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 밖 청소년의 자발적 교육경험과 진로성숙의 관계 : 비인가 대안교육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Educational Experience and Career Maturity of Out-of-School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unauthorized alternative educational facilities

초록

진로란 한 개인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수행하게 되는 다양한 지위와 역할의 연속으로, 전 생애에서 직업을 포함하여 개인이 수행하게 되는 다양한 지위와 역할이 내면화되는 과정을 곧 진로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진로를 처음으로 깊이 생각하게 되는 시기는 후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데 대학 진학이라는 계기를 통해 자신이 어떤 분야로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공교육현장은 청소년이 충분히 고민할 수 있는 시간과 환경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대학을 서열화하여 입시라는 경쟁 속으로 학생들을 밀어 넣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청소년이 자신들의 진로에 대해 충분히 탐색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공교육의 문제점을 보여주듯 매년 전체 학생의 약 1.5%가 학업중단율을 보이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이유가 과거처럼 문제행동으로 인한 자퇴가 아닌 학교에 다니는 것이 의미 없다고 느끼거나, 원하는 것을 배우기 위함으로 나타나 많은 수의 학생들이 공교육에서의 교육만족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후 행보를 살펴보면 검정고시 준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진로상담과 대안학교 재학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에 주목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이 대안교육을 통해 어떤 변화를 경험하며, 어떻게 자발적인 교육경험을 이어가는지, 자발적인 교육경험의 실행은 어떻게 진로성숙으로 이어지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비인가 대안교육시설에 재학 중인 학교 밖 청소년 8명과 길잡이교사 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2022년 3월부터 6월까지 참여관찰을 진행하였으며, 5월 중 개별 및 집단으로 면담을 진행하였고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은 학업을 중단하는 요인들로 원하는 것들을 배우기 어렵거나, 학교를 다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한 답변이 절반을 넘었고, 면담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은 다양한 교육의 경험 중, 말하고 글을 쓰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은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며 앞으로의 계획을 수립하고 자발적인 교육경험을 쌓아간다. 앞서 언급한 자발적인 교육경험의 누적은 청소년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대안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을 깊이 알게 되었고,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였다. 다음으로 이런 고민들을 토대로 프로젝트와 글을 쓰는 작업 등을 통해 구체화, 특정화, 실행화의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이런 과정 끝에 직업적 진로성숙을 이루기도 하지만 자신이 누구인지 정확하게 아는 자아개념적 진로성숙을 이루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았을 때, 학령기의 청소년의 수가 감소하는 시점에서 더 이상 공교육과 대안교육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공교육과 대안교육의 공생을 위한 접점을 협의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직은 제도적인 부분에서 대안교육시설을 위한 지원방안이나 인증의 여부에 따른 문제들이 남아 있어 이런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협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안교육은 공교육의 대안으로 시작했다고 볼 수 있으나, 이제는 상생을 위한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공교육현장 역시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구성하기 위한 시도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

more

초록

A career path is a series of various positions and roles that an individual performs throughout their life. It can be defined as a process by which the various positions and roles of an individual, including occupations, are internalized throughout one’s life. The first time people think deeply about their career path is in late adolescence. It begins by thinking about which field to pursue through the opportunity of going to university. However,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in Korea does not provide sufficient time and a conducive environment for teenagers to think about their career. Moreover, the reality of ranked universities push students to compete during entrance exams. Under these circumstances, young people may be unable to fully explore their career path. Owing to these problems in public education, about 1.5% of all students drop out of school every year. Unlike in the past, the reason for school dropout is not problematic behaviors but rather the feeling of meaninglessness of attending school or learning what they want. A large number of students report having low educational satisfaction in public education. However, among teenagers outside of school, many prepare for the general equivalency diploma (GED) after dropping out, followed by seeking career counseling and alternative school enrollm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hat changes out-of-school adolescent experience through alternative education, how they continue voluntary educational experiences, and how the voluntary educational experiences lead to career maturity. The study selected eight out-of-school adolescent attending an unauthorized alternative education facility and one assistant teacher as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22, and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held in M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factors for academic interrup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found it difficult to learn what they want or felt the meaninglessness of attending school, which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Second, among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young people were able to recognize themselves anew through speaking and writing. They also learned to find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ird, the adolescents discovered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established future plans, and built voluntary educational experiences. The accumulation of the aforementioned voluntary educational experiences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students got to know themselves deeply through alternative education programs, encouraging them to ponder what they wanted and what wanted to do. Second, based on these concerns, they underwent the process of materialization, particularization, and implementation through projects and writing. Finally, at the end of this process, some achieved professional career maturity as well as self-conceptual career maturity that let them know exactly who they are. Judging from these results, it may no longer be meaningful to divide education into public and alternative education at a time when the number of school-age adolescents decreases, and it seems necessary to find a contact point for public and alternative education through discussions. Notably, issues remain regarding support measures or certification for alternativ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institutional aspect, indicating that consultations are needed to solve these problems. Alternative education started as an alternative to public education; at present, authorities may consider creating a new educational paradigm for coexistence. It is time for the public education field to also make efforts to form a new educational paradig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