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본인 소비자의 참여형(SNS) CSR캠페인 유형이 소비자의 기업 이미지와 참가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apanese Consumers' Participatory (SNS) CSR Campaign Types on Consumers' Corporate Image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초록

본 연구는 요즘 일본내의 CSR 캠페인 홍보시에도 SNS 를 활용해 다양한 캠페인, 이벤트가 실행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SNS 를 이용한 CSR 캠페인이 SNS 의 매체 및 메시지 유형에 따라 일본인 소비자의 기업 이미지, 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실시했다. 본 연구는 2(Twitter vs Instagram)×2(구체적 메시지vs 추상적 메시지)의 요인 설계로 실험 형식으로 20 대~30 대의 일본인 130 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연구결과 매체유형과 메시지 유형이 기업 이미지와 참여의동 미치는각각 주효가를 미치는 않았으나, 매체유형과 메시지 유형의 상호작용이 기업 이미지와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는 트위터는 구체적 메시지 유형이 기업 이미지 및 참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인스타그램은 추상적 메시지 유형이 기업 이미지 및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중 인스타그램보다 트위터가 콘텐츠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 메시지유형이 추상적유형보다 콘텐츠 만족도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트위터는 구체적 메시지유형, 추상적 메시지 유형 둘 다 비슷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스타그램은 구체적 메시지는 콘텐츠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추상적 메시지는 긍정적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체유형과 메시지 유형은 콘텐츠 만족도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상호작용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콘텐츠 만족도가 매체유형과 메시지유형에 따른 매개 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 의 매체에 주목해 SNS 를 이용한 CSR 캠페인의 효과 연구에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 대상자의 남녀 균형에 치우침이 있었다는 점, 각 매체를 이미지로만 표현해 현실감이 떨어진다는 점에 한계를 가진다.

more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SNS-based CSR campaigns on Japanese consumers' corporate image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depending on the SNS media and message type.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SNS-based CSR campaigns on Japanese consumers' corporate image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depending on the SNS media and message type. The study was conducted on 130 Japanese consumers in their 20s~30s in a 2 (Twitter vs. Instagram) x 2 (concrete message vs. abstract message) factorial design in an experimental forma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edia type and message type had no interaction on corporate image and participation agreement, respectively, but the interaction between media type and message type had an effect on corporate imag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Specifically, Twitter's concrete message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while Instagram's abstract message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In this context, Twitter was found to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content satisfaction than Instagram, and concrete message types had an even more positive impact on content satisfaction than abstract types. When examining the interaction, Twitter was found to have a similar positive impact on both concrete and abstract message types, while Instagram was found to have a similar positive impact on content satisfaction for concrete messages, but less positive impact for abstract messag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media type and message type each had an effect on content satisfaction, with some interaction effects. However, content satisfaction was not found to be affected as a mediating variable by media type and message typ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can be explored in terms of its focus on the SNS media and its ability to be developed into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NS-based CSR campaigns. However, it has limitations in that there was a bias in the gender balance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at each media was represented only by images, which reduces the sense of real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