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1919년~1932년 제주 항일운동의 성격 : ‘조천 김씨’ 가문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Jeju Anti-Japanese Movement from 1919 to 1932: Focusing upon“Jocheon Kim”family’s

초록

본 논문은‘조천 김씨’가문의 항일운동 전개 과정을 살펴 제주항일운동의 흐름을 살피고, 한국독립운동사의 맥락 속에서 제주항일운동의 성격을 파악한 연구이다. 제주도는 육지와 떨어져 있어 별도의 공간 혹은 지역으로 간주되어왔고, 이는 제주 독립운동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최근까지 제주항일운동은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연구된 경향이 있어, 한국의 전반적인 독립운동사 흐름 속에서 제주도 항일운동이 가지는 특성과 성격을 부각하지 못했다. 본 논문은 전라남도 육지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제주의 항일운동을 분석하였다. 제주의 항일운동을 육지 지역과 별개로 분리하기보다는, 전체적인 독립운동사의 흐름과 연계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조천 김씨’가문을 검토한 이유는, 이들이 제주의 항일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조천’은 지역은 제주도 내에서도 특히 외부지역과 교류가 활발했고, 유배지식인들을 가장 먼저 접할 수 있는 곳이었다. 이러한 지역 특수성으로‘조천 김씨’인물들은 유배지식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항일의식을 키우고, 제주지역 항일운동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조천 김씨’가문에게 유배지식인들이 미친 영향은 후일 1919년의 조천만세운동과 1920년대 제주도 사회운동에서 드러난다.‘조천 김씨’가문은 1919년 조천만세운동을 시작으로, 이후에도 꾸준히 항일을 위해 노력했다. 예컨대, 1920년대에는 조천청년회를 운영하며 신좌문고 운영, 신좌소비조합을 중심으로 전개한 소비조합운동, 노동야학, 소년운동 등을 전개했다. 1930년대부터는 혁우동맹이라는 단체에 소속되어 해녀들의 야학 및 항일운동에 크게 기여했다. 즉 이들은 1919년 조천만세운동을 계기로 꾸준히 항일운동을 진행하였다. 또한 시기별로 그 형태를 제주 사회에 맞게 바꾸어 나가며 제주도민을 계몽하는 역할을 하였다. 요컨대‘조천 김씨’가문의 항일운동 전개 과정을 검토한다면, 제주 항일운동이 가지는 지역성과 특수성은 물론, 그 흐름까지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제주항일운동에 있어‘조천 김씨’가문의 역할, 이들이 제주도민들에게 미친 영향력 등을 조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flow of the Jeju anti-Japanese movement by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Jocheon Kim” family’s anti-Japanese movement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rics of the Jeju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Jeju Island has been regarded as a separate space or area because it is far from the land, which also influenced the study of the Jeju independence movement. Accordingly, until recently, the Jeju Anti-Japanese Movement tended to be studied around specific events, so it was not dealt with the proper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Jeju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overall trend of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This paper analyzed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Jeju through comparison with the land area of Jeollanam-do Province. Rather than separating Jeju's anti-Japanese movement separately from the land area, it was intended to study in connection with the overall flow of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However, the reason why the “Jocheon Kim” family’s was reviewed in this study is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Jeju.‘Jocheon’was the first place to encounter exiled intellectuals, especially in Jeju Island, where exchanges with outside areas were active. Due to this regional specificity, the people of “Jocheon Kim” were able to develop a sense of anti-Japanese through exchanges with exiled intellectuals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Jeju. The influence of the exiled intellectuals on the “Jocheon Kim” family’s is later revealed in the Jocheon Man-sei movement in 1919 and the social movement in Jeju Island in the 1920s. The "Jocheon Kim" family’s continued to strive for resistance, starting with the Jocheon Man-sei Movement in 1919. For example, in the 1920s, the Jocheon Youth Association was operated, and a Shinjwa Bookstore, and developed a consumer union movement centered on the Shinjwa consumer union, a labor night school, and a youth movement. Since the 1930s, it belong to organization, which called Hyukwoo alliance contributing greatly to have helped haenyeo's night school and anti-Japanese movement. In other words, they steadily carried out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1919 in the wake of the Jocheon Man-sei Movement. In addition, it played a role in enlightening Jeju people by changing its form to suit Jeju society by period. In short, if you review the process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the “Jocheon Kim” family’s, you will be able to find out not only the locality and specificity of the Jeju anti-Japanese movement, but also its flow. It is also expected to examine on the role of the “Jocheon Kim” family’s in the Jeju anti-Japanese movement and their influence on Jeju peop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