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자아 정체성 탐색

Exploring ego-identity of elite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초록

본 연구는 엘리트 체육을 전문적으로 육성하는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의 학습권 인식을 고찰하고 학생선수가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전반적인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학년·운동경력·수상 경력에 따라 공부하는 학생선수, 학습권, 진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S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로 전교생 35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275부로, 대회 출전으로 자전거 부(12명)를 제외하고 총 15종목의 운동부(346명)가 참여하였다. 이 중 설문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과,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자료 활용에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자료를 제외한 275부를 본 연구의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최유리, 이용국(2014)의 학생운동선수의 학업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김동현(2011)의 일반학생에서 학생선수로의 학교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이혁기(2011)의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학생선수의 경험과정: 자아의 재정의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특성 요인과 자료분석 과정을 거쳐 도출된 개념 및 범주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이 혼합되어 크게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 특성에 대한 질문 4문항, 학생선수 인식에 관한 질문 3문항, 학습권 인식에 관한 질문 6문항, 진로에 관한 질문 4문항 마지막으로 기타 2문항으로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적인 자료의 분석과정은 귀납적 범주 분석(inductive categorical)을 토대로 실시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은 Excel을 이용하여 데이터 코딩(data coding)을 하였으며, 코딩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23.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방법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공부하는 학생선수에 대한 인식이 학년·운동경력·수상 경력에 따라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생선수 전반적으로 공부하는 학생선수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권에 대한 인식이 학년·운동경력·수상 경력에 따라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절반 이상의 학생선수가 학습권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전히 학습권을 알지 못하는 학생선수가 존재하며, 학습권 박탈에 관한 인식도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준비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서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는 학년·운동경력에 따라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수상 경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수의 학생선수가 체육계열 대학 진학을 희망하였고, 수상 경력이 높을수록 실업팀 입단을 희망하였다. 진로 준비도에서 운동경력·수상 경력에 따라서는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운동을 그만둔 후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과 부상에 관한 고민이 가장 많았고, 진로를 아직 결정하지 못해 준비를 시작하지 못하거나, 진로를 준비하는 방법을 아예 모르는 등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생선수는 학생과 운동선수 이 두 가지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현재 그들이 자신의 진로를 위해서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며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학습권을 인식하지 못하고 중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학생선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학생선수 학습권 인식 개선과 진로 준비에 대한 체계적인 진로교육 그리고, 학업과 운동 모두 병행할 수 있도록 훈련 강도 조절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에 관련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more

초록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right of students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to develop elite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ly was examined. an addition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experience in the overall process of deciding and preparing their careers was examined. The purpose is to compare differences in student athletes, right for education, and career recognition according to their school year, athletic background, and award-winning background. The study selected 358 students from schools as student athletes at S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 total of 27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5 sports clubs (346 people) participated in the event except for the cycling club (12 people). Of these, 275 copies were used as valid samples for this study, excluding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urvey and materials that were not answered or judged to be appropriate for the utilization of the data.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ata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of Choi Yu-ri and Lee Yong-guk (2014), Kim Dong-hyun (2011)'s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ive main areas: four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three questions about student player recognition, six questions about learning rights, and four questions about career paths. The overall data analysis process was conducted based o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Categorized content was data-coded using Excel, and cod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of all, the perception of students study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school year, athletic background, and award-winning background, but it turned out that they know about the important of academic experience among student-athletes.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right for educ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chool year, athletic background, and award-winning background, bu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e right for education. However, there are still students who do not know their right for education, and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awareness regarding deprivation of their right for education. Third, because of the difficulty experienced in preparing for career, the career path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grade and athletic background,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winning career. Many student athletes wanted to go on to physical education universities, and the higher the award, the more they wanted to join the industrial tea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depending on the athletic background and award-winning background,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grades. In other words, many difficulties and injuries that occur after quitting exercise were most common, and difficulties such as ‘not being able to decide the course yet’ and ‘not being able to start preparing for it’ or ‘not knowing how to prepare for it’, emerged.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student athletes must properly perform the two roles of student and athlete, and they are studying and exercising in parallel for their own career path.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re are some student athletes who have not yet recognized the right to learn and do not feel the importance. This raises the need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student-athletes' awareness of the rights of learning and systematic education for career preparation, and the need to adjust the intensity of training so that both academics and exercise can be carried out in parallel. Subsequent research related to this can be expected to actively continu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