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사회복지실천 전략으로서의 복지정책 법제화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fare Policy Legislation Process as a Macro Social Welfare Practice Strategy
- 주제어 (키워드) 사회복지실천 , 거시사회복지실천 , 복지정책 법제화 , 정책실천 , 사회운동 , 근거이론 , 질적연구 , Social Welfare Practice , Macro Social Welfare Practice , Welfare Policy Legislation , Policy Practice , Social Movement , Grounded Theory , Qualitative Research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강선경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가톨릭사회복지학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7116
- UCI I804:11029-00000006711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정책 법제화 시도 경험을 분석하여 사회문제 대응 및 사회변화를 위한 거시사회복지실천의 기초지식을 형성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질문은 ‘거시사회복지실천 전략으로서의 복지정책 법제화 시도 경험은 어떠한가’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시민단체에 소속되어 복지정책 법제화 과정에 3년 이상의 참여 경험이 있는 활동가 15명이다. 연구참여자의 선정은 지난 10여 년간 사회보장의 변화 및 확대를 목적으로 법제화를 시도한 단체 실무자의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고, 연구참여자들로부터 자신의 경험과 유사한 경험을 한 사람들을 추천받는 눈덩이 표본추출을 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성별은 여성이 5명, 남성이 10명이고, 연령은 20대 1명, 30대 2명, 40대 6명, 50대 4명, 60대 2명이었다. 참여자들이 시도한 법제화 의제는 의료비, 노인, 빈민, 장애인, 건강보험, 주거, 이주민, 노숙인, 사회서비스로 다양했고, 법제화 시도 과정에 참여한 기간은 평균 7년 5개월이었다. 자료수집은 연구참여자들과의 일대일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하였고, 연구참여자들이 작성한 언론 기고문과 성명서, 인터뷰 영상을 참고하였다. 심층 면담 내용은 녹취하여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 총 200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개념을 묶은 하위범주는 총 50개로 분석하였다. 하위범주를 추상화한 결과 최종 18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개방코딩에서 도출한 범주를 축코딩에서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현상은 ‘법제화를 통한 사회의 구조적 변화 시도’로 나왔다. 현상을 일어나게 하거나 발전하게 한 인과적 조건은 ‘구조적인 모순 인식’, ‘근본적인 변화 지향’, ‘변화의 매개자로의 역할 정립’이었다. 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조직 구성원 통합’, ‘문제의 지속성’이었고, 현상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거나 억제한 중재적 조건은 ‘정책문제의 이슈화’, ‘활동가의 역량’, ‘사회적 유대감’, ‘사회운동의 현실 인식’이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사용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협상력 확보를 위한 연합적 권력 형성’, ‘당사자 세력화 도모’, ‘정책결정과정 압박’, ‘기회와 위험 대처’, ‘전술의 재조정’이었고, 결과는 ‘더 큰 변화를 위한 터전 마련’, ‘지속 가능한 사회변화 도모’, ‘연대의 지평 확장’으로 분석했다. 과정분석에서는 복지정책 법제화 시도 경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네 단계인 ‘진입의 단계’, ‘몰입의 단계’, ‘조정의 단계’, ‘확장의 단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왔다. 법제화를 통한 사회의 구조적 변화를 시도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인 ‘진입의 단계’는 연구참여자들은 정치세력과 정부를 상대하기 위해 협상력 확보를 위한 연합적 권력 형성에 집중하는 시기로 법제화 의제에 동의하고, 함께 하기로 뜻을 모은 단체들과 연대체를 조직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인 ‘몰입의 단계’에서는 법제화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사용하는 단계이다. 정책결정과정 압박을 위해 국회의원과 정부 관계자를 직접 압박하고, 이슈를 주도하기 위해 언론을 활용하며, 토론회를 통해 의제의 공론화를 시도하고, 대중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홍보활동을 펼친다. 또한 기회와 위험에 대응하는 전략이 사용되는 시기이다. 세 번째 단계인 ‘조정의 단계’는 의제가 공약으로 채택되거나 법률로 제정된 이후로 기존과는 다른 전략과 전술이 사용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존의 전술을 조정하여 공약 이행을 점검하고, 정책 실행을 촉구하는데 주력한다. 마지막 ‘확장의 단계’는 법제화 시도의 결과로 ‘더 큰 변화를 위한 터전 마련’, ‘지속 가능한 사회변화 도모’, ‘연대의 지평 확장’이 일어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또 다른 법제화 시도를 위한 기반이 만들어지면서 법제화 시도의 순환이 일어난다. 선택코딩에서 확인된 본 연구의 핵심범주는 ‘연합적 권력에 기반한 법제화 시도로 지속 가능한 사회변화의 터전 구축’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거시사회복지실천 전략으로서의 복지정책 법제화 과정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more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attempting to legislate welfare policies and to form basic knowledge of macro social welfare practice for responding to social problems and for social changes. The question of this study was “what is the experience of trying to legislate welfare policy as a strategy for implementing macro social welfa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 activists who belonged to social welfare and civic groups and had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legislating welfare policies.