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주거환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Elderly Resident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주제어 (키워드) 주거환경 , 생활만족 , 사회적 지지 , 공공임대주택 , 노인 , 주거안전성 , 주거 안정성 , 주거편리성 , Residential Environment , Life Satisfaction , Social Support , Public Rental Housing , Elderly , Residential Safety , Residential Stability , Residential Convenien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문진영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7104
- UCI I804:11029-00000006710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and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and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upport. The surve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December 17, 2021 to January 16, 2022,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survey,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were surveyed for those who us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addition,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the residential welfare governors of LH Paju for those who visited for the purpose of renewing contracts. A total of 38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191 copies for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and 191 copies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For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tergroup differenc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and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b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in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social suppor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recognized by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and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on life satisfaction, only the residential convenience recognized by the elderly in public rental housing was confirmed. Third, it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safety and s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lderly in general housing. Fourth, the support of others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safety and s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venience and life satisfaction,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ousing safety of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Toilets and bathrooms have very slippery floors, and various safety devices such as safety bars and handrails are required when using bathtubs and toilets. In addition, various systems should be prepared, such as housing for the elderly and supporting housing that combines housing services. Various systems should be prepared, such as support housing combined with services. Second, the convenience of housing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should be improv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access to hospitals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ould be good, and location accessibility and psychological accessibility should be improved.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nd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placing it in consideration of accessibility to hospitals and welfare facilities, and to place hospitals and welfare facilities in the complex together. Third,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should be strengthened. A public social safety net for the elderly has not yet been properly established and organized. Therefore, various public social safety net support for the elderly is needed. Also, it is necessary to enact and improve government support and systems, such as programs and policie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family and friends.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through stable housing, safe housing, and convenient housing for all the elderly as well as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regular welfare needs survey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more practical policies such as various elderly housing services that meet their needs. Currentl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separately providing housing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However, customized service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housing and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elderly in terms of housing.
more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주택거주노인과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이 인식하는 주거환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노인의 주거환경개선과 사회적 지지를 통한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설문조사는 2021년 12월 17일부터 2022년 1월 16일까지 1개월간 이루어졌으며, 조사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일반주택 거주노인은 종합사회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등을 이용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은 LH파주권 주거복지지사를 재계약 등의 목적으로 방문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주택 거주노인 191부,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 191부 총 382부를 통계분석에 활용 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집단간차이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주택거주노인과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이 인식하는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주거환경요인과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일반주택거주노인과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이 인식하는 주거환경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공임대주택노인이 인식하는 주거편리성만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주택노인이 인식하는 주거안전 및 안정성과 생활만족도간 영향관계에서 가족지지와 친구지지는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이 인식하는 주거안전 및 안정성과 생활만족도간 영향관계에서 타인지지는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편리성과 생활만족도간 영향관계에서는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조절 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의 주거안전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화장실 및 욕실은 바닥이 매우 미끄러운 점, 욕조 및 변기 이용 시 안전 바, 핸드레일 등 다양한 안전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아울러 노인의 특성에 맞는 노인 주택 및 노인의 주거서비스를 결합한 지원주택 등 다양한 제도가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의 주거편리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공공임대 주택거주노인의 특성상 병원 및 노인복지시설 등과의 접근성이 좋아야 하며, 위치적 접근성뿐만 아니라 심리적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향후 공공임대 주택을 건설·공급하는 경우, 병원 및 복지시설과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배치 하는 것과 단지 내 병원 및 복지시설을 함께 배치시키는 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강화되어야 한다. 노인을 위한 공적인 사회안전망이 아직은 적절하게 구축되거나 체계를 갖추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다양한 공적사회안전망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과 가족 및 친구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이나 정책 등 정부의 지원, 제도의 제정 및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뿐만 아니라 모든 노인들에게 안정적 주거, 안전적 주거, 편리한 주거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에 대해서는 주기적인 복지욕구조사 등을 실시하여 그 니즈에 맞는 다양한 노인주거서비스 등 보다 실질적인 정책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노인을 위한 주택제공과 노인복지서비스를 별도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에게 주거라는 차원에서 주택과 서비스가 결합한 형태의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