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기 사회복지공무원의 노화불안, 노화인식,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ging Anxiety, Aging Acknowledge, and Retirement Attitudes of Middle Aged Social Welfare Officials on Preparation for Old Age
- 주제어 (키워드) 중년기 , 노후준비 , 사회복지공무원 , 노화불안 , 노화인식 , 퇴직태도 , Middle age , preparation for retirement , social welfare officials , aging anxiety , aging awareness , retirement attitud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김진욱
- 발행년도 2023
- 학위수여년월 2023.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9993
- UCI I804:11029-00000006999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aging perception, and retirement attitude on retirement preparation for middle-aged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successful retirement preparation. To this end, aging anxiety, aging perception, and retirement attitude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preparation for retiremen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middle-aged social welfare officials belonging to city, town, municipality in Korea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22. Finally, a total of 221 cop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middle-aged social welfare officials preparing for retirement was 3.21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of aging anxiety was 3.01,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argeting middle age, the retirement preparation score is relatively low, and the average score of aging anxiety is relatively high. Second,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middle-aged social welfare offici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religious presence, spouse freedom, dual income, average monthly income, child presence, career, position,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the lower the aging anxiety, the higher the overall retirement preparation and emotional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more positive the retirement attitude, the higher the economic and emotional retirement preparation. The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the personal level, middle-aged social welfare officials should make efforts to alleviate aging anxiety and promote positive retirement attitudes on their own. To this end, it is recommended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s on old age and volunteer activities that can contribute to society. Also, you should make a habit of studying and saving to expand your financial knowledge that can help you prepare for retirement. At the national level, in order to alleviate aging anxiety and promote positive retirement attitudes, a detailed retirement education system that can develop burnout prevention programs and utilize job characteristics before retirement should be operated. In addition, in order to encourage social welfare officials to prepare for retirement, a special vacation system that can reorganize their mind and body or a practical support system such as supporting education expenses for learning related to retirement preparation should be prepared.
more초록 (요약문)
이 연구는 중년기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그들이 공공영역의 사회복지 서비스를 전달하며 인지하는 노화불안, 노화인식과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과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하여 사회복지공무원의 노후준비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성공적 노후준비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노화불안, 노화인식, 퇴직태도를 독립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노후준비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9월 1일 ~ 9월 30일까지 현재 우리나라 시·군·구, 읍·면·동에 속한 중년기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221부를 SPSS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사회복지공무원의 노후준비의 평균 점수는 3.21점, 노화불안의 평균 점수는 3.01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년기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노후준비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이며, 노화불안의 평균 점수는 비교적 높은 점수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중년기 사회복지공무원의 노후준비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종교유무, 배우자유무, 맞벌이여부, 월평균소득, 자녀유무, 경력, 직급, 주관적경제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노화불안이 낮을수록 전체 노후준비와 정서적 노후준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퇴직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경제적, 정서적 노후준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개인적 차원에서 중년기 사회복지공무원은 스스로 노화불안을 완화하고 긍정적 퇴직태도를 고취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한다. 이를 위해 노년에 관한 교육프로그램과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노후준비를 도울 수 있는 금융지식을 넓히기 위해 공부하고 저축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노화불안을 완화하고 긍정적 퇴직태도를 고취하기 위하여 소진예방프로그램의 개발하고 퇴직 전 직무특성을 활용 할 수 있는 세분화된 퇴직교육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공무원의 노후준비를 독려하기 위해 심신을 재정비할 수 있는 특별휴가제도나 노후준비와 관련된 학습 시 교육비를 지원하는 등의 실제적인 지원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