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fter receiving recommendations from group practitioners who attempted to legislate for the purpose of changing and expanding social security over the past 10 years. The gender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 women and 10 men, and the ages were 1 in their 20s, 2 in their 30s, 6 in their 40s, 4 in their 50s, and 2 in their 60s. The legislative agendas attempted by the participants were diverse, including medical expenses, the elderly, the poor, the disabled, health insurance, housing, migrants, homeless people, and social services. Data collection was centered on in-depth one-on-one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referring to media contributions, statements, and interview videos written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 Corbin(1998).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200 concept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and a total of 50 subcategories that grouped similar or common concep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bstracting the subcategories, the final 18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tegories derived from open coding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in axial coding, the phenomenon came out as an attempt to change the structure of society through legislation. The causal conditions that caused or developed the phenomenon were ‘recognition of structural contradictions’, ‘fundamental change orientation’, and ‘establishment of a role as a mediator of change’. The contextual conditions of the phenomenon were ‘integr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continuity of the problem’, and the mediating conditions that promoted or suppress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in the phenomenon were ‘issue of policy problems’, ‘activist competency’, ‘social bond’, and ‘recognition of the reality of social movements’ were deriv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used b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rmation of united power to secure negotiating power’, ‘promotion of party power’, ‘pressur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response to opportunities and risks’, and ‘realignment of tactics’. The analysis was conducted as ‘preparing the ground for greater change’, ‘promoting sustainable social change’,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solidarity’. In the process analysis, the experience of attempting to legislate a welfare polic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ur stages were experienced: ‘stage of entry’, ‘stage of immersion’, ‘stage of adjustment’, and ‘stage of expansion’. The ‘stage of entry’, which is the first stage to attempt structural change in society through legislation, is a period in which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centrate on forming a united power to secure bargaining power in order to deal with political forces and the government. And they form solidarity with groups that have agreed to work together. In the second stage, the ‘stage of immersion’, a specific strategy is used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ccess in legislation. It directly pressures lawmakers and government officials to pressure the policy-making process, uses the media to lead issues, attempts to publicize the agenda through discussion forums, and conducts various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o induce public cooperation. It is also a time when strategies to respond to opportunities and risks are used. The third stage, the ‘stage of adjustment’, is the stage where different strategies and tactics are used after the agenda is adopted as a pledge or enacted into a law. At this stage, the focus is on adjusting existing tactics to check the implementation of commitments and urging policy implementation. The last stage, the ‘stage of expansion’ is the stage in which ‘laying the ground for greater change’, ‘promoting sustainable social change’, and ‘expanding the horizon of solidarity’ as a result of the legalization attempt. At this stage, a cycle of legislative attempts occurs as the basis for another legislative attempt is created.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identified in selective coding, was found to be ‘building a ground for sustainable social change through an attempt to enact legislation based on coalitional power’.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empirical data on the process of enacting welfare policy as a macro social welfare practice strateg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