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인기에 지각된 아동기 부모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자기존중감, 타인신뢰,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 효과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in Adulthoo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Trust in other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초록

본 연구는 부모 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 타인 신뢰,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 역할을 가정한 매개 모형을 설정하고 그 유의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부모 애착, 자기존중감, 타인 신뢰, 대인관계 유능성, 심리적 안녕감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최종 620부의 자료를 SPSS 26.0과 The PROCESS macro 4.0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완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타인 신뢰의 완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부모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대인관계 유능성만 투입한 단일 매개모형으로 추가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부모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 대인관계 유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부모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타인 신뢰, 대인관계 유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임상적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in adulthood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trust in other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by carrying out a self-reporting online survey constructed with the scales of parental attachment, self-esteem, trust in ot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e adults over 19 years of age, residing in South Korea. 620 sheets finally selected went through analysis for mediating effects via SPSS 26.0 and PROCESS Macro 4.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showed full medi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rust in others showed full media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no mediation. Accordingly, a single mediating model with only interpersonal competence input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rovided an additional analysis result;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showed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observed.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other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observed. Furthermor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significanc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