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학업 서열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변화 : 우월성의 자기가치감 수반성으로 조절되는 학업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Changes in Self-esteem according to Academic Ranking among Medical School Students and 4-year University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concept Moderated by Contingency of Self-Worth(Superiority)
- 주제어 (키워드) 학업 서열 , 학업 자아개념 , 자아존중감 , 우월성의 자기가치감 수반성 , 학업 집단 효과 , 학업성취 , 의과대학생 , College student , Medical school student , Academic ranking , Academic self concept , Self-esteem , Contingency of self-worth(Superiority) , Big Fish-Little Pond Effect ,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연규진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924
- UCI I804:11029-00000006692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내 학업 서열이 학업 자아개념을 매개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학업 서열, 학업 자아개념,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우월성의 자기가치감 수반성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의과대학생 152명과 일반대학생 155명, 총 307명의 온라인 설문 응답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는 매개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 28.0과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의과대학생과 일반대학생 집단에서 학업 서열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학업 자아개념이 매개하였으며, 학업 서열, 학업 자아개념,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의과대학생 집단에서 학업 서열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우월성의 자기가치감 수반성으로 조절된 학업 자아개념이 매개하였다. 즉, 의과대학생 집단에서 우월성의 자기가치감 수반성이 클수록 학업 서열이 학업 자아개념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였다. 반면, 일반대학생 집단에서는 학업 자아개념의 매개효과가 우월성의 자기가치감 수반성으로 조절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상담 현장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empirical associations between academic ranking(predictor), academic self-concept(mediator), contingency of self-worth: superiority(moderator), and self-esteem(outcome) among South Korean medical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academic ranking predicted academic self-concept, which in turn predicted self-esteem. Furthermore, this mediation model was moderated by contingency of self-worth(superiority). A total of 307 university students’responses(152 medical school students, 155 4-year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diation analysis with SPSS 28.0 and PROCESS macro 4.0. Based on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academic self-concept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ranking and self-esteem in both groups.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path coefficients for academic ranking,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 Academic self-concept moderated by contingency of self-worth(Superiorit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ranking and self-esteem only among medical school students, not among 4-year university students. The finding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contingency of self-worth(Superiority) among medical school, the higher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self concept i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counseling fiel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