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스타트업 조직의 부정적 직무환경 속에서 직무소진(burn-out)의 매개효과 그리고 직무배태성 관계(link) 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negative work environment of start-up organiza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embeddedness link characteristic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타트업조직에서 부정적 직무환경이 구성원들의 부정적 반응행동(이직의도, 부정적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이직의도와 부정적 조직침묵 사이에서 직무배태성 관계 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국내에서 시드 투자 이상을 받은 창업 한지 8년 이내의 자율주행 로봇, 핀테크 그리고 교육서비스 등의 스타트업 기업에 재직중인 구성원 23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본 연구의 핵심적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타트업 조직에서 부정적 직무환경은 직무소진, 이직의도 그리고 부정적 조직침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소진도 이직의도와 부정적 조직침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타트업 조직의 부정적 직무환경과 이직의도 그리고 부정적 조직침묵 사이에서 직무소진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직무과부화에는 직무소진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금 불만족 상황에서 직무소진은 조직침묵에 매개효과로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직무배태성 관계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정적 조직침묵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지만 이직의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본 연구는 스타트업 조직의 부정적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와 부정적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그리고 직무배태성의 관계 특성을 고려한 연구를 진행하여 이론적 의의뿐 아니라 인사관리의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more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egative job environment on the negative reactive behaviors (turnover intention, negative organizational silence) of members in a startup organiza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job embedding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 organizational silence. For this purpo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00 members of a startup organization that had received more than seed investment and had been established less than 8 years in Korea.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the key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job environment in the startup organization had an effect on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 organizational silence. Also, burnout had a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 organizational silence. Second, burnout is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negative work environment of startup organizations,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 organizational silenc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burnout had a mediating effect on job overload but burno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silence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wage dissatisfaction situation.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embedded link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although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organizational silence,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s such, this study proposes not only theoretical significance but also practical methods of personnel management by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negative job environment of startup organizations on turnover intention and negative organizational silence,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and the job embeddedness link characteristic.

more