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 활동 참여자의 참여동기, 신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Physic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Dance Activities
- 주제어 (키워드) 무용 활동 , 참여동기 , 신체만족도 , 생활만족도 , dance activities , participation motive , physical satisfaction ,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수미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839
- UCI I804:11029-00000006683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무용 활동 참여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 신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무용 참여의 긍정적인 인식전환을 통해 무용 참여 확대와 무용 활성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지역의 K 대학교와 4곳의 사설 무용학원에서 총 272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가설에 따라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참여동기의 사교 및 외적과시, 기술발달은 참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교 및 외적과시, 기술발달, 즐거움은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교 및 외적과시는 참여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두 참여정도(기간, 횟수, 시간)가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신체만족도의 비만에 대한 두려움, 과잉행동은 참여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기간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체형불만, 비만에 대한 두려움, 과잉행동은 참여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형불만과 비만에 대한 두려움은 중간 정도의 참여를 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잉행동은 참여시간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의 성취만족은 참여기간과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여기간과 참여횟수가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참여동기의 외적동기의 사교 및 외적과시와 내적동기의 기술발달은 참여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교 및 외적과시는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기술발달은 한국무용, 발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체만족도의 비만에 대한 두려움은 참여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무용, 현대무용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의 성취만족은 참여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참여동기의 사교 및 외적과시, 기술발달은 무용전공 여부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체만족도의 비만에 대한 두려움은 무용전공 여부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의 성취만족은 무용전공 여부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두 무용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의 사교 및 외적과시는 신체만족도의 체형불만, 비만에 대한 두려움, 과잉행동에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 즐거움은 신체만족도의 비만에 대한 두려움에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는 신체만족도의 체형불만, 과잉행동에 부(-)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만족도의 체형불만, 과잉행동은 생활만족도의 수용만족, 성취만족에 부(-)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만에 대한 두려움은 생활만족도의 수용만족에 부(-)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동기의 사교 및 외적과시, 건강증진, 기술발달, 즐거움은 생활만족도의 수용만족, 성취만족에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동기는 생활만족도의 수용만족, 성취만족에 부(-)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e, physic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of dancing activities and provide data for expanding participation in dancing activity and revitalizing dance through positive perception change of dance particip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272 participants in total from K University in Seoul and four private dancing academies according to study hypothe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drawn. First, socializing and external ostent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participation motiv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 duration, socializing and external ostent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jo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times of participation and socializing and external ost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times of participation. All of them showed higher level a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duration, times, hours) increased. For physical satisfaction, fear against obesity and hyper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duration and it showed higher level as participation duration increased. Dissatisfaction on body type, fear on obesity and hyperactiv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hours of participation, dissatisfaction on body type and fear on obesity showed the highest level during moderate-scale participation and hyperactivity showed higher level as hours of participation increased. Satisfaction on achievement for lif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uration and times of participation and it showed higher level as duration and times of participation increased. For participation motive, socializing and external ostentation of external motive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inner motiv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type, socializing and external ostentation showed high level in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in order and technology development showed high level in Korean dance and Ballet in order. For physical satisfaction, fear on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type and showed high level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in order. Satisfaction on achievement for living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articipation type and showed high level in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in order. For participation motive, socializing, external ostent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dance majored or not, and fear on obesity for physical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dance majored or not and satisfaction on achievement for living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ther dance majored or not. For all of categories, dance majors showed higher level than non-majors.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izing and external ostentation for participation motive had a positive (+) effect on dissatisfaction on body type, fear on obesity and hyperactivity of physical satisfaction, health promotion and joy had a positive (+) effect on fear on obesity of physical satisfaction and amotiva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dissatisfaction on body type and hyperactivity of physical satisfaction. Third, dissatisfaction on body type and hyperactivity of physical satisfac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acceptanc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atisfaction of living satisfaction and fear on obesity had a negative (-) effect on acceptance satisfaction of living satisfaction. Fourth, socializing and external ostentation of participation motive, health promo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joy had a positive (+) effect on acceptanc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atisfaction of living satisfaction and amotivation had a negative (-) effect on acceptanc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atisfaction of living satisfa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