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크롬으로 재현된 역사 : 서사 분석과 캐릭터 분석을 중심으로
A History Reproduced by Monochrome : Focusing on Analysis of Narrative and Character
- 주제어 (키워드) 모노크롬 , 흑백 , 모노크롬 영화 , 흑백영화 , 유럽영화 , 유럽영화분석 , 모노크롬미학 , 흑백미학 , Monochrome , Black-and-White , Monochrome Film , Black-and-White Film , European Film , Analysis of European Film , Monochrome Aesthetics , Black-and-White Aesthetic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현대원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영상대학원 영상예술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7041
- UCI I804:11029-00000006704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논문은 포스트 시네마 시대 이후 3D, 디지털 휴먼, 가상현실 등 디지털 영상 제작 기술 발전 시대에서 유럽 모노크롬 역사 영화가 지닌 의의를 발견하고, 모노크롬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이며, 영화의 서사와 캐릭터에서 부각되는 주제 전달 방식은 어떠한 특수성을 가지고 차별화되며 나타나고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디지털 후반 보정 기술과 만난 현대 모노크롬 영화는 심미적 효과를 자아내며, 오늘날 컬러의 대중화 앞에서도 모노크롬 패러다임 시대를 맞이하게 되는 기반의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모노크롬 영화의 흑백 이미지는 색이 배제된 모호성에서 출발하며, 캐릭터의 색으로 표현되는 색이 가진 이중성 의미는 영화에서 감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주제를 내포하고 시각화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노크롬 영화 미학의 틀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를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신의 유럽 모노크롬 역사 영화에서 공통으로 등장하는 서사 구조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유럽 모노크롬 역사 영화의 서사적 특징은 어떻게 캐릭터에 반영되어 나타나는가? 셋째, 유럽 모노크롬 역사 영화에서 모노크롬의 시각화 방법은 컬러 영화와 어떤 차별성을 지니는가? 이는 연구 대상 영화의 캐릭터는 어떤 의미로서 작용하고 있는지, 또한 그 속에서 모노크롬 색이 전달하는 시각적 효과는 구체적으로 기존 컬러 영화와 어떤 차별화 기법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정신적 교류로서 예술가의 언어이자 독자적 표현 가치를 지닌 색은 어떠한 방식으로 영화에서 의미를 생성하고 있는지 즉, 색이 가진 이중적 의미로서 시각화 효과를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은 예술적 가치와 위상에 비해 국내에서 잘 다뤄지지 않고 있는 유럽 역사 영화, 즉 유럽 영화를 해석할 때 요구되는 역사적, 종교적 맥락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 예술성을 앞세운 유럽 모노크롬 역사 영화가 지닌 특수성에 주목했다. 연구대상 범위는 디지털 시대로 전환되는 시점에 제작된 모노크롬 유럽 역사 영화로 한정하였고, 철저한 모니터링과 정보 수집을 통해 국제적 명성과 예술적 지위를 함께 받은 작품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국가별 대표성과 세계 영화제에서의 수상 성과에 따라 최종 연구대상 영화를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미카엘 하네케(Michael Haneke) 감독의 독일 영화<하얀 리본>(The White Ribbon, 2009), 바츨라프 마르호울(Vaclav Marhoul) 감독의 체코 영화<페인티드 버드>(The Painted Bird, 2019), 파베우 파블리코프스키(Pawel Pawlikowski) 감독의 폴란드 영화<이다>(Ida, 2013)를 본 연구의 연구대상 영화로 선정하였으며, 대표적인 현대 유럽 모노크롬 역사 영화 작품 분석을 통해 모노크롬을 활용한 서사와 캐릭터, 모노크롬을 통한 주제의 시각화 방법을 연구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 영화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방법론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를 정하였다. 첫 번째, 감독의 성향과 스타일 그리고 필모그래피 영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통해 감독의 가치관과 스타일, 연구대상 영화에서 어떠한 기준점을 가지고 과거 역사의 한 부분을 영화화하였으며, 제작 의도는 무엇인지, 해석의 출발로 연구대상 영화를 제작한 감독을 연구한다. 두 번째, 영화의 배경이 되는 시대적 역사 배경지식 이해를 위해 역사 속 유럽 국가의 특징과 국가별 종교의 특징, 사회적 배경, 주요 사건 등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실제 역사를 고찰함으로써, 연구 대상 영화의 역사적 배경 이해와 해석 기준을 마련한다. 세 번째, 프로토콜을 통해 영화의 서사와 캐릭터의 관계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대상 영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한다. 네 번째, 영화에서 각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상징적 의미와 캐릭터의 성격과 내적 의미를 살펴보고 이러한 캐릭터와 갈등 요소를 서사 속 캐릭터 간의 구조를 통해 분석한다. 다섯 번째, 서사구조에 따라 캐릭터와 캐릭터 사이의 관계와 감정이 에이젠슈테인의 색의 이중성 의미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즉 서사구조에 따른 캐릭터들의 감정을 드러내기 위해 색의 이중성은 어떤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모노크롬 제작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모노크롬 역사 영화가 가진 내러티브 구조와 캐릭터를 통한 주제 표현의 독창성과 연구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한 최종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영화들은 공통으로 모노크롬을 통해 캐릭터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모노크롬의 색을 극적인 장치로써 사용하며, 색의 이중성과 대비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모노크롬이 주제를 관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노크롬은 색으로서 상징적인 캐릭터로 시각화되어 나타낼 수 있고, 모노크롬 색을 통해 캐릭터 내면을 시각화할 수 있으며, 주제를 나타내는 핵심적 영화적 요소로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노크롬이 가진 색을 통해 캐릭터를 부각하고 관객에게 모노크롬을 통한 주제로서 직접적인 메시지로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오늘날 많은 영화감독이 모노크롬 영화 제작을 선호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노크롬의 의의 및 효과, 특징 등에 대해서 고찰하고 이를 모노크롬 미학의 기반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유럽 모노크롬 역사 영화를 분석하는 틀을 제시하고 현대 유럽 영화 캐릭터 방법론을 연구에 맞게 접목하였으며, 모노크롬 색이 지닌 이중성을 통한 프레임워크를 실제 연구에 활용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로서 나타난 모노크롬이 영화적 장치로서 캐릭터와 주제를 대표하는 힘으로 밝혀졌듯이, 모노크롬 관련 향후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more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European monochrome historical films in the era characterized by development of digital image production technologies such as 3D, digital human, and virtual reality after the post-cinema era, to examine the effect obtained through monochrome, and to study what the specificity is accompanied when the method of delivering themes highlighted in the narrative and characters of monochrome film is differentiated. he modern monochrome films, aided by digital post-production correction technology, have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monochrome paradigm era even in the middle of popularization of color, while creating an aesthetic effect. The black-and-white image of monochrome films is originated from the ambiguity due to exclusion of color, and the dual meaning of color