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 성인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Style and Smartphone Addiction: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Clar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 주제어 (키워드) 애착불안 , 애착회피 , 정서인식명확성 , 부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 ,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 Attachment anxiety , attachment avoidance , emotional awareness clarity ,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 smartphone decline tendenc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043
- UCI I804:11029-00000007004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 성인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384명의 자료를 SPSS 29.0과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응적 인지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emotion clar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redicting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insecure attachment in adul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adults over the age 19 to collect data, and 384 datas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1.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clarity of emotion recogni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