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 트라우마 경험자가 지각한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 : 정서노출, 정서수용, 의도적 반추의 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Interpersonal Trauma Survivors: The Role of Emotional Disclosure, Emotional Acceptance, and Deliberate Rumination
- 주제어 (키워드) 대인관계 트라우마 , 정서인식명확성 , 정서노출 , 정서수용 , 의도적 반추 , 트라우마 후 성장 , Interpersonal Trauma , Emotional Clarity , Emotional Disclosure , Emotional Acceptance , Deliberate Rumination , Post-traumatic Growth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869
- UCI I804:11029-00000006686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대인관계 트라우마를 경험한 성인들의 정서인식명확성이 트라우마 후 성장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정서노출, 정서수용, 의도적 반추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81명의 자료를 SPSS 24.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트라우마 경험자가 지각한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노출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수용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노출, 정서수용, 의도적 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정서수용과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노출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의도적 반추와 트라우마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노출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emotional disclosure, emotional acceptance and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of adults with an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adults over the age of 18. Finally, the total data collected from 381 participants is analyzed using SPSS 24.0 and SPSS PROCESS Macro.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disclosure show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emotional acceptance show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emotional disclosure, emotional acceptance and deliberate rumination’s sequential mediating effect was not found. Fourth, emotional disclosure showed regul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ccept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Fifth, emotional disclosure showed regul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