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대격 조사 ‘-을’은 왜 개음절 뒤에도 분포하였을까-그리고 보조사 ‘-은’은 왜 그리하지 않았을까
Why is the Accusative Particle {-ul} Distributed Even after Open Syllable in the 19th Century?-And Why Not the Auxiliary Particle {-un}?
- 주제(키워드) 도움말 -을/를 , -은/는 , 대격 조사 , 보조사 , 약화 , 감쇄 , 성조 , 비모음화 , 언간 , 표기 , -ul/lul , -un/nun , accusative particle , auxiliary particle , lenition , reduction , tone , vowel nasalization , vernacular Korean correspondence , orthography
- 발행기관 국어학회
- 발행년도 2021
- 총서유형 Journal
- 본문언어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