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 가족제도 서술 분석
An Analysis of the Family System in the Goryeo Dynasty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 주제어 (키워드) 고려시대사 , 가족제도 , 친족제도 , 고려 여성 , 2015 개정 교육과정 , 교과서 분석 , Goryeo Dynasty , Family System , Goryeo Women , 2015 Revised Curriculum , Textbook Analysi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계승범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7017
- UCI I804:11029-00000006701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2015 개정 교육과정(이하 현행 교육과정)은 중학교 ‘역사’의 고려시대사 단원에 학습요소로 ‘가족제도’를 새롭게 추가하였다. 해당 주제가 그만큼 교육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는 그간의 연구 성과 축적과 생활사 및 여성사에 대한 관심 증대와 밀접하게 연관한다.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라 발행한 7종의 중학교 『역사』가 그간의 연구 성과를 교육적으로 잘 서술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역사』 7종은 현행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을 잘 구현했는가. 둘째, 중학교 『역사』 7종은 고려 가족제도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서술하는가. 셋째, 중학교 『역사』 7종은 고려시대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가족제도를 서술하는가. 첫 번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교과서의 단원 구성과 고려 가족제도에 관한 개념 서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인 ‘고려의 사회 모습을 … 추론한다’를 만족하기엔 단원 구성에서 무관한 주제들이 나열되고 있다는 점과 개념 서술에서 용어의 혼동이 보였다. 두 번째와 세 번째의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교과서 본문 서술을 분석하였다. 종합하자면, 조선에서 고려로의 시대역순적 비교식 서술을 전반적인 서술 구조에서 찾을 수 있었고, 구체적으로 ‘조선 시대 보다’의 표현을 통해 후 시대인 조선과 비교하여 서술하는 모습도 보였다. 최근 학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교과서는 ‘고려’의 시대적 맥락 속에서 가족제도를 파악하고 사회 모습을 추론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으나, 원 간섭기와 같은 특정 시대에 집중하거나 소수의 교과서에서만 친족 용어의 사례를 소개하는 등의 한계가 보였다. 위와 같은 한계를 보완하고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선이 아닌 고대와의 연속과 변화, 여성의 불교 생활이나 영리 활동 등 고려 가족제도 서술에 대한 여러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more초록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urrent curriculum) newly added ‘family system’ as a learning element to the Goryeo period unit in the 『History』 textbook of the middle school. This is because the subject was considered to be of such educational importance.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increased interest in the daily-life history and female-life histor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7 kind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 published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described well educationally the research results for such a period of tim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nalyz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id the 7 type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 well implem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sugges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Second, do the 7 type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 reflect the recent research results on the Goryeo family system? Third, do the seven middle school 『History』 text describe the family system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Goryeo period? In relation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textbook's unit composition and the concept of the Goryeo family system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descriptions. The fact that unrelated themes are listed in the unit composition and the confusion of terms in the conceptual descriptions are seen,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hence it seems difficult to satify 'The social aspect of Goryeo is inferred to be … .‘ On the second and third research questions, the text descriptions in the 『History』 text were analyzed. Taken together, a comparative narratives in reverse chronological order from Joseon to Goryeo were able to be seen in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s, and specifically, it was also shown to compare with Joseon, a later era, through the expression of 'rather tha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by recent academic, 『History』 textbooks are changing to able to infer the family system in the context of the era of 'Koryo' but there were limitations focusing on the specific era such as yuan intervention period or introducing examples of kinship terms in only a few textbooks. Therefore, several improving directions were suggested on the descriptions of the family system of the Goryeo Dynasity , such as continuity and change with ancient times rather than Joseon, and female Buddhist’s life and profit-making activities so that the above limitations could be supplemented and used widely in the educational fiel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