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경증적 성격특성이 초진단적 내재화장애 요인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 상위요인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neuroticism on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mediation effects of higher order 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초진단적 내재화장애 요인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상위요인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 내재화장애 요인은 우울과 불안의 공통부분을 나타내며, 정서조절 상위요인들은 10가지 정서조절 전략인 행동회피, 경험회피, 분산, 표현억압, 반추, 걱정, 수용, 마음챙김, 재평가, 문제해결의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성격검사 척도,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 한국판 사고통제질문지, 정서조절 질문지, 한국판 감정양식 질문지, 한국판 반추-내성 질문지, 걱정척도,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한국판 우울 불안 스트레스 척도를 온라인 상에서 실시하고, SPSS와 Mplus7.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의 상위요인은 비관여, 혐오적 인지행동적 보속성, 적응적관여-자각 및 수용, 적응적관여-인지전략 4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비관여는 행동회피, 주의분산, 표현억압으로, 혐오적 인지행동적 보속성은 반추, 걱정, 행동회피로, 적응적 관여-자각 및 수용은 마음챙김, 수용, 낮은 경험회피로, 적응적 관여-인지전략은 재평가, 문제해결, 주의분산으로 구성된다. 둘째,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초진단적 내재화장애 요인으로 이어지는 네 개의 개별적인 매개효과 중 혐오적 인지행동적 보속성과 적응적관여-자각 및 수용의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초진단적 내재화장애 요인 사이의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신경증적 성격특성이 초진단적 내재화장애 요인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정서조절 양상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higher order 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refers to the common factor of depression and anxiety. Higher-order 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based on factor analysis of te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havioral avoidance, experiential avoidance, distraction, expressive suppression, rumination, worry, acceptance, mindfulness, reappraisal, problem solving). For this purpose, 500adults who were recruited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from the NEO-Personality Inventory Revise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Thought Control Questionnair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ffective Style Questionnaire, Korean Rumination-Reflection Questionnair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Five 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Mood and Anxiety Symptoms Questionnaire. For the analysis of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Mplus 7.0. The results showed that 4 factor model of emotion regulation (disengagement, aversive cognitive-behavioral perseveration, adaptive engagement-awareness and acceptance, adaptive engagement-cognitive strategies) was the best fitting model of the Korean adult sample. Secon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versive cognitive-behavioral perseveration and adaptive engagement-awareness and acceptance between the relation of neuroticism and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Also, the direct effect of neuroticism and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was significan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higher-order factors of emotion regulation which function as risk factor and protection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transdiagnostic internalizing disorder factor.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