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시대, 소비자 중심의 데이터 비즈니스 모델 연구
Customer based Data Business Model Research in MyData Era
- 주제어 (키워드) 마이데이터 , 개인 데이터 , 데이터 주권 , 이동권 , 삭제권 , 정보 주체 , 소비자 중심 데이터 비즈니스 , 서프슈머 , 온디맨드 서비스 , 마이데이터 중개 사업자 , 정보 주체별 분산 저장 시스템 , 개인정보 보상 , 마이데이터 플랫폼 , MyData , Personal Data , Data Sovereignty , Information Subject , Customer-based Data Business , Supsumer , On-demand Service , MyData Intermediary , Distributed Storage System for each Information Subject , Personal Information Compensation , MyData Platfor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김용진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경영전문대학원 경영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70007
- UCI I804:11029-00000007000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enterprises or institutions based data business customs in terms of th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data, which are recognized as a new key resources and capital of the data economy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zation era, to confirm that data sovereignty is the ultimate right belonging to the personal, who is the essentially information subject as the fundamental right, and to seek a plan to return the sovereignty to the information subjec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alified research at two different analysis levels. Firstly, this study analyzed the MyData industry and examples at the enterprise and industrial level to find out a design plan of an effective service platform. Second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decision and behavior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t personal level through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While theses research methods access from different levels and dimensions, this study integrated them because the behavior of the information subject, in which the data industry provides or protects personal data, i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vitalization of data industry. Firstly,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value of personal data and data sovereignty within the data industry ecosystem through prior research and derived various issues and suggestions by analyzing various corporate examples and domestic laws,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MyData industry (credit information management business) having legal and systematic ground due to the revision of 3 data related laws. Secondly, in order to underst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this study newly defined consumers who provide data, which is a core resource within the data industry, as “supsumers(supply+consumer)”, set a research model and suggested hypotheses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of self-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by information closing or disclosing behavior. Thirdly, this study designed and suggested consumer focused data business that can lead active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supsumers), the information subject, for the development of the data industry and explored ways to return data sovereignty and to transform the data business centered on existing companies. Therefore, the research topics of this study are: 1) the issue of data ownership and data utilization rights, 2) the issue of establishment of data sovereignty and the return of control rights, 3) the issue of data utilization revenue sharing and compensation, and 4) the issue of consumer-focused MyData business model establishment, and 5) the issue of finding solutions to the problem of consumer-focused MyData service development. As a result of research, as the value of personal data has increased, it is desirable for the information subjec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own information and actively manage it. It, also, could confirm the possibility of completely returning data sovereignty to the information subject by designing and utilizing the service platform that can support initiative decision of the information subjec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like consumer behavior in the existing manufacturing or service industries, consumer behavior in the data industry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initiative and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consumers in the data industry can participate in the entire value chain as the creators, providers, and users of data, beyond the behavioral dimension of consumer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production from simple purchase and use. However, it currently has a restrictive role for data producers who provide information through the consent system. When passive and restrictive consumers are transformed into more active and positive data suppliers and consumers, the data industry can be more active. A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is active and positive consumer exactly as a "supsumer" and conceptually establish consumer behavior for information protection. Secondly, the MyData industry acts as an obstacle that hinders the restoration of data sovereignty due to the passive behavior of individuals who are the subject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ctive efforts to transform so that a consumer-focused data business environment can be built where the participation and compensation of supsumer can be made more transparently. Currently, it is customary for businesses that collect, store, and utilize personal data to obtain prior comprehensive consent from the information subject to avoid legal issues.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dispel concerns and worries about disadvantages due to utiliz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hift the focus of the data industry from enterprises (operators) to consumers (users) by building a consumer-focused data business service platform that can be easily used in any manner desired ways, together with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foundations, in which consumers can build trust so that consumers can safely provide and utilize personal data. This is because the more data providers that provide on-demand services and fair compensation in the way consumers want, the more likely it is that individual consumers, who are the subjects of information, would provide their complete data. Third, although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of information subjects is emphasized in the data industry at the initial stage, the main business customs are centered on the government-led authorization system and MyData business operators. Thus, it is difficult to return data sovereignty of the information subject completely. Accordingly, relevant laws should be amended so that individuals who are information subjects and consumers have higher data sovereignty, that is, information sovereignty, including the right to move data, the right to determine self-information, the right to control, the right to sovereign, and the right to delete. It is important to improve and establish legal and systematic mechanisms to ensure the status of private sector-led data intermediaries and to enhance individual benefits and added value. If a business environment is prepared in which the market and consumers can choose the type of service they want, and if the legal basis for this is created together, the data industry will create wealth at the level of individuals, companies, societies, and nations based on complete and high-quality data. However, the evolution of technology can act like a double-edged sword as a threat factor for both consumers and businesses. The dangers of malicious infringement and robbery such as hacking and viruses may wither the good faith of consumers' personal data provision behavior, weake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that cannot secure complete personal data, and can lead to a structural vicious circle that loses opportunities for added value with new servic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government-level punitive punishment regul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data intermediaries should be actively encouraged to invest in security technology, and the effort of the information subject for the decentralized storage and security of personal data should be parallel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meaning and value of personal data of the information subject in a digital economy system in which consumer sovereignty is further strengthened and consumer-focused social and industrial structural reforms are accelerating, and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ata industry through active and positive information protection and utilization behavior. Furth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foundation of a service platform suitable for the future consumer-focused data business environment.
