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에너지 안보 수준 측정과 특성 분석 : 에너지 안보 지수를 중심으로
Measuring energy security for Korea: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a context-relevant energy security index
- 주제어 (키워드) 에너지 안보 , 에너지 안보 지수 , 에너지 안보 지수 생성 프레임워크 , 에너지 집약도 , 추세분석 , 주성분 분석 , 성분적재값 , Energy Security , Energy Security Index , Energy Security Indexing Framework , Energy Intensity , Trend Analysis ,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Component Loading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근욱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865
- UCI I804:11029-00000006686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1970년대 석유파동으로 주목받았던 에너지 안보 이슈는 2000년대 초반 국제유가의 급등으로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유엔기후변화협약에 의한 파리협정 채택으로 에너지 전환 의무를 수반하는 환경레짐의 등장과 러시아-유럽 간의 지정학적 갈등으로 인한 에너지 공급 위기를 계기로 에너지 안보는 사활적 이익으로서 국가가 추구해야 될 최상위 목표로 자리잡게 되었다. 다만, 1970년대에는 에너지 안보에 관한 정책 목표와 관련 연구가 주로 에너지 공급과 가격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최근에는 기후변화, 사회적 영향 등 다양한 주제로 초점이 확장되며, 에너지 안보 개념을 정의하는 주제가 다차원적이고 다의적인 특성을 나타내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차원적이고 다의적인 에너지 안보 분야의 특성에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 안보 지수를 사용하여 한국의 에너지 안보 수준을 측정하고 향후 한국은 어떠한 차원에 초점을 두고 에너지 안보를 추구해야 하는지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 에너지 안보 연구 문헌을 유형화하여 한국의 에너지 안보 특성과 초점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상황에 적합한 에너지 안보 지수 생성 프레임워크를 구축한 후 2001년부터 2020년까지의 에너지 안보 지수를 산출하여 이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국내 에너지 안보 연구문헌을 유형화한 결과, 국내 에너지 안보 연구는 ‘에너지 가용성' 차원과 ‘거버넌스’ 차원의 순으로 초점을 두고 있으며, 해외 연구가 ‘에너지 가용성’ 다음으로 ‘에너지 가격’에 초점을 두는 것과 차이가 있었다. 이는 에너지 수입국인 한국이 에너지 공급국만큼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에너지 가격보다는 에너지 안보를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 해법에 집중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되었다. 이외에도 ‘에너지 가용성'과 ‘거버넌스’ 차원 이외의 주제에 관한 연구 비율이 적었고, 에너지 안보의 이론화나 국제정치학의 안보 이론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안보 연구 역시 비중이 적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특히, 에너지 안보 지표 또는 지수와 관련한 연구는 62건 중 단 1건에 불과해, 국내 에너지 안보 연구는 지표 또는 지수를 활용한 정량적 연구보다는 정성적 연구 경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국내 에너지 안보 연구문헌의 유형화를 통해 확인한 한국의 에너지 안보 특성과 초점을 확인한 후, 한국의 상황에 적합한 에너지 안보 지표를 선정하고 주성분 분석 기법을 통해 에너지 안보 지수 생성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200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및 비교국가군의 지수를 산출한 결과, 일반적으로 에너지 안보에 부정적일 것으로 여겨지는 에너지 소비의 증가는 한국의 경우 오히려 에너지 안보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만의 경우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났다. 한국과 대만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고 에너지 사용이 비효율적이며 에너지 다소비 산업 중심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를 근거로, 한 나라의 경제가 에너지 집약적 형태로 구조화돼 있을 때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지표 값의 감소는 곧 경제적 후퇴를 의미하고, 이는 에너지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의 약화를 의미하여 에너지 안보 지수가 하락하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해석하였다. 아울러 한국은 정치적 불안정 상황과 글로벌 금융위기·COVID-19 팬데믹 상황과 같은 외부충격에 에너지 안보 지수가 하락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에너지 사용과 관련해 한국과 유사한 구조를 지닌 대만의 경우, 한국이 팬데믹 상황에서 에너지 안보 지수가 하락한 것과 달리 에너지 안보 지수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에 비해 대만의 에너지 집약도가 큰 폭으로 개선된 사실을 고려할 때, 외부충격에 대해서는 에너지 효율성 증대가 에너지 안보 지수의 하락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분석도구로서 에너지 안보 지수의 장점은 먼저 지표 수의 제한 없이 다양한 지표를 적용할 수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장되는 에너지 안보의 주제를 수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다수의 지표를 단일 지표인 지수로 변환하여 에너지 안보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지수의 생성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해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도 에너지 안보 지수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more초록
The energy security issue, which received attention due to the oil crisis in the 1970s, began to receive attention again due to the surge in international oil prices in the early 2000s. Energy security became the highest priority that the country must pursue as a vital interest with the advent of the energy supply crisis caused by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Europe as well as an environmental regime which requires an energy transition followed by the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by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However, unlike the 1970s when the focus of energy security goals and its research is mainly on energy supply and price, the focus has been recently expanded to various topics such as climate change and social impact, which shows that the topic defining the concept of energy security is multidimensional and polysemic. This study aims to measure energy security for Korea and suggest a direction about what topic Korea has to focus on to achieve energy security by using the energy security index as a method which is recently regarded a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security: multidimensionality and polysemy.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Korea's energy security characteristics and focus by categorizing the domestic literature of energy security. The Energy Security Indexing Framework or ESIF suited to the Korean situation are generated on a basis of these findings. Then, the energy security index from 2001 to 2020 was generated through ESIF and was made to interpret it. The result of categorization helps us understand that domestic energy security research focuses on 'energy availability' dimension and 'governance' dimension in the order, whereas overseas research focuses on 'energy price' after 'energy availability'. It can be assumed that Korea, an energy importing country, focuses on policy solutions to achieve energy security rather than energy prices, because Korea cannot exert as much influence as an energy supply country. It was found, too, that the study on topics other than 'energy availability' and 'governance' is rarely conducted, and the study on energy security theorization or the security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are as well. It is somewhat noticeable that only 1 out of 62 studies about energy security indicators or indices have been conducted, which implies that domestic energy security research tends to be more qualitative than quantitative. These findings were used to select energy security indicators which underpins ESIF. Then, the selected energy security indicators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reduced into a figure called the Energy Security Index.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nergy security indices for Korea and for other countries from 2001 to 2020 show that a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which was generally considered negative for energy security, was rather positive for energy security for Korea. This was the case for Taiwan, too. Korea and Taiwan have in common that they are highly dependent on energy imports, use energy inefficiently, and focus on energy-intensive industrie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s result ma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a decrease in index value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means an economic recession to a country structured in an energy-intensive form. An explanation for an economic recession might be a weakening of economic fundamentals in responding to an energy crisis, and that is why the energy security index value decrea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Korea's energy security index fell due to political instability and external shocks such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COVID-19 pandemic.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with Taiwan, which has similar energy consumption pattern with Korea. Taiwan energy security index was found to increase slightly, whereas Korea's energy security index fell during the pandemic. Considering the fact that Taiwan's energy intensity h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Korea's, it can be inferred that an increase in energy efficiency can prevent a decline in the energy security index for external shocks.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energy security index as an analysis tool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is that the expandable energy security dimension over time can be accommodated by applying various indicators into analysis without limiting the number of the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interpret various aspects of energy security by converting a number of indicators into a single index. Another one is that analysis resources such as component loadings are derived in the index-generating process, and they help the research to be robus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