, sharing, and ID tags. As a result of looking at it through imagined aud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ore users who had the object of imagination when posting a post than those who did not have i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y performed more supportive behaviors through interactive functions and perceived greater reception satisfaction than those without imagined audience. Finally,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support were identified, and it was derived that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 support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use of Instagram. However, no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terial suppor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 perspective that views Instagram as a medium through which users can experience social support through presenting a positive effect of using Instagram. I believ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balance of related research at this time when it is biased toward a single brand and negative results are the mai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