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심상담자의 진정성 발현 어려움과 대처에 대한 질적 연구 : 초심상담자와 수퍼바이저의 관점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novice counselors’ difficulties and coping in the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in therapy: From novice counselors’ and supervisors’ persepctives

초록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통해 초심상담자가 상담과정에서 겪는 진정성 발현의 어려움과 진정성 발현 어려움의 유발요인, 진정성 발현 어려움에 대한 대처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초심상담자가 겪는 진정성 발현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진정성 있는 상담자로 발달해나가기 위해 어떤 지도와 개입들이 필요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총 2개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설문을 통해 선별한 초심상담자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 결과 4개의 영역과 5개의 하위 영역, 31개 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4개의 영역으로는 ‘초심상담자가 인식한 진정성 개념과 특성’, ‘초심상담자가 지각한 진정성 발현의 어려움’, ‘진정성 발현 어려움 유발요인’, ‘진정성 발현 어려움에 대한 대처’였다. 5개의 하위영역은 ‘진정성 발현 어려움 유발요인’영역에서 ‘상담자 요인’, ‘내담자 요인’, ‘환경적 요인’이 도출되었고, ‘진정성 발현 어려움에 대한 대처’영역에서 ‘개인적인 대처’, ‘주변으로부터의 도움’이라는 하위 영역이 도출되었다. 연구 2에서는 수퍼바이저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 결과 3개의 영역과 6개의 하위 영역, 36개 범주와 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영역은 ‘수퍼바이저의 진정성’, ‘수퍼바이저가 인식한 초심상담자의 진정성 발현 어려움 유발요인’, ‘초심상담자의 진정성 발현 어려움에 대한 지도’였고, 6개의 하위영역은 ‘수퍼바이저의 진정성’영역에서 ‘수퍼바이저가 인식한 진정성 개념과 특성’, ‘수퍼바이저의 숙련상담자로서의 진정성’ ‘수퍼바이저가 인식한 초심상담자의 진정성 발현 어려움 유발요인’영역에서는 ‘상담자 요인’, ‘내담자 요인’이 도출되었다. ‘초심상담자의 진정성 발현 어려움에 대한 지도’영역에서 ‘진정성 발현 어려움에서의 대처를 위한 지도’, ‘지도과정에서 진정성을 촉진하는 조건’이라는 하위 영역이 도출되었다. 연구 1,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심상담자의 진정성 발현 어려움과 유발요인, 진정성 발현 어려움에 대한 대처와 지도에 관한 함의들을 논의와 종합 논의에 기술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more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the casual factors of the difficulties, and coping with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which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during the therapeutic process using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tudy attempted to explore what guidance and interventions are needed to resolve the novice counselors' difficulties of being authentic in therapy and assist them to become an authentic counselor. A total of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novice counselors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ponse.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4 domains, 5 sub-domains, 31 categories, and 7 sub-categories were emerged. The four domains wer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authenticity recognized by the novice counselor',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perceived by novice counselors', 'causal factors of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and 'coping with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In the five sub-domains, 'counselor factors', 'client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emerged from 'causal factors of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 and 'personal coping' and 'seeking help' were emerged from the 'coping with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 In Study 2,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upervisor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3 domains, 6 sub-domains, 36 categories, and 4 sub-categories were emerged. The three domains were 'supervisor's authenticity', 'causal factors of novice counselors'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recognized by supervisor', and 'supervision on the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 In six sub-domain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authenticity recognized by the supervisor', 'supervisor as experienced counselor of authenticity during counseling process' were emerged from 'supervisors' authenticity' domain, and 'counselor factors', 'client factors' were emerged from 'causal factors of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novice counselors' authenticity recognized by supervisor' domain, and 'supervision for coping with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conditions for promoting authenticity in supervision process' were emerged from 'supervision on the difficulties in manifestation of authenticity' domai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ies 1 and 2, the implication of finding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