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최자실 목사와 대행 선사의 마음 성장론 비교연구 : 코르넬리스 페트루스 틸레 (Cornelis Petrus Tiele: 1830~1902)의 마음 종교학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of the Mind of Pastor Jasil Choi and Seon Master Daehang Focusing on Cornelis Petrus Tiele (1830-1902)’s Religious Studies of Mind

초록

Discussions about the human mind and its growth have been traditionally the means whereby it is possible for us, as human beings, to come to an understanding of ourselves in a way that can possibly lead us toward making changes about how we should think and live. The importance of this type of study is, however, unfortunately overlooked with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although, admittedly, this type of study belongs to the scope of the human sciences and it is especially dependent on the science and analysis of psychology for all the answers that are needed. We all know how important it is to study the human mind as a venue (as a medium or intermediary) if we are to speak about the kind of phenomena that are generated by us as human beings when, here, we should refer to the content and form of our human experiences, our emotions, and our concepts. Hence, Tiele’s religious studies of the mind, as this refers to the human mind, elicits and points to a need that we should go back and re-appropriate the particulars of his study of the mind as this arose with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of religion. This dissertation seek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 of the mind that is found in the lives of Pastor Jasil Choi and Seon Master Daehang, and its influence on their lives, based on Tiele’s concepts of mind and growth. It tries to recover a prototypical approach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in light of the fact or in spite of the fact that Tiele’s work was not well studied or much considered in Korea despite his great influence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 on Jasil Choi and Daehang has approached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aspects that belong to Buddhist studies or questions that derive from the reflections of Christian theology, lacking thus a perspective that is derived from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hence, we refer to a major limitation and another reason that helps to explain why these two persons (their life and work) was chosen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study the growth of mind, this dissertation chooses comparative morphology: a method that belongs to the phenomenology of religion as this was used by Cornelius Petrus Tiele. He had drawn on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religion that was based on inner elements (hence, on this basis: classifying,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manifestations of external phenomena) although, in general, modern religious study unfortunately deals with religious phenomena in a fragmentary way. In our work, the growth of mind will be defined and we will also attend to what enables, sustains, and expands it. Jasil Choi and Daehang were chosen and compared as cases which points to how, in their lives, we can see the growth of mind. We engage in a kind of application. Their autobiographies were used as major sources for this study because they reveal dialectic relations between history and individuals and their vivid religious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iele’s metaphor of a kernel that is used to speak about the growth of the mind, three categories are compared; motive as a kind of cause with respect to the growth of mind, asceticism as a discipline which sustains the growth of the mind, and expandability as a way of speaking about how the mind moves from one species of apprehension to another. The patterns that are found in the growth of both minds point to three converging points and also to three disparate points, which are as follow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verging point: both followed similar tracks in their lives vis-à-vis a sprouting of kernels which both experienced. Secondly, their minds kept growing through prayer and asceticism in conjunction with practices of healing that were joined to words of faith and belief. Finally, both experienced measures of infinity that, in some way, both assimilated. As women, both suffered from the pain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trials that were later imposed on them by the Korean War. Both had to cope with an emptiness in their minds with respect to both having absent fathers in childhood. This common experience led to a mutual craving for infinity: hence, the experience of a motive that led to a later growth of the mind. Both experienced a degree of assimilation with infinity and both developed their own ways of asceticism, fasting prayer and Juingong Gwanbeop, through which they could sustain the growth of their minds. They expanded the growth of their minds through altruistic practices of healing, employing words of belief. Hence, they gave themselves to the practice of comforting and healing devastated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poverty and sickness. By suggesting this new approach, they searched for a piety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existing Christianity and Buddhism of their day. They actively used music to cultivate their practices, and they emphasized the good of evangelization in the context of a global mission. With respect to the three disparate points, we can refer to them as follows. First, in the growth of the mind, different directionalities existed for their grow in terms which refer to that which is inward, and that which is outward. While Choi went outwards, Daehang went inwards. Secondly, different frequencies existed with respect to that which existed as the assimilation with infinity. Third, different ways existed in how they expressed their assimilation and how they spoke about the places or loci of learning. Choi, who had been educated in a regular theological seminary, struggled to be assimilated with the infinity by looking for the Absolute from outside, while Daehang, without any regular education, used all the possible places of learning (which, for instance, included mountains) where she went through and as a form of asceticism in order to find infinity and to assimilate with it internally. They also used different ways of expressions. While one directly cited words from the Bible, the other used metaphors that were drawn from her experience of the different things that surrounded her. In the middle of all these differences, both evinced and manifested expansions of their different directionalities; Choi from outward to inwards, Daehang from inward to outwards. In conclusion, this comparative study about the growth of mind in Choi and Daehang, as based on Tiele’s concepts, points to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the growth of mind can be expanded within individual religions and so this study suggests and points to the basis of a universal point of view that can be used in the context of religious studies. We can use a universal language that is grounded in the dynamics of our common human mind and so we have something which transcends the particularity of specific spheres as these exist in Christian theology or in the conduct of Buddhist studies.