expressed by color of the character implies and visualizes the message and theme that the director wants to communicate in the film. This study, accordingly, presents an analysis framework in the situation where the aesthetic framework of monochrome film has not been established and uses it in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 structure found commonly in the latest European monochrome historical films? Second, how i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of European monochrome historical films reflected in the character? Third, what is differentiated point of visualization method of European monochrome historical films compared to that of color films? These are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being studied, about technique that specifically differentiates the visual effect conveyed by monochrome colors from existing color films, and about the method used when the color, which is the language of an artist used for spiritual exchange and has independent expression value, creates meaning in the film.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European historical films that have been ignored in Korea compared to their artistic value and status. This study attempted to access the historical and religious contexts required to interpret European films, and paid attention to the peculiarities of European monochrome historical films that prioritize the artistry. The subject films were limited to monochrome European historical films produced at the time of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era, and, through thorough monitoring and information collection, those that obtained both international fame and artistic status were selected, and among them, the films were decided based on their nature of representing a country and awards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Here included The White Ribbon (2009), a German film directed by Michael Haneke, The Painted Bird (2019), a Czech film directed by Vaclav Marhoul, and Ida (2013), a Polish film directed by Pawel Pawlikowski. The narrative and character and visualization method of theme, using monochrome,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representative modern European monochrome historical film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methodology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films. First, in order to study the directors who produced the film to be studied, as a starting point for interpretation, their values, the reference point they applied when filming a part of the past history, and the production intention were investigated though through their tendencies, styles, and characteristics found in their filmography films. Second, in order to obtain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era that is the setting of the film, the actual history covered in the film,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religion of each European country, social background, and major events were reviewed. Third, the narrative and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of the films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tocol,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s were identified. Fourth, the symbolic meaning, personality, and inner meaning of each character were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s and conflict ele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e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ve. Fifth, how the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s and their emotions are,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projected into the dual meaning of Eisenstein's color, in other words, how the duality of color works to reveal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narrative structure is analyzed. Finally,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monochrome historical films and the originality of the subject expression through character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lm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the common features of focusing on the character through monochrome, using the color of monochrome as a dramatic device, active utilizing of duality and contrast effect of color, and the monochrome that penetrates the themes. It was found that monochrome may be visualized as a symbolic character using color and that monochrome color may be used to visualize the character's inner side and act as a key cinematic element to express the theme. This study showed that many film directors in recent years prefer to produce a monochrome film because a character can be highlighted through the color of the monochrome and the monochrome itself can be delivered to the audience as a subject and a messag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is field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effect, and characteristics of monochrome were considered, which were presented as a basis for monochrome aesthetics. Second, a framework for analysis of European monochrome historical films was presented, and a modern European film character methodology was grafted into the study, and a framework through the duality of monochrome colors was used in the study.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studies on monochrome by proving that monochrome has the ability to represent characters and themes as a kind of cinematic devi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