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Mother-Daughter Relationship Quality During Emerging Adulthood : Mediating Role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mother-daughter relationship qual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elf-report data from a total of 422 female college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8~26 recruited on-line were used for medi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22 and Process Macro 4.1.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mother-daughter relationship quality, differentiation of self,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eco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decreased mother-daughter relationship quality by decreasing differentiation of self and decreasing functi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hir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decreased differentiation of self, which increased dysfuncti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ultimately increased mother-daughter relationship quality. Post hoc analyses were conducted to further examine the unexpected finding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mother-daughter relationship quality. Potential cultural ramif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were discussed.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emerging adult women struggling with problematic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 a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모녀관계에서 딸이 성인 진입기에 이르렀을 때 모의 심리적 통제가 모녀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딸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역할을 탐색 하였다. 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모녀 관계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을 하였다. 성인 진입기에 해당되는 만 18~26세의 여자 대학생의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표집하였고, 총 422명의 자료를 SPSS 22와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모의 심리적 통제, 모녀 관계, 자아분화, 갈등해결전략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 째, 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아분화를 낮추고, 이는 기능적 갈등해결전략을 낮춰 궁극적으로 모녀 관계의 질을 낮췄다. 셋 째, 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아분화를 낮추고, 역기능적 갈등해결전략을 높였는데 이는 모녀 관계의 질을 높였다. 사후 분석을 통해 역기능적 갈등해결전략과 모녀 관계의 질 관련 의외의 결과에 대해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의 고유한 문화적 맥락에서 모녀관계에서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 특히 역기능적 갈등해결전략이 한국의 모녀 관계에서 가지는 함의에 대해 논의 하였다. 모의 심리적 통제가 모녀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역할을 살펴 관련 연구를 확장한 본 연구결과는 모녀 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성인 진입기 여성에 대한 상담개입에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장단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상담개입에 대한 함의를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