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 시기별 주가 충격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Bayesian VAR 접근
Analysis of the effect of stock market on the real economy during the bubble period: Bayesian VAR Approach
- 주제어 (키워드) 주가 충격 , 주식 가격 , 거품 추정 , 실물경제 , 베이지안 VAR , Stock price shock , bubble estimate , real economy , Bayesian VAR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허준영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7053
- UCI I804:11029-00000006705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논문은 KOSPI200 자료를 이용해 주가 거품 추정 후 주가 거품 시기 구분을 통한 주가 충격에 대한 실물경제 충격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KOSPI200, 산업생산지수, 소비자물가지수, 통화량, 원/달러 환율, 금리에 대한 2000년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의 월별 지표로, 주식 시장과 실물경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계열 자료 관련 이슈인 불안정성 문제, 추정할 모수보다 자료의 개수가 부족한 상황 등을 고려하여 베이지안 VAR(Bayesian VAR)추정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가 거품 시기의 주가 충격에 대한 실물경제의 충격 반응은 주가 거품 시기가 아닌 시기 및 전체 시기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을 보였다. 이는 주가 거품 시기의 주가 충격이 실물경제에 유의미한 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more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ippling effects of the stock market on the real economy by identifying stock-market bubble periods through bubble estimation. The analysis utilizes monthly data of the KOSPI200 index, Industrial production index, CPI, money supply, USD/KRW exchange rate and interest rates ranging from Dec. 2000 to Feb. 2021. VAR (Bayesian VAR) estimation methods were used in order to address instability issues induced by the nature of time-series analysis and the lack of datapoints in comparison with target estimation paramet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reduced impulse responses of the real economy during bubble periods compared to during non-bubble periods. This implies the stock market does not have as much of an effect on the real economy during bubble period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