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을 중심으로
Social Media Literacy Study: Curriculum Development and Effects of Adolescent Literacy Education
- 주제어 (키워드) 소셜미디어 , 리터러시 , 핵심역량 , 접근과 이용 , 사회적 연결 , 디지털 윤리 , 시민적 참여 , 교육 프로그램 , 교육 효과 , social media , literacy , access and use , social connectedness , digital ethics , civic engagement ,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나은영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7027
- UCI I804:11029-00000006702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효과 분석에 관한 것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예비연구에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기존 리터러시 측정 문항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예비연구에서 도출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은 접근과 이용, 사회적 연결, 디지털 윤리, 시민적 실천이었다. 교육 효과 분석을 위해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이 반영된 초등학교 고학년용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6차시로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6학년 81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육 전·후로 시행되었는데, 집단 간 평균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집단 내 평균 비교를 위해 종속표본t-검증을, 처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후조사 결과의 통계적 차이를 밝히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SPS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총 6차시로, 예비연구에서 도출된 소셜미디어 핵심역량을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고르게 배치하였다. 세부적으로, 1차시에는 미디어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소셜미디어의 기능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2차시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알아야 할 소셜미디어와 관련된 윤리적(법제) 핵심 이슈를 선정하여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 3차시는 소셜미디어 콘텐츠 생산과 유통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실습 전 윤리적인 영상 촬영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4차시는 실습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응용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5차시는 자신이 제작한 영상 콘텐츠의 윤리적 문제를 직접 점검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6차시는 직접 제작한 영상 상영회를 통해 미디어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비교집단에 대해 처치집단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 이전에 처치집단에 대해 실시한 사전조사 대비 교육과정 이후에 실시한 사후 조사에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의 사전조사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후조사의 차이를 살펴보는 분석에서도 처치집단과 비교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에서 접근과 이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간 접근과 이용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였으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디바이스 차원의 접근성에서 나아가 디지털 윤리와 디지털 시민성 차원의 중요도 전환이 요구된다. 둘째, 소셜미디어가 온라인 소통 전반에 영향력을 미치고, 오프라인 공동체를 대체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는, 기능적 차원의 교육에서 나아가 ‘성숙한 이용’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역량 중 접근과 이용 역량과 사회적 연결 역량의 경우, 단기간의 교육을 통해서도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디지털 윤리나 시민적 실천 역량에 관한 교육과정은 초·중·고 전반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민해야 한다. 넷째, 학교 교육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육과정이 정규 과목에 편성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현행 교육 방식을 유지하되, 관련된 교수학습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핵심역량이 교과별로 고르게 반영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소셜미디어 리터러시를 포함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개별교과로 반영할 수 있는 세부적인 로드맵, 정책적 노력과 함께 여러 부처에서 운영 중인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more초록
This study is about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t aims to develop a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nd examine the program’s effects. To this end,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literacy were drawn from preliminary studies, and social media literacy questionnaires were derived using existing literacy measurement questions.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literacy derived from preliminary studies were access and use, social connectedness, digital ethics, and civic engagement.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the upper elementary was developed in 6 sessions, an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81 students in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verage between groups, and a 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verage within the group.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to reveal th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post-survey results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SPSS 28.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education curriculu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6 sessions, and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deriv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were evenly arranged throughout the education program. In detail, in the first session, the basic concept of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were examined. In the second session, core ethical(legislative) issues related to social media that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ed to know were selected and constituted as a curriculum. In the third session, the social media cont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was examined, allowing students to learn ethical video shooting methods before practice. The fourth session was organized to apply and express the contents learned through practice. The fifth was organized so the students could directly check the ethical problems of the video content they produced. The sixth session was composed to increase self-efficacy in the media through screenings of videos produced by themselv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that it was more effective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In addition, the effect was verified that the post-survey conducted after the curriculum compared to the pre-survey conducted on the treatment group before the curriculum.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derived in the analysis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post-survey while controlling the pre-survey influence of the two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literac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access and use. Until now, access and use have been one of the important goal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but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a shift in importance from device-level accessibility to digital ethics and digital citizenship. Second,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social media influences online communication and replaces offline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n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mature use' beyond the functional level of education. Third, in the case of access and use and social connectednes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of social media literacy, the purpose of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short-term education, but the curriculum on digital ethics or civic engagement competencies should be considered as a way to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programs through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urth,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within the boundaries of school education needs to maintain the current education method in the short term when media literacy-related curriculum is not organized in regular subjects, but related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s need to be prepared to reflect core competencies evenly for each subject. In the long term, a detailed roadmap and policy efforts that reflect media literacy education as an individual subject, including social media literacy, as well as an integrated approach to social media literacy education operated in various ministries, is also requir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