more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지능정보화시대에 데이터 경제의 새로운 핵심 자원이자 자본으로 인정받는 개인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의 측면에서, 기업이나 기관 중심의 데이터 비즈니스 관행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한계를 고찰함으로써, 기본권으로서의 데이터 주권이 본질적으로 정보 주체인 개인에게 속한 최고의 권리임을 확인하고 이를 정보 주체에게 환원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분석 수준(Analysis level)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는 기업 및 산업 차원에서 마이데이터 산업 및 사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서비스 플랫폼의 설계 방안을 도출하고, 둘째는 개인 차원에서 개인 정보보호 판단과 행동에 대한 이해를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서로 다른 수준과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산업이 개인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보호하는 정보 주체의 행동이 데이터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산업의 활성화와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우선 첫 번째로, 선행연구를 통해 데이터 산업 생태계 내에서 개인 데이터의 가치와 데이터 주권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데이터 3법의 개정으로 법적·제도적 기반을 갖춘 마이데이터 산업(본인신용정보관리업)의 이해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업 사례와 국내 법률을 분석하여 다양한 현안(이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개인정보보호 행동의 이해를 위해, 데이터 산업 내에서 핵심 자원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비자를 서프슈머로 새로이 정의하고 이들의 정보 공개 또는 폐쇄 행동을 통한 자기 정보보호 행동의 이론적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모델을 설정하여 가설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 데이터 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보 주체인 개인(서프슈머)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소비자 중심의 데이터 비즈니스를 설계하고 제안함으로써, 데이터 주권의 환원과 기존 기업 중심의 데이터 비즈니스의 전환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주제는 1) 데이터 소유권과 데이터 활용권의 문제, 2) 데이터 주권의 확립과 통제권 환원의 문제, 3) 데이터 활용 수익 분배와 보상의 문제, 4) 소비자 중심의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모델 정립의 문제, 5) 소비자 중심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개발의 문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다. 연구 결과, 개인 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진 만큼 정보 주체 스스로 자기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관리하는 게 바람직하고, 이러한 정보 주체의 주도적 결정을 지원할 서비스 플랫폼을 설계하여 활용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주권을 온전하게 정보 주체에게 환원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실무적 기여는 아래와 같다. 첫째, 기존의 제조업 또는 서비스업에서의 소비자행동과 달리, 데이터 산업에서의 소비자행동은 주도성과 참여성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단순 구매와 사용에서부터, 더 적극적으로 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의 행동 차원을 더 뛰어넘어, 데이터 산업 내 소비자는 핵심 자원인 데이터의 생성자, 제공자, 활용자로서 전 가치사슬 범위에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동의제도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생성자의 제한적 역할에 머무르고 있다. 이렇듯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소비자를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데이터 공급-수요자로 변화시킬 때 데이터 산업을 더 활성화될 수 있다. 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소비자를 바로 ‘서프슈머(Supsumer)’라 정의하고 정보보호의 소비자행동을 개념적으로 정립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마이데이터 산업은 정보 주체인 개인의 소극적 행동이 데이터 주권의 환원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하며, 데이터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서프슈머의 참여와 보상이 더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비자 중심의 데이터 비즈니스 환경이 구축되도록 적극적인 전환의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는 개인 데이터를 수집·저장하여 활용하는 사업자들이 정보 주체의 사전 동의를 받아 법적인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관행이지만, 이는 소비자들이 내 개인정보 공개와 활용에 따른 불이익 등에 관한 염려와 우려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아 소비자가 안전하게 개인 데이터를 제공하고 활용하도록 신뢰를 쌓을 수 있는 법적·제도적·정책적 기반과 소비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비자 중심의 데이터 비즈니스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이제 초기 단계인 데이터 산업의 중심을 기업(사업자)에서 소비자(사용자)로 전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소비자가 원하는 방식의 온디맨드 서비스와 정당한 보상을 제공하는 데이터 사업자가 많아질수록 정보 주체인 소비자 개인은 자신의 온전한 데이터를 제공할 가능성이 더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초기 단계의 데이터 산업에서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기는 하나, 여전히 정부 주도의 인가제도와 마이데이터 사업자 중심의 비즈니스 관행이 대세라는 점에서 정보 주체의 데이터 주권이 온전하게 환원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보 주체이자 소비자인 개인에게 데이터 이동권과 자기 정보결정권, 통제권, 관제권, 삭제권 등이 포함된 상위의 데이터 주권, 곧 정보 주권이 명백히 나타나도록 관련 법을 개선하고, 민간 주도의 데이터 중개 사업자의 지위를 보장하고 개인의 이익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장과 소비자가 원하는 방식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이 마련되고 이에 대한 법적 기반이 함께 조성된다면, 데이터 산업은 온전하고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기업, 사회, 국가 차원에서 부를 창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하지만 기술의 진화는 양날의 검처럼, 소비자와 사업자 모두에게 위협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해킹이나 바이러스 등 악의적 침해나 침탈로 인한 위험은 소비자 개인의 데이터 제공 행동의 선의를 위축시키고 온전한 개인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한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며, 새로운 서비스로 창출할 부가가치의 기회를 상실하게 하는 구조적 악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징벌적 처벌 규정을 강화하고 데이터 중개 사업자의 보안 기술 투자를 적극적으로 장려해야 하며, 개인 데이터의 분산 저장과 보안에 관한 정보 주체의 보호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주권이 더 강화되고 소비자 중심의 사회·산업 구조 개편이 가속되는 디지털 경제 체제에서 정보 주체의 개인 데이터가 가진 의미와 가치를 확인하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소비자 정보보호 및 활용 행동을 통한 데이터 산업의 발전 방향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소비자 중심의 데이터 비즈니스 환경에 적절한 서비스 플랫폼의 개념적, 실무적 기반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