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극추구성향, 연령대, 유도된 감정과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age, induced emotion and YouTube content preference

초록

본 연구는 유튜브 콘텐츠를 시청하는 이용자들이 유튜브라는 같은 미디어 안에서 서로 다른 유튜브 콘텐츠를 선호하는 이유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극추구성향, 연령대, 유도된 감정이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론하고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극추구성향의 높고 낮음, 요즘 세대인 Z세대와 기성세대인 X세대라는 두 연령대, 신나는, 평온한, 화나는, 슬픈으로 각기 유도된 감정과 특정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와의 관계를 살피고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으로 진행하였으며 실험 참가자는 Z세대(19-27세) 215명, X세대(50-59세) 219명으로 모두 434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실험 참가자의 특성 및 주요 변인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요인분석과 신뢰도 계수 산출로 신뢰도와 타탕도를 확인하였다. 연령대에 따른 자극추구성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카이제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극추구성향이 유튜브 콘텐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자극추구성향과 연령대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도된 감정의 종류에 따른 범주별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이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끝으로 연령대별 자극추구성향에 따른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Z세대와 X세대의 자극추구성향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자극추구성향은 범주별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도 범주별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 참가자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평화로운 유튜브 콘텐츠를 선호하였다. 반면 유도된 감정은 범주별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기반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가 자극추구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자극추구성향의 하위 4개 차원이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셋째, 연령대에 따른 자극추구성향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고 연령대에 따라 유튜브 콘텐츠 선호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온라인으로 실험을 진행한 만큼 감정 유발 조건들도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져 충분한 감정 유발 상태가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감정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more

초록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y users who watch YouTube content prefer different YouTube content within the same media called YouTub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fer that sensation seeking, age, and induced emotions are related to YouTube content preference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and low sensation seeking, current generation Z and older generation X, induced emotions and to determine what directly affects YouTube content prefer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experiment, and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were 215 in Generation Z (19-27 years old) and 219 in Generation X (50-59 years old), with a total of 434.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variable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coefficient calculation. Chi-squar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sensation seeking, according to 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effect of sensation seeking, on YouTube cont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In addition, a two-way 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YouTube content preference by category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ced emotion. Finally,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YouTube content preference according to the sensation seeking, by 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ation seeking of Generation Z and Generation X.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ensation see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YouTube content by category, and age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YouTube content by category. The higher the age of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the more peaceful YouTube content was preferre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induced emotio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reference for YouTube content by categor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YouTube content preference differed according to sensation seeking. Seco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effect of sensation seeking on Youtube content preference was identified by dividing it into four sub-dimensions of sensation seeking. Thir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YouTube content according to age and the difference in sensation seeking according to age. However, a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ine, there is a limitation. induced emotion may not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the emotional conditions were not sufficient in onlin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