more

초록

인간의 마음과 마음의 성장에 대한 논의는 고전적인 인간의 자기이해 방식이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종교학 역시 인간학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간의 마음에 대한 연구는 종교학 안에서 소홀하게 취급되며 심리학이 모든 해결점이 된 것 같은 실정이다. 이에 새로운 종교학적 담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인간이 만들어낸 현상, 곧 인간의 경험, 감정, 개념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장소로서의 마음에 대한 연구가 다시금 필요하며, 이것을 초기 종교학자인 틸레의 마음 종교학이 바로 마음에 방점을 두기 때문에 종교연구에 있어 그의 연구가 다시 회복이 되어야하는 이유이다. 본 논문은 종교학 분야에서 틸레가 지니는 높은 위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그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해 종교연구의 원형적 측면을 다시 고찰한다는 의미에서 마음과 성장을 주요 개념으로 한 틸레의 관점을 방법론으로 삼아, 최자실 목사와 대행 선사의 삶에서 마음의 성장 과정과 특징, 저들의 삶에 끼친 영향을 비교 연구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위 두 사람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 또한 최자실과 대행에 대한 선행연구 대부분이 신학과 불교학적 측면에서만 주로 다루어졌기에 종교학적 시각이 부족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최자실과 대행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지닌 가장 큰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사람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유이다. 이 논문은 마음의 성장을 탐구하기 위해, 코르넬리스 페트루스 틸레의 형태(morphology)비교라는 종교현상학적 방법론을 선택하여 연구하고자 했다. 종교적 현상을 다룸에 있어 현대의 종교현상학이 파편적으로 다루는 것과 달리 틸레는 외적 현상의 다양한 표현들을 분류, 비교, 평가함과 동시에 종교의 본질을 내적 요소에 기반한 직관의 방법론으로 이해한다. 마음의 성장이란 어떤 것이며 마음의 성장을 가능케 하는 작인과 마음의 성장을 지속, 확장시키는 것은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마음의 성장에 대한 현실적인 사례 적용 대상으로 최자실과 대행 두 사람을 선정해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한 주된 자료로 자서전을 택하였는데, 두사람의 자서전에는 역사와 개인이 가진 변증법적 관계가 잘 드러나고 두 사람의 종교적 경험을 생생하게 느낄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씨앗의 메타포로 표현한 틸레의 마음과 성장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마음의 성장 동력, 마음의 성장을 지속시키는 수행, 마음의 확장성이라는 3가지 형태로 나누고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최자실과 대행 두사람의 마음의 성장이 가지고 있는 양상이 서로 만날 수 있는 3가지 수렴점과 차이를 가지는 3가지 분리점이 있음을 다음과 같이 발견했다. 먼저 3가지 수렴점은 첫째로 씨앗 발아의 경험으로서 비슷한 삶의 궤적을 가진다는 것, 두번째로 기도와 수행을 통해 마음 성장을 지속시키고 믿음의 언어를 통한 치유(치병)행위를 했다는 것, 마지막으로 무한성과 동화됨의 경험이다. 구체적으로, 두 사람 모두 여성으로서 일제강점기를 비롯한 한국전쟁이라는 시대적 아픔을 겪으며 동시대를 살아가면서 비슷한 삶의 궤적을 보이며 유년시절 친부의 부재가 가져온 채울 수 없는 마음을 가졌다는 유사점을 가진다. 두사람이 유년시절에 겪은 부성에 대한 갈망의 경험은 그녀들에게 있어 무한성을 향한 갈망으로 이어져 마음 성장의 동력이 되었다. 또한 두사람은 무한성과 동화됨의 경험과 금식기도와 주인공 관법이라는 각각의 수행을 통해 성장을 지속시키고, 본인만을 위한 축복과 안위에만 머무르지 않고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며 믿음의 언어를 통해 치유(치병)을 위한 행동을 했다. 이것은 가난과 질병으로 인해 마음과 몸이 피폐해진 민중의 삶을 치유하고 위로하는 일에 자신을 내어주는 것이며, 새로운 출구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기독교와 불교 체계에서 채워지지 않는 경건을 추구한 것이었다. 이와 더불어 두 사람 모두 음악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전도 및 해외선교(포교)활동으로 마음의 성장을 확장했다는 공통적인 수렴점이 있다. 반면에 최자실과 대행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3가지 분리점도 존재한다. 첫째로 마음성장의 방향성이 외적, 내적 지향으로 서로 다르다. 무한성을 갈망하고 추구하는 방향성이 최자실 목사는 외부로 향했던 반면, 대행 선사는 자기 내부로 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마음성장의 방향성이 외적, 내적 양향성을 지녔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무한성과 동화됨의 경험 횟수에서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동화됨의 표현방식이 다르고 배움터가 달랐다. 최자실은 신학교라는 정규교육을 받고, 외부의 절대자를 향한 방향성을 가지고 무한성과의 동화를 행했다면, 대행은 정규교육을 받은적은 없으나 산중수행을 비롯한 주변 모든 것을 배움터로 삼아 자신의 안에서 무한성을 찾고 동화하고자 한 방향성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경험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최자실은 성경의 말씀을 직접적으로 인용한다면, 대행은 주변의 사물을 은유적으로 사용함으로서 표현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하지만 이 역시 방편적인 강조점이며 최자실이 외적지향에서 내적으로, 대행이 내적지향에서 외적으로 확장하며 둘 모두 결국 마음의 지향점이 확장됨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한 종교와 다른 종교가 만날 때, 마음 성장이라는 개념은 개별종교안에서 확장 가능하다는 것을 틸레를 통한 최자실과 대행의 마음 성장이라는 비교를 통해서 살펴보았으며, 불교학, 혹은 신학과 같이 특정 학문을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닌, 인간의 마음을 바탕으로 보편적 언어를 사용하는 종교학 연구에 있어 보다 보편적인 시각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였다고